“제 민낯 어때요?” 그들은 왜 거기에 묻나?
입력 2016.05.13 (21:41)
수정 2016.05.13 (22:0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자신의 민낯이나 전신 사진을 인터넷에 공개하고, 솔직히 평가해달라는 청년층들이 많다고 합니다.
자신의 연애나 직장 문제 같은 아주 개인적인 내용의 상담도 일상적으로 이뤄지고 있다는데요.
왜 친구나 가족이 아닌 인터넷 세상에서 그런 걸 묻고 답하는 걸까요?
류란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못 생겼다'는 말을 들었다며 인터넷 카페에 민낯 사진을 올려 평가를 요청한 여성.
21살 '모태솔로'라고 밝히며 자신의 평소 맵시를 공개하고 도움을 요청한 남성.
또 소개팅은 어떻게 해야 하는지 등 아주 개인적인 질문들이 검색됩니다.
이들은 왜 친구나 가족 같은 가까운 사람들을 두고, 여기에 묻는 걸까요?
<인터뷰> 이진주(21살) : "오히려 더 객관적일 수 있다는 기대감이 있는 거 같아요. 사회에서 만나는 사람들이 다 제 편은 아니잖아요."
<인터뷰> 윤남일(28살) : "친구들은 진지하게 얘기해도 장난으로 받아들이는 부분이 있는데..."
혹시 나쁜 평가를 받더라도 심리적 거리가 있는 사람의 지적인만큼 상처를 덜 받을 수 있습니다.
이 때문에 젊은층은 이런 문화를 상당히 익숙하게 받아들이고 있습니다.
<녹취> "(좀 이상한 건가요?) 아니요. "
하지만 이런 질문과 댓글에 지나치게 의존하는 것은 경계해야 합니다.
<인터뷰> 곽금주(서울대 심리학과 교수) : "자아정체감, 자존감 이런 것들을 분명히 하면서, 이런 것들을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합니다.)"
묻고, 그리고 댓글을 보더라도 휘둘려서는 안 된다는 얘기입니다.
KBS 뉴스 류란입니다.
자신의 민낯이나 전신 사진을 인터넷에 공개하고, 솔직히 평가해달라는 청년층들이 많다고 합니다.
자신의 연애나 직장 문제 같은 아주 개인적인 내용의 상담도 일상적으로 이뤄지고 있다는데요.
왜 친구나 가족이 아닌 인터넷 세상에서 그런 걸 묻고 답하는 걸까요?
류란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못 생겼다'는 말을 들었다며 인터넷 카페에 민낯 사진을 올려 평가를 요청한 여성.
21살 '모태솔로'라고 밝히며 자신의 평소 맵시를 공개하고 도움을 요청한 남성.
또 소개팅은 어떻게 해야 하는지 등 아주 개인적인 질문들이 검색됩니다.
이들은 왜 친구나 가족 같은 가까운 사람들을 두고, 여기에 묻는 걸까요?
<인터뷰> 이진주(21살) : "오히려 더 객관적일 수 있다는 기대감이 있는 거 같아요. 사회에서 만나는 사람들이 다 제 편은 아니잖아요."
<인터뷰> 윤남일(28살) : "친구들은 진지하게 얘기해도 장난으로 받아들이는 부분이 있는데..."
혹시 나쁜 평가를 받더라도 심리적 거리가 있는 사람의 지적인만큼 상처를 덜 받을 수 있습니다.
이 때문에 젊은층은 이런 문화를 상당히 익숙하게 받아들이고 있습니다.
<녹취> "(좀 이상한 건가요?) 아니요. "
하지만 이런 질문과 댓글에 지나치게 의존하는 것은 경계해야 합니다.
<인터뷰> 곽금주(서울대 심리학과 교수) : "자아정체감, 자존감 이런 것들을 분명히 하면서, 이런 것들을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합니다.)"
묻고, 그리고 댓글을 보더라도 휘둘려서는 안 된다는 얘기입니다.
KBS 뉴스 류란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제 민낯 어때요?” 그들은 왜 거기에 묻나?
-
- 입력 2016-05-13 21:51:37
- 수정2016-05-13 22:09:28

<앵커 멘트>
자신의 민낯이나 전신 사진을 인터넷에 공개하고, 솔직히 평가해달라는 청년층들이 많다고 합니다.
자신의 연애나 직장 문제 같은 아주 개인적인 내용의 상담도 일상적으로 이뤄지고 있다는데요.
왜 친구나 가족이 아닌 인터넷 세상에서 그런 걸 묻고 답하는 걸까요?
류란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못 생겼다'는 말을 들었다며 인터넷 카페에 민낯 사진을 올려 평가를 요청한 여성.
21살 '모태솔로'라고 밝히며 자신의 평소 맵시를 공개하고 도움을 요청한 남성.
또 소개팅은 어떻게 해야 하는지 등 아주 개인적인 질문들이 검색됩니다.
이들은 왜 친구나 가족 같은 가까운 사람들을 두고, 여기에 묻는 걸까요?
<인터뷰> 이진주(21살) : "오히려 더 객관적일 수 있다는 기대감이 있는 거 같아요. 사회에서 만나는 사람들이 다 제 편은 아니잖아요."
<인터뷰> 윤남일(28살) : "친구들은 진지하게 얘기해도 장난으로 받아들이는 부분이 있는데..."
혹시 나쁜 평가를 받더라도 심리적 거리가 있는 사람의 지적인만큼 상처를 덜 받을 수 있습니다.
이 때문에 젊은층은 이런 문화를 상당히 익숙하게 받아들이고 있습니다.
<녹취> "(좀 이상한 건가요?) 아니요. "
하지만 이런 질문과 댓글에 지나치게 의존하는 것은 경계해야 합니다.
<인터뷰> 곽금주(서울대 심리학과 교수) : "자아정체감, 자존감 이런 것들을 분명히 하면서, 이런 것들을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합니다.)"
묻고, 그리고 댓글을 보더라도 휘둘려서는 안 된다는 얘기입니다.
KBS 뉴스 류란입니다.
자신의 민낯이나 전신 사진을 인터넷에 공개하고, 솔직히 평가해달라는 청년층들이 많다고 합니다.
자신의 연애나 직장 문제 같은 아주 개인적인 내용의 상담도 일상적으로 이뤄지고 있다는데요.
왜 친구나 가족이 아닌 인터넷 세상에서 그런 걸 묻고 답하는 걸까요?
류란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못 생겼다'는 말을 들었다며 인터넷 카페에 민낯 사진을 올려 평가를 요청한 여성.
21살 '모태솔로'라고 밝히며 자신의 평소 맵시를 공개하고 도움을 요청한 남성.
또 소개팅은 어떻게 해야 하는지 등 아주 개인적인 질문들이 검색됩니다.
이들은 왜 친구나 가족 같은 가까운 사람들을 두고, 여기에 묻는 걸까요?
<인터뷰> 이진주(21살) : "오히려 더 객관적일 수 있다는 기대감이 있는 거 같아요. 사회에서 만나는 사람들이 다 제 편은 아니잖아요."
<인터뷰> 윤남일(28살) : "친구들은 진지하게 얘기해도 장난으로 받아들이는 부분이 있는데..."
혹시 나쁜 평가를 받더라도 심리적 거리가 있는 사람의 지적인만큼 상처를 덜 받을 수 있습니다.
이 때문에 젊은층은 이런 문화를 상당히 익숙하게 받아들이고 있습니다.
<녹취> "(좀 이상한 건가요?) 아니요. "
하지만 이런 질문과 댓글에 지나치게 의존하는 것은 경계해야 합니다.
<인터뷰> 곽금주(서울대 심리학과 교수) : "자아정체감, 자존감 이런 것들을 분명히 하면서, 이런 것들을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합니다.)"
묻고, 그리고 댓글을 보더라도 휘둘려서는 안 된다는 얘기입니다.
KBS 뉴스 류란입니다.
-
-
류란 기자 nany@kbs.co.kr
류란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