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매 노인 실종 조심!…여름에 ‘급증’

입력 2016.06.01 (08:16) 수정 2016.06.01 (09:0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친절한 뉴스 이번엔 대표적 노인성 질환이죠. 치매 관련 소식입니다.

우리 사회에서 인구 고령화가 급속도로 진행되면서 치매 환자도 빠르게 늘고 있습니다.

지난 2011년 치매로 병원 진료를 받은 인원은 29만 4천 여명에서 2013년에는 38만 6천 여명, 지난해에는 45만 9천 여 명으로 5년 만에 50% 넘게 늘었습니다.

한해 평균 10% 넘게 증가하는 셈입니다.

특히 80대는 10명 중 2명이, 90대는 3명이 치매 환자인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이렇게 치매 환자가 급증하면서 한해 진료비도 해마다 늘어 지난해에는 1조원 6천 억원이 훌쩍 넘었습니다.

치매는 뇌 손상으로 일상 생활에 지장이 있을 정도로 기억력이 떨어져서 언어 장애가 온다거나 특히 시간과 장소를 혼동하는 게 대표적 증상인데요.

그래서 치매 환자가 집을 나섰다가 돌아오지 못하고 실종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환자가 늘면서 실종 인원 역시 늘고 있는데요.

2011년 7천명 선에서 지난해는 9천 여명으로 20% 가까이 늘었습니다.

특히 치매 환자가 많이 실종되는 시기가 바로 요즘입니다.

산책이나 운동같은 바깥 활동이 늘면서 치매 환자의 외출이 늘어나기 때문인데요.

이한글 기자의 보도 보시죠.

<리포트>

경찰 70여 명이 농로를 따라 늘어선 채 수색에 나섰습니다.

실종된 치매 환자 73살 박순덕 할머니를 찾고 있습니다.

할머니는 가족들이 잠든 새벽에 집을 나가 20일 넘게 행방이 묘연합니다.

<인터뷰> 김현주(실종자 딸) : "돌아다니시면 제대로 쉴 곳도 없으실 텐데... 어디에 쓰러져 계시진 않을까..."

지난해 전국에서 실종된 치매 환자는 9천여 명으로 해마다 늘고 있습니다.

이 가운데 72명은 아직도 찾지 못했습니다.

특히 5월부터 8월까지, 매달 7백여 명의 실종자가 발생해 겨울철보다 40% 가까이 많습니다.

<인터뷰> 박순자(광주남부경찰서 여성청소년과) : "출입문도 잠기지 않거나, 산책이나 운동을 하러 나오는 경우가 많이 있어서..."

치매 환자의 실종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주변에 치매 사실을 적극적으로 알려야 하고 이사 후에는 더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

<인터뷰> 김병채(전남대병원 신경과 교수) : "지금 살고 있는 집을 남의 집으로 생각하고 다시 옛날 집으로 돌아가려다가 자꾸 실종사고가 일어납니다."

치매 환자에게는 GPS로 위치를 알려주는 배회감지기나 인식표를 확대 보급하는 등 실종사고를 막기 위한 적극적인 대책이 필요합니다.

KBS 뉴스 이한글입니다.

<앵커 멘트>

실종된 치매 환자들은 종종 싸늘한 시신으로 발견되곤 하는데요.

때문에 경찰은 치매 환자가 사라졌을 때 24시간 안에 신속하게 위치를 확인해 수색 범위를 좁히는 게 중요하다고 합니다.

하지만 현행 관련 법에는 본인의 동의없이 보호자가 이동통신사 등에 직접 위치 정보를 요청할 수 있는 대상은 8살 이하 아동 중증 정신 장애인 등으로 한정돼 있습니다. 지금은 치매 환자가 정신장애인에 포함돼 있지 않기 때문에 실종되면 보호자가 경찰에 신고하고 해당 경찰서장의 허가가 있은 뒤에야 경찰이 보호자에게 환자의 위치를 확인해주고 있습니다.

실종자를 찾는 데 관건인 신속한 위치 확인이 사실상 불가능한거죠.

그래서 늘어가는 치매 환자의 실종 문제를 해결하려면 관련법 정비가 급선무라고 전문가들은 지적하고 있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치매 노인 실종 조심!…여름에 ‘급증’
    • 입력 2016-06-01 08:20:31
    • 수정2016-06-01 09:08:47
    아침뉴스타임
<앵커 멘트>

친절한 뉴스 이번엔 대표적 노인성 질환이죠. 치매 관련 소식입니다.

우리 사회에서 인구 고령화가 급속도로 진행되면서 치매 환자도 빠르게 늘고 있습니다.

지난 2011년 치매로 병원 진료를 받은 인원은 29만 4천 여명에서 2013년에는 38만 6천 여명, 지난해에는 45만 9천 여 명으로 5년 만에 50% 넘게 늘었습니다.

한해 평균 10% 넘게 증가하는 셈입니다.

특히 80대는 10명 중 2명이, 90대는 3명이 치매 환자인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이렇게 치매 환자가 급증하면서 한해 진료비도 해마다 늘어 지난해에는 1조원 6천 억원이 훌쩍 넘었습니다.

치매는 뇌 손상으로 일상 생활에 지장이 있을 정도로 기억력이 떨어져서 언어 장애가 온다거나 특히 시간과 장소를 혼동하는 게 대표적 증상인데요.

그래서 치매 환자가 집을 나섰다가 돌아오지 못하고 실종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환자가 늘면서 실종 인원 역시 늘고 있는데요.

2011년 7천명 선에서 지난해는 9천 여명으로 20% 가까이 늘었습니다.

특히 치매 환자가 많이 실종되는 시기가 바로 요즘입니다.

산책이나 운동같은 바깥 활동이 늘면서 치매 환자의 외출이 늘어나기 때문인데요.

이한글 기자의 보도 보시죠.

<리포트>

경찰 70여 명이 농로를 따라 늘어선 채 수색에 나섰습니다.

실종된 치매 환자 73살 박순덕 할머니를 찾고 있습니다.

할머니는 가족들이 잠든 새벽에 집을 나가 20일 넘게 행방이 묘연합니다.

<인터뷰> 김현주(실종자 딸) : "돌아다니시면 제대로 쉴 곳도 없으실 텐데... 어디에 쓰러져 계시진 않을까..."

지난해 전국에서 실종된 치매 환자는 9천여 명으로 해마다 늘고 있습니다.

이 가운데 72명은 아직도 찾지 못했습니다.

특히 5월부터 8월까지, 매달 7백여 명의 실종자가 발생해 겨울철보다 40% 가까이 많습니다.

<인터뷰> 박순자(광주남부경찰서 여성청소년과) : "출입문도 잠기지 않거나, 산책이나 운동을 하러 나오는 경우가 많이 있어서..."

치매 환자의 실종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주변에 치매 사실을 적극적으로 알려야 하고 이사 후에는 더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

<인터뷰> 김병채(전남대병원 신경과 교수) : "지금 살고 있는 집을 남의 집으로 생각하고 다시 옛날 집으로 돌아가려다가 자꾸 실종사고가 일어납니다."

치매 환자에게는 GPS로 위치를 알려주는 배회감지기나 인식표를 확대 보급하는 등 실종사고를 막기 위한 적극적인 대책이 필요합니다.

KBS 뉴스 이한글입니다.

<앵커 멘트>

실종된 치매 환자들은 종종 싸늘한 시신으로 발견되곤 하는데요.

때문에 경찰은 치매 환자가 사라졌을 때 24시간 안에 신속하게 위치를 확인해 수색 범위를 좁히는 게 중요하다고 합니다.

하지만 현행 관련 법에는 본인의 동의없이 보호자가 이동통신사 등에 직접 위치 정보를 요청할 수 있는 대상은 8살 이하 아동 중증 정신 장애인 등으로 한정돼 있습니다. 지금은 치매 환자가 정신장애인에 포함돼 있지 않기 때문에 실종되면 보호자가 경찰에 신고하고 해당 경찰서장의 허가가 있은 뒤에야 경찰이 보호자에게 환자의 위치를 확인해주고 있습니다.

실종자를 찾는 데 관건인 신속한 위치 확인이 사실상 불가능한거죠.

그래서 늘어가는 치매 환자의 실종 문제를 해결하려면 관련법 정비가 급선무라고 전문가들은 지적하고 있습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