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탄 갖고 검색대 통과…항공 보안 ‘구멍’
입력 2016.06.08 (21:41)
수정 2016.06.08 (22:3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전국 공항의 보안 검색에 잇따라 허점이 드러나고 있습니다.
승객이 실탄을 소지한 채 보안 검색대를 통과해 비행기에 탑승하는 일이 두 차례나 벌어졌지만, 아직 어디가 잘못됐는지 파악조차 못하고 있습니다.
이규명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지난 2월, 실탄 1발을 소지한 30대 남성이 청주 공항 보안 검색대를 통과해 항공기에 올랐습니다.
지난달, 김해공항에서도 경찰관이 실탄을 지닌 채 보안 검색대를 통과했습니다.
두 사건 모두 목적지인 제주 공항에서야 실탄 소지 사실이 적발됐습니다.
<녹취> 제주 서부경찰서 관계자(음성변조) : "실수로 가방에 넣었다가 (실탄이) 들어 있는 줄 모르고 (제주로) 내려왔다가 (청주로) 올라갈 때 적발됐다..."
적발된 이후 후속조치도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습니다.
탑승객의 단순 실수라며 해당 공항에 관련 사실을 알리지 않아 보안 검색에 실패한 원인도 파악하지 못했습니다.
<녹취> 한국공항공사 청주지사 관계자(음성변조) : "(적발 이후) 문제가 되면 (공항 측에서) 조치를 해라 이렇게 통보가 왔으면 저희가 공식적으로 조사했을 텐데..."
관련법에는 총기나 탄알 등의 항공기 반입이 확인되는 즉시 국토교통부에 보고하도록 돼 있지만, 이 마저도 지켜지지 않았습니다.
<녹취> 국토교통부 관계자(음성변조) : "(탑승객의 단순 실수라) 큰 문제는 아니다 싶어서 (합동 조사 이후) 조치랄까 통보랄까 그게 잘 안된 거 같습니다."
지난해 유럽발 테러 이후 공항의 보안 검색을 대폭 강화했다고 하지만 공항의 허술한 보안시스템은 시민들을 불안하게 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이규명입니다.
전국 공항의 보안 검색에 잇따라 허점이 드러나고 있습니다.
승객이 실탄을 소지한 채 보안 검색대를 통과해 비행기에 탑승하는 일이 두 차례나 벌어졌지만, 아직 어디가 잘못됐는지 파악조차 못하고 있습니다.
이규명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지난 2월, 실탄 1발을 소지한 30대 남성이 청주 공항 보안 검색대를 통과해 항공기에 올랐습니다.
지난달, 김해공항에서도 경찰관이 실탄을 지닌 채 보안 검색대를 통과했습니다.
두 사건 모두 목적지인 제주 공항에서야 실탄 소지 사실이 적발됐습니다.
<녹취> 제주 서부경찰서 관계자(음성변조) : "실수로 가방에 넣었다가 (실탄이) 들어 있는 줄 모르고 (제주로) 내려왔다가 (청주로) 올라갈 때 적발됐다..."
적발된 이후 후속조치도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습니다.
탑승객의 단순 실수라며 해당 공항에 관련 사실을 알리지 않아 보안 검색에 실패한 원인도 파악하지 못했습니다.
<녹취> 한국공항공사 청주지사 관계자(음성변조) : "(적발 이후) 문제가 되면 (공항 측에서) 조치를 해라 이렇게 통보가 왔으면 저희가 공식적으로 조사했을 텐데..."
관련법에는 총기나 탄알 등의 항공기 반입이 확인되는 즉시 국토교통부에 보고하도록 돼 있지만, 이 마저도 지켜지지 않았습니다.
<녹취> 국토교통부 관계자(음성변조) : "(탑승객의 단순 실수라) 큰 문제는 아니다 싶어서 (합동 조사 이후) 조치랄까 통보랄까 그게 잘 안된 거 같습니다."
지난해 유럽발 테러 이후 공항의 보안 검색을 대폭 강화했다고 하지만 공항의 허술한 보안시스템은 시민들을 불안하게 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이규명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실탄 갖고 검색대 통과…항공 보안 ‘구멍’
-
- 입력 2016-06-08 21:43:04
- 수정2016-06-08 22:34:29

<앵커 멘트>
전국 공항의 보안 검색에 잇따라 허점이 드러나고 있습니다.
승객이 실탄을 소지한 채 보안 검색대를 통과해 비행기에 탑승하는 일이 두 차례나 벌어졌지만, 아직 어디가 잘못됐는지 파악조차 못하고 있습니다.
이규명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지난 2월, 실탄 1발을 소지한 30대 남성이 청주 공항 보안 검색대를 통과해 항공기에 올랐습니다.
지난달, 김해공항에서도 경찰관이 실탄을 지닌 채 보안 검색대를 통과했습니다.
두 사건 모두 목적지인 제주 공항에서야 실탄 소지 사실이 적발됐습니다.
<녹취> 제주 서부경찰서 관계자(음성변조) : "실수로 가방에 넣었다가 (실탄이) 들어 있는 줄 모르고 (제주로) 내려왔다가 (청주로) 올라갈 때 적발됐다..."
적발된 이후 후속조치도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습니다.
탑승객의 단순 실수라며 해당 공항에 관련 사실을 알리지 않아 보안 검색에 실패한 원인도 파악하지 못했습니다.
<녹취> 한국공항공사 청주지사 관계자(음성변조) : "(적발 이후) 문제가 되면 (공항 측에서) 조치를 해라 이렇게 통보가 왔으면 저희가 공식적으로 조사했을 텐데..."
관련법에는 총기나 탄알 등의 항공기 반입이 확인되는 즉시 국토교통부에 보고하도록 돼 있지만, 이 마저도 지켜지지 않았습니다.
<녹취> 국토교통부 관계자(음성변조) : "(탑승객의 단순 실수라) 큰 문제는 아니다 싶어서 (합동 조사 이후) 조치랄까 통보랄까 그게 잘 안된 거 같습니다."
지난해 유럽발 테러 이후 공항의 보안 검색을 대폭 강화했다고 하지만 공항의 허술한 보안시스템은 시민들을 불안하게 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이규명입니다.
전국 공항의 보안 검색에 잇따라 허점이 드러나고 있습니다.
승객이 실탄을 소지한 채 보안 검색대를 통과해 비행기에 탑승하는 일이 두 차례나 벌어졌지만, 아직 어디가 잘못됐는지 파악조차 못하고 있습니다.
이규명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지난 2월, 실탄 1발을 소지한 30대 남성이 청주 공항 보안 검색대를 통과해 항공기에 올랐습니다.
지난달, 김해공항에서도 경찰관이 실탄을 지닌 채 보안 검색대를 통과했습니다.
두 사건 모두 목적지인 제주 공항에서야 실탄 소지 사실이 적발됐습니다.
<녹취> 제주 서부경찰서 관계자(음성변조) : "실수로 가방에 넣었다가 (실탄이) 들어 있는 줄 모르고 (제주로) 내려왔다가 (청주로) 올라갈 때 적발됐다..."
적발된 이후 후속조치도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습니다.
탑승객의 단순 실수라며 해당 공항에 관련 사실을 알리지 않아 보안 검색에 실패한 원인도 파악하지 못했습니다.
<녹취> 한국공항공사 청주지사 관계자(음성변조) : "(적발 이후) 문제가 되면 (공항 측에서) 조치를 해라 이렇게 통보가 왔으면 저희가 공식적으로 조사했을 텐데..."
관련법에는 총기나 탄알 등의 항공기 반입이 확인되는 즉시 국토교통부에 보고하도록 돼 있지만, 이 마저도 지켜지지 않았습니다.
<녹취> 국토교통부 관계자(음성변조) : "(탑승객의 단순 실수라) 큰 문제는 아니다 싶어서 (합동 조사 이후) 조치랄까 통보랄까 그게 잘 안된 거 같습니다."
지난해 유럽발 테러 이후 공항의 보안 검색을 대폭 강화했다고 하지만 공항의 허술한 보안시스템은 시민들을 불안하게 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이규명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