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자니아 내 北 병원, ‘엉터리 진료’에 ‘엉터리 처방’
입력 2016.06.20 (06:15)
수정 2016.06.20 (20:43)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탄자니아 내 북한 병원의 불법 운영과 엉터리 진료, 탈세 현장을 최근 KBS가 보도했는데요.
탄자니아 시민들이 어떤 검사를 받고, 또 어떤 약을 처방 받는지 내역을 입수해 봤습니다.
탄자니아에서 김덕훈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북한 의료진이 환자를 진단할 때 쓰는 기계입니다.
기계와 연결된 손잡이를 환자에게 들려주더니, 금세 진단을 내립니다.
<녹취> 북한 의료진 : "혈관이 거의 다 막혀 있는데요? 반드시 링거를 맞아야만 합니다. 주사 바늘 꽂을 거예요."
다른 부위도 문제가 많다고 겁을 줍니다.
<녹취> 북한 의료진 : "팔꿈치, 무릎 관절 다 문제네요."
하지만 처방에는 근거가 빈약하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입니다.
<녹취> 이재갑(한림대 감염내과 교수) : "혈관이 막힌 것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초음파나 CT 같은 영상 기기가 필요하거든요. (이런) 검사 없이 진단하는 건 의학적이지 않습니다."
북한 병원은, 인단이나 심장약 등 탄자니아 내에서 허가 받지 않거나 효능이 불분명한 약을 처방합니다.
이른바 '만병통치약'도 있습니다.
<녹취> 북한 병원 진료 경험자(음성변조) : "갈 때마다 북한 병원 의사들이 제게 내리는 병명이 달라져요. 그런데 처방하는 약은 항상 같았죠,"
한 번 진료받는 데 최소 10달러가 듭니다.
탄자니아 국민 평균 월 수입의 1/15 수준입니다.
<녹취> 김용현(동국대 북한학과 교수) : "보통 (북한 파견 노동자들이) 해당 국가에서 저임금 속에서 착취 당하는 구조라면, (탄자니아는) 북한 의료진이 과잉 진료를 통해 오히려 착취하는 구조입니다."
탄자니아 정부가 단속하고 있지만 암암리에 이뤄지는 불법 진료에 시민들 피해가 커지고 있습니다.
KBS 뉴스 김덕훈입니다.
탄자니아 내 북한 병원의 불법 운영과 엉터리 진료, 탈세 현장을 최근 KBS가 보도했는데요.
탄자니아 시민들이 어떤 검사를 받고, 또 어떤 약을 처방 받는지 내역을 입수해 봤습니다.
탄자니아에서 김덕훈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북한 의료진이 환자를 진단할 때 쓰는 기계입니다.
기계와 연결된 손잡이를 환자에게 들려주더니, 금세 진단을 내립니다.
<녹취> 북한 의료진 : "혈관이 거의 다 막혀 있는데요? 반드시 링거를 맞아야만 합니다. 주사 바늘 꽂을 거예요."
다른 부위도 문제가 많다고 겁을 줍니다.
<녹취> 북한 의료진 : "팔꿈치, 무릎 관절 다 문제네요."
하지만 처방에는 근거가 빈약하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입니다.
<녹취> 이재갑(한림대 감염내과 교수) : "혈관이 막힌 것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초음파나 CT 같은 영상 기기가 필요하거든요. (이런) 검사 없이 진단하는 건 의학적이지 않습니다."
북한 병원은, 인단이나 심장약 등 탄자니아 내에서 허가 받지 않거나 효능이 불분명한 약을 처방합니다.
이른바 '만병통치약'도 있습니다.
<녹취> 북한 병원 진료 경험자(음성변조) : "갈 때마다 북한 병원 의사들이 제게 내리는 병명이 달라져요. 그런데 처방하는 약은 항상 같았죠,"
한 번 진료받는 데 최소 10달러가 듭니다.
탄자니아 국민 평균 월 수입의 1/15 수준입니다.
<녹취> 김용현(동국대 북한학과 교수) : "보통 (북한 파견 노동자들이) 해당 국가에서 저임금 속에서 착취 당하는 구조라면, (탄자니아는) 북한 의료진이 과잉 진료를 통해 오히려 착취하는 구조입니다."
탄자니아 정부가 단속하고 있지만 암암리에 이뤄지는 불법 진료에 시민들 피해가 커지고 있습니다.
KBS 뉴스 김덕훈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탄자니아 내 北 병원, ‘엉터리 진료’에 ‘엉터리 처방’
-
- 입력 2016-06-20 06:18:06
- 수정2016-06-20 20:43:41

<앵커 멘트>
탄자니아 내 북한 병원의 불법 운영과 엉터리 진료, 탈세 현장을 최근 KBS가 보도했는데요.
탄자니아 시민들이 어떤 검사를 받고, 또 어떤 약을 처방 받는지 내역을 입수해 봤습니다.
탄자니아에서 김덕훈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북한 의료진이 환자를 진단할 때 쓰는 기계입니다.
기계와 연결된 손잡이를 환자에게 들려주더니, 금세 진단을 내립니다.
<녹취> 북한 의료진 : "혈관이 거의 다 막혀 있는데요? 반드시 링거를 맞아야만 합니다. 주사 바늘 꽂을 거예요."
다른 부위도 문제가 많다고 겁을 줍니다.
<녹취> 북한 의료진 : "팔꿈치, 무릎 관절 다 문제네요."
하지만 처방에는 근거가 빈약하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입니다.
<녹취> 이재갑(한림대 감염내과 교수) : "혈관이 막힌 것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초음파나 CT 같은 영상 기기가 필요하거든요. (이런) 검사 없이 진단하는 건 의학적이지 않습니다."
북한 병원은, 인단이나 심장약 등 탄자니아 내에서 허가 받지 않거나 효능이 불분명한 약을 처방합니다.
이른바 '만병통치약'도 있습니다.
<녹취> 북한 병원 진료 경험자(음성변조) : "갈 때마다 북한 병원 의사들이 제게 내리는 병명이 달라져요. 그런데 처방하는 약은 항상 같았죠,"
한 번 진료받는 데 최소 10달러가 듭니다.
탄자니아 국민 평균 월 수입의 1/15 수준입니다.
<녹취> 김용현(동국대 북한학과 교수) : "보통 (북한 파견 노동자들이) 해당 국가에서 저임금 속에서 착취 당하는 구조라면, (탄자니아는) 북한 의료진이 과잉 진료를 통해 오히려 착취하는 구조입니다."
탄자니아 정부가 단속하고 있지만 암암리에 이뤄지는 불법 진료에 시민들 피해가 커지고 있습니다.
KBS 뉴스 김덕훈입니다.
탄자니아 내 북한 병원의 불법 운영과 엉터리 진료, 탈세 현장을 최근 KBS가 보도했는데요.
탄자니아 시민들이 어떤 검사를 받고, 또 어떤 약을 처방 받는지 내역을 입수해 봤습니다.
탄자니아에서 김덕훈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북한 의료진이 환자를 진단할 때 쓰는 기계입니다.
기계와 연결된 손잡이를 환자에게 들려주더니, 금세 진단을 내립니다.
<녹취> 북한 의료진 : "혈관이 거의 다 막혀 있는데요? 반드시 링거를 맞아야만 합니다. 주사 바늘 꽂을 거예요."
다른 부위도 문제가 많다고 겁을 줍니다.
<녹취> 북한 의료진 : "팔꿈치, 무릎 관절 다 문제네요."
하지만 처방에는 근거가 빈약하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입니다.
<녹취> 이재갑(한림대 감염내과 교수) : "혈관이 막힌 것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초음파나 CT 같은 영상 기기가 필요하거든요. (이런) 검사 없이 진단하는 건 의학적이지 않습니다."
북한 병원은, 인단이나 심장약 등 탄자니아 내에서 허가 받지 않거나 효능이 불분명한 약을 처방합니다.
이른바 '만병통치약'도 있습니다.
<녹취> 북한 병원 진료 경험자(음성변조) : "갈 때마다 북한 병원 의사들이 제게 내리는 병명이 달라져요. 그런데 처방하는 약은 항상 같았죠,"
한 번 진료받는 데 최소 10달러가 듭니다.
탄자니아 국민 평균 월 수입의 1/15 수준입니다.
<녹취> 김용현(동국대 북한학과 교수) : "보통 (북한 파견 노동자들이) 해당 국가에서 저임금 속에서 착취 당하는 구조라면, (탄자니아는) 북한 의료진이 과잉 진료를 통해 오히려 착취하는 구조입니다."
탄자니아 정부가 단속하고 있지만 암암리에 이뤄지는 불법 진료에 시민들 피해가 커지고 있습니다.
KBS 뉴스 김덕훈입니다.
-
-
김덕훈 기자 standby@kbs.co.kr
김덕훈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