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란만장 ‘신공항’ 논의부터 백지화까지
입력 2016.06.21 (21:12)
수정 2016.06.21 (22:23)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영남권 신공항 사업은 검토가 처음 시작되고서부터, 10년 넘게 추진돼 왔습니다.
그동안 백지화와 재추진, 지자체간 과열 유치 경쟁이 벌어지면서, 지역갈등도 극에 달했는데요,
그동안의 추진 경과를 김지숙 기자가 돌아봤습니다.
<리포트>
영남권 신공항이 국가 차원에서 검토된 건 2006년 노무현 정부 때 부터입니다.
김해공항 이용객이 빠르게 늘어 머지않아 포화 상태에 이를 것이라며 적극 검토가 필요하다는 용역 결과가 발표됩니다.
신공항을 공약으로 내건 이명박 대통령이 당선되자, 국책사업 중 하나로 추진됐고, 35개였던 후보지는 최종적으로 부산 가덕도와 경남 밀양 두 곳으로 압축됐습니다.
유치 경쟁이 과열되면서 영남권이 둘로 나뉘어 첨예한 갈등을 빚었고, 결국 정부는 신공항 추진 계획 자체를 백지화했습니다.
<녹취> 박창호(신공항 입지평가위원장/2011년 3월 30일) : "사업비가 과다하고 경제성이 미흡하여 공항 입지로서는 적합하지 않다는 결론을 도출하였습니다."
수면 아래로 가라앉는 듯 했던 영남권 신공항은 불과 1년 뒤 박근혜, 문재인 당시 대선 후보들이 공약으로 내걸면서 다시 살아나게 됐고, 박 대통령 취임 직후 공식 재추진됐습니다.
지역 갈등 재연 조짐이 나타나자 지난해 1월, 영남권 5개 시도 단체장은 유치 경쟁을 자제하고, 외국 전문기관의 용역 결과에 따르기로 합의합니다.
<녹취> 서병수(부산시장/지난해 1월 19일) : "국가 백년대계를 위해서 필요한 그런 공항의 위치가 선정이 반드시 되도록..."
<녹취> 홍준표(경남지사/지난해 1월 19일) : "국가 전체 이익을 위해서 판단하는 것으로 그렇게 백지 위임하는 것이 맞지..."
하지만, 발표가 임박하면서 약속은 백짓장이 됐고, 지역 갈등이 다시 불붙었습니다.
양 극단의 치열한 다툼 속에 최종 결론은 제3안으로 내려졌습니다.
KBS 뉴스 김지숙입니다.
영남권 신공항 사업은 검토가 처음 시작되고서부터, 10년 넘게 추진돼 왔습니다.
그동안 백지화와 재추진, 지자체간 과열 유치 경쟁이 벌어지면서, 지역갈등도 극에 달했는데요,
그동안의 추진 경과를 김지숙 기자가 돌아봤습니다.
<리포트>
영남권 신공항이 국가 차원에서 검토된 건 2006년 노무현 정부 때 부터입니다.
김해공항 이용객이 빠르게 늘어 머지않아 포화 상태에 이를 것이라며 적극 검토가 필요하다는 용역 결과가 발표됩니다.
신공항을 공약으로 내건 이명박 대통령이 당선되자, 국책사업 중 하나로 추진됐고, 35개였던 후보지는 최종적으로 부산 가덕도와 경남 밀양 두 곳으로 압축됐습니다.
유치 경쟁이 과열되면서 영남권이 둘로 나뉘어 첨예한 갈등을 빚었고, 결국 정부는 신공항 추진 계획 자체를 백지화했습니다.
<녹취> 박창호(신공항 입지평가위원장/2011년 3월 30일) : "사업비가 과다하고 경제성이 미흡하여 공항 입지로서는 적합하지 않다는 결론을 도출하였습니다."
수면 아래로 가라앉는 듯 했던 영남권 신공항은 불과 1년 뒤 박근혜, 문재인 당시 대선 후보들이 공약으로 내걸면서 다시 살아나게 됐고, 박 대통령 취임 직후 공식 재추진됐습니다.
지역 갈등 재연 조짐이 나타나자 지난해 1월, 영남권 5개 시도 단체장은 유치 경쟁을 자제하고, 외국 전문기관의 용역 결과에 따르기로 합의합니다.
<녹취> 서병수(부산시장/지난해 1월 19일) : "국가 백년대계를 위해서 필요한 그런 공항의 위치가 선정이 반드시 되도록..."
<녹취> 홍준표(경남지사/지난해 1월 19일) : "국가 전체 이익을 위해서 판단하는 것으로 그렇게 백지 위임하는 것이 맞지..."
하지만, 발표가 임박하면서 약속은 백짓장이 됐고, 지역 갈등이 다시 불붙었습니다.
양 극단의 치열한 다툼 속에 최종 결론은 제3안으로 내려졌습니다.
KBS 뉴스 김지숙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파란만장 ‘신공항’ 논의부터 백지화까지
-
- 입력 2016-06-21 21:13:26
- 수정2016-06-21 22:23:26

<앵커 멘트>
영남권 신공항 사업은 검토가 처음 시작되고서부터, 10년 넘게 추진돼 왔습니다.
그동안 백지화와 재추진, 지자체간 과열 유치 경쟁이 벌어지면서, 지역갈등도 극에 달했는데요,
그동안의 추진 경과를 김지숙 기자가 돌아봤습니다.
<리포트>
영남권 신공항이 국가 차원에서 검토된 건 2006년 노무현 정부 때 부터입니다.
김해공항 이용객이 빠르게 늘어 머지않아 포화 상태에 이를 것이라며 적극 검토가 필요하다는 용역 결과가 발표됩니다.
신공항을 공약으로 내건 이명박 대통령이 당선되자, 국책사업 중 하나로 추진됐고, 35개였던 후보지는 최종적으로 부산 가덕도와 경남 밀양 두 곳으로 압축됐습니다.
유치 경쟁이 과열되면서 영남권이 둘로 나뉘어 첨예한 갈등을 빚었고, 결국 정부는 신공항 추진 계획 자체를 백지화했습니다.
<녹취> 박창호(신공항 입지평가위원장/2011년 3월 30일) : "사업비가 과다하고 경제성이 미흡하여 공항 입지로서는 적합하지 않다는 결론을 도출하였습니다."
수면 아래로 가라앉는 듯 했던 영남권 신공항은 불과 1년 뒤 박근혜, 문재인 당시 대선 후보들이 공약으로 내걸면서 다시 살아나게 됐고, 박 대통령 취임 직후 공식 재추진됐습니다.
지역 갈등 재연 조짐이 나타나자 지난해 1월, 영남권 5개 시도 단체장은 유치 경쟁을 자제하고, 외국 전문기관의 용역 결과에 따르기로 합의합니다.
<녹취> 서병수(부산시장/지난해 1월 19일) : "국가 백년대계를 위해서 필요한 그런 공항의 위치가 선정이 반드시 되도록..."
<녹취> 홍준표(경남지사/지난해 1월 19일) : "국가 전체 이익을 위해서 판단하는 것으로 그렇게 백지 위임하는 것이 맞지..."
하지만, 발표가 임박하면서 약속은 백짓장이 됐고, 지역 갈등이 다시 불붙었습니다.
양 극단의 치열한 다툼 속에 최종 결론은 제3안으로 내려졌습니다.
KBS 뉴스 김지숙입니다.
영남권 신공항 사업은 검토가 처음 시작되고서부터, 10년 넘게 추진돼 왔습니다.
그동안 백지화와 재추진, 지자체간 과열 유치 경쟁이 벌어지면서, 지역갈등도 극에 달했는데요,
그동안의 추진 경과를 김지숙 기자가 돌아봤습니다.
<리포트>
영남권 신공항이 국가 차원에서 검토된 건 2006년 노무현 정부 때 부터입니다.
김해공항 이용객이 빠르게 늘어 머지않아 포화 상태에 이를 것이라며 적극 검토가 필요하다는 용역 결과가 발표됩니다.
신공항을 공약으로 내건 이명박 대통령이 당선되자, 국책사업 중 하나로 추진됐고, 35개였던 후보지는 최종적으로 부산 가덕도와 경남 밀양 두 곳으로 압축됐습니다.
유치 경쟁이 과열되면서 영남권이 둘로 나뉘어 첨예한 갈등을 빚었고, 결국 정부는 신공항 추진 계획 자체를 백지화했습니다.
<녹취> 박창호(신공항 입지평가위원장/2011년 3월 30일) : "사업비가 과다하고 경제성이 미흡하여 공항 입지로서는 적합하지 않다는 결론을 도출하였습니다."
수면 아래로 가라앉는 듯 했던 영남권 신공항은 불과 1년 뒤 박근혜, 문재인 당시 대선 후보들이 공약으로 내걸면서 다시 살아나게 됐고, 박 대통령 취임 직후 공식 재추진됐습니다.
지역 갈등 재연 조짐이 나타나자 지난해 1월, 영남권 5개 시도 단체장은 유치 경쟁을 자제하고, 외국 전문기관의 용역 결과에 따르기로 합의합니다.
<녹취> 서병수(부산시장/지난해 1월 19일) : "국가 백년대계를 위해서 필요한 그런 공항의 위치가 선정이 반드시 되도록..."
<녹취> 홍준표(경남지사/지난해 1월 19일) : "국가 전체 이익을 위해서 판단하는 것으로 그렇게 백지 위임하는 것이 맞지..."
하지만, 발표가 임박하면서 약속은 백짓장이 됐고, 지역 갈등이 다시 불붙었습니다.
양 극단의 치열한 다툼 속에 최종 결론은 제3안으로 내려졌습니다.
KBS 뉴스 김지숙입니다.
-
-
김지숙 기자 jskim84@kbs.co.kr
김지숙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슈
영남권 신공항 발표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