軍·수자원공사 “비상 체제”…정보 공유 ‘미흡’
입력 2016.06.27 (23:22)
수정 2016.06.28 (01:3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우리 군 당국이 북한 임진강 황강댐의 기습 방류 가능성에 대비해 관계 기관과 협조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하지만 취재 결과 최근까지도 관련 정보가 제대로 공유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유광석 기자입니다.
<리포트>
장마를 앞두고도 물을 가득 채우고 있는 북한 황강댐.
군 당국도 현재 황강댐이 만수위 상태가 맞다며 대비 태세를 갖추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녹취> 문상균(국방부 대변인) : "상당히 만수위에 찬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유관 기관과 정보를 공유하면서 긴밀한 협조 체계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우리측 군남댐을 관리하는 수자원공사도 지난주 군으로부터 관련 상황을 통보받고 24시간 비상 근무 체계에 들어갔습니다.
하지만 이 같은 정보 공유는 그동안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습니다.
<녹취> 수자원공사 관계자 : "(그 전에는 그런 게 없었습니까? 정보를 주겠다고?) 없어요. 군은 아무래도 군 기밀이다 보니까.."
수자원공사가 기습 방류를 알 수 있는 시점은 밀려온 물이 군사분계선 필승교를 지날 때입니다.
여기서 군남댐까지는 불과 10km, 대처 시간은 30분에 불과합니다.
이에 반해 군 당국은 감시 자산을 통해 2시간마다 황강댐 상황을 확인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2009년 6명이 숨진 뒤에도 북한이 해마다 기습 방류를 거듭해온 상황에서 우리 국민들이 위험에 노출돼 온 셈입니다.
이에 대해 군 당국은 그동안 가능한 정보는 공유해 왔으며, 다만 정보 자산으로 취득한 내용이라서 일부 공개가 제한된 경우가 있었다고 해명했습니다.
KBS 뉴스 유광석입니다.
우리 군 당국이 북한 임진강 황강댐의 기습 방류 가능성에 대비해 관계 기관과 협조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하지만 취재 결과 최근까지도 관련 정보가 제대로 공유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유광석 기자입니다.
<리포트>
장마를 앞두고도 물을 가득 채우고 있는 북한 황강댐.
군 당국도 현재 황강댐이 만수위 상태가 맞다며 대비 태세를 갖추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녹취> 문상균(국방부 대변인) : "상당히 만수위에 찬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유관 기관과 정보를 공유하면서 긴밀한 협조 체계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우리측 군남댐을 관리하는 수자원공사도 지난주 군으로부터 관련 상황을 통보받고 24시간 비상 근무 체계에 들어갔습니다.
하지만 이 같은 정보 공유는 그동안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습니다.
<녹취> 수자원공사 관계자 : "(그 전에는 그런 게 없었습니까? 정보를 주겠다고?) 없어요. 군은 아무래도 군 기밀이다 보니까.."
수자원공사가 기습 방류를 알 수 있는 시점은 밀려온 물이 군사분계선 필승교를 지날 때입니다.
여기서 군남댐까지는 불과 10km, 대처 시간은 30분에 불과합니다.
이에 반해 군 당국은 감시 자산을 통해 2시간마다 황강댐 상황을 확인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2009년 6명이 숨진 뒤에도 북한이 해마다 기습 방류를 거듭해온 상황에서 우리 국민들이 위험에 노출돼 온 셈입니다.
이에 대해 군 당국은 그동안 가능한 정보는 공유해 왔으며, 다만 정보 자산으로 취득한 내용이라서 일부 공개가 제한된 경우가 있었다고 해명했습니다.
KBS 뉴스 유광석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軍·수자원공사 “비상 체제”…정보 공유 ‘미흡’
-
- 입력 2016-06-27 23:44:12
- 수정2016-06-28 01:37:55

<앵커 멘트>
우리 군 당국이 북한 임진강 황강댐의 기습 방류 가능성에 대비해 관계 기관과 협조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하지만 취재 결과 최근까지도 관련 정보가 제대로 공유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유광석 기자입니다.
<리포트>
장마를 앞두고도 물을 가득 채우고 있는 북한 황강댐.
군 당국도 현재 황강댐이 만수위 상태가 맞다며 대비 태세를 갖추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녹취> 문상균(국방부 대변인) : "상당히 만수위에 찬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유관 기관과 정보를 공유하면서 긴밀한 협조 체계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우리측 군남댐을 관리하는 수자원공사도 지난주 군으로부터 관련 상황을 통보받고 24시간 비상 근무 체계에 들어갔습니다.
하지만 이 같은 정보 공유는 그동안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습니다.
<녹취> 수자원공사 관계자 : "(그 전에는 그런 게 없었습니까? 정보를 주겠다고?) 없어요. 군은 아무래도 군 기밀이다 보니까.."
수자원공사가 기습 방류를 알 수 있는 시점은 밀려온 물이 군사분계선 필승교를 지날 때입니다.
여기서 군남댐까지는 불과 10km, 대처 시간은 30분에 불과합니다.
이에 반해 군 당국은 감시 자산을 통해 2시간마다 황강댐 상황을 확인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2009년 6명이 숨진 뒤에도 북한이 해마다 기습 방류를 거듭해온 상황에서 우리 국민들이 위험에 노출돼 온 셈입니다.
이에 대해 군 당국은 그동안 가능한 정보는 공유해 왔으며, 다만 정보 자산으로 취득한 내용이라서 일부 공개가 제한된 경우가 있었다고 해명했습니다.
KBS 뉴스 유광석입니다.
우리 군 당국이 북한 임진강 황강댐의 기습 방류 가능성에 대비해 관계 기관과 협조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하지만 취재 결과 최근까지도 관련 정보가 제대로 공유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유광석 기자입니다.
<리포트>
장마를 앞두고도 물을 가득 채우고 있는 북한 황강댐.
군 당국도 현재 황강댐이 만수위 상태가 맞다며 대비 태세를 갖추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녹취> 문상균(국방부 대변인) : "상당히 만수위에 찬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유관 기관과 정보를 공유하면서 긴밀한 협조 체계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우리측 군남댐을 관리하는 수자원공사도 지난주 군으로부터 관련 상황을 통보받고 24시간 비상 근무 체계에 들어갔습니다.
하지만 이 같은 정보 공유는 그동안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습니다.
<녹취> 수자원공사 관계자 : "(그 전에는 그런 게 없었습니까? 정보를 주겠다고?) 없어요. 군은 아무래도 군 기밀이다 보니까.."
수자원공사가 기습 방류를 알 수 있는 시점은 밀려온 물이 군사분계선 필승교를 지날 때입니다.
여기서 군남댐까지는 불과 10km, 대처 시간은 30분에 불과합니다.
이에 반해 군 당국은 감시 자산을 통해 2시간마다 황강댐 상황을 확인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2009년 6명이 숨진 뒤에도 북한이 해마다 기습 방류를 거듭해온 상황에서 우리 국민들이 위험에 노출돼 온 셈입니다.
이에 대해 군 당국은 그동안 가능한 정보는 공유해 왔으며, 다만 정보 자산으로 취득한 내용이라서 일부 공개가 제한된 경우가 있었다고 해명했습니다.
KBS 뉴스 유광석입니다.
-
-
유광석 기자 ksyoo@kbs.co.kr
유광석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