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맛비에 ‘와르르’…산사태 취약지구 증가
입력 2016.07.06 (19:07)
수정 2016.07.06 (19:1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계속되는 장맛비로 전국 곳곳의 산비탈에서 토사 유출이 잇따르고 있는데요.
이처럼 토사 유출이 반복되면 지반이 약해져 산사태가 일어날 우려가 높습니다.
이지윤 기자입니다.
<리포트>
흙탕물이 돌담을 넘어 길 아래로 콸콸콸 쏟아집니다.
산비탈에 위치한 공사장의 토사도 강한 빗줄기에 휩쓸려 내려옵니다.
바로 옆에는 중증 장애인 150명이 생활하는 장애인 시설이 있습니다.
강한 비에 공사장의 토사가 무너져내려 계곡을 막고 장애인 생활구역까지 흘러넘쳤습니다.
<인터뷰> 이규선(장애인 시설 관계자) : "물이 시설 위로 넘치고, 그게 따라서 밑에까지 내려가서 저희 시설 일부가 잠기기도 했고요."
흘러내린 토사는 초등학교와 상가까지 덮쳤습니다.
<녹취> 비 피해 상가 상인(세종시 연동면) : "옆 가게까지 다 흙탕물이 투입이 된 상태죠. 저쪽 끝에 창고하고 간판 있는 데하고 재료가 있는 데까지 흙탕물이 들어왔으니까요"
춘천의 중앙고속도로에서도 15톤의 토사가 쏟아지는 등 산사태 위험이 커지고 있습니다.
지난해 기준 산사태 취약지구는 전국에 약 19,000 곳, 전년도에 비해 배 가까이 늘었는데, 산지가 많은 강원과 영남권이 특히 산사태에 취약합니다.
<인터뷰> 이용권(산림청 산사태방지과) : "산지 전용을 통해서 산사태 발생의 인위적 원인이 증가한다는 것은 분명한 사실입니다."
산림청은 산사태 정보어플 등을 통해 주변 위험지역을 미리 파악하고 위험에 대비할 것을 당부했습니다.
KBS 뉴스 이지윤입니다.
계속되는 장맛비로 전국 곳곳의 산비탈에서 토사 유출이 잇따르고 있는데요.
이처럼 토사 유출이 반복되면 지반이 약해져 산사태가 일어날 우려가 높습니다.
이지윤 기자입니다.
<리포트>
흙탕물이 돌담을 넘어 길 아래로 콸콸콸 쏟아집니다.
산비탈에 위치한 공사장의 토사도 강한 빗줄기에 휩쓸려 내려옵니다.
바로 옆에는 중증 장애인 150명이 생활하는 장애인 시설이 있습니다.
강한 비에 공사장의 토사가 무너져내려 계곡을 막고 장애인 생활구역까지 흘러넘쳤습니다.
<인터뷰> 이규선(장애인 시설 관계자) : "물이 시설 위로 넘치고, 그게 따라서 밑에까지 내려가서 저희 시설 일부가 잠기기도 했고요."
흘러내린 토사는 초등학교와 상가까지 덮쳤습니다.
<녹취> 비 피해 상가 상인(세종시 연동면) : "옆 가게까지 다 흙탕물이 투입이 된 상태죠. 저쪽 끝에 창고하고 간판 있는 데하고 재료가 있는 데까지 흙탕물이 들어왔으니까요"
춘천의 중앙고속도로에서도 15톤의 토사가 쏟아지는 등 산사태 위험이 커지고 있습니다.
지난해 기준 산사태 취약지구는 전국에 약 19,000 곳, 전년도에 비해 배 가까이 늘었는데, 산지가 많은 강원과 영남권이 특히 산사태에 취약합니다.
<인터뷰> 이용권(산림청 산사태방지과) : "산지 전용을 통해서 산사태 발생의 인위적 원인이 증가한다는 것은 분명한 사실입니다."
산림청은 산사태 정보어플 등을 통해 주변 위험지역을 미리 파악하고 위험에 대비할 것을 당부했습니다.
KBS 뉴스 이지윤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장맛비에 ‘와르르’…산사태 취약지구 증가
-
- 입력 2016-07-06 19:11:02
- 수정2016-07-06 19:16:44

<앵커 멘트>
계속되는 장맛비로 전국 곳곳의 산비탈에서 토사 유출이 잇따르고 있는데요.
이처럼 토사 유출이 반복되면 지반이 약해져 산사태가 일어날 우려가 높습니다.
이지윤 기자입니다.
<리포트>
흙탕물이 돌담을 넘어 길 아래로 콸콸콸 쏟아집니다.
산비탈에 위치한 공사장의 토사도 강한 빗줄기에 휩쓸려 내려옵니다.
바로 옆에는 중증 장애인 150명이 생활하는 장애인 시설이 있습니다.
강한 비에 공사장의 토사가 무너져내려 계곡을 막고 장애인 생활구역까지 흘러넘쳤습니다.
<인터뷰> 이규선(장애인 시설 관계자) : "물이 시설 위로 넘치고, 그게 따라서 밑에까지 내려가서 저희 시설 일부가 잠기기도 했고요."
흘러내린 토사는 초등학교와 상가까지 덮쳤습니다.
<녹취> 비 피해 상가 상인(세종시 연동면) : "옆 가게까지 다 흙탕물이 투입이 된 상태죠. 저쪽 끝에 창고하고 간판 있는 데하고 재료가 있는 데까지 흙탕물이 들어왔으니까요"
춘천의 중앙고속도로에서도 15톤의 토사가 쏟아지는 등 산사태 위험이 커지고 있습니다.
지난해 기준 산사태 취약지구는 전국에 약 19,000 곳, 전년도에 비해 배 가까이 늘었는데, 산지가 많은 강원과 영남권이 특히 산사태에 취약합니다.
<인터뷰> 이용권(산림청 산사태방지과) : "산지 전용을 통해서 산사태 발생의 인위적 원인이 증가한다는 것은 분명한 사실입니다."
산림청은 산사태 정보어플 등을 통해 주변 위험지역을 미리 파악하고 위험에 대비할 것을 당부했습니다.
KBS 뉴스 이지윤입니다.
계속되는 장맛비로 전국 곳곳의 산비탈에서 토사 유출이 잇따르고 있는데요.
이처럼 토사 유출이 반복되면 지반이 약해져 산사태가 일어날 우려가 높습니다.
이지윤 기자입니다.
<리포트>
흙탕물이 돌담을 넘어 길 아래로 콸콸콸 쏟아집니다.
산비탈에 위치한 공사장의 토사도 강한 빗줄기에 휩쓸려 내려옵니다.
바로 옆에는 중증 장애인 150명이 생활하는 장애인 시설이 있습니다.
강한 비에 공사장의 토사가 무너져내려 계곡을 막고 장애인 생활구역까지 흘러넘쳤습니다.
<인터뷰> 이규선(장애인 시설 관계자) : "물이 시설 위로 넘치고, 그게 따라서 밑에까지 내려가서 저희 시설 일부가 잠기기도 했고요."
흘러내린 토사는 초등학교와 상가까지 덮쳤습니다.
<녹취> 비 피해 상가 상인(세종시 연동면) : "옆 가게까지 다 흙탕물이 투입이 된 상태죠. 저쪽 끝에 창고하고 간판 있는 데하고 재료가 있는 데까지 흙탕물이 들어왔으니까요"
춘천의 중앙고속도로에서도 15톤의 토사가 쏟아지는 등 산사태 위험이 커지고 있습니다.
지난해 기준 산사태 취약지구는 전국에 약 19,000 곳, 전년도에 비해 배 가까이 늘었는데, 산지가 많은 강원과 영남권이 특히 산사태에 취약합니다.
<인터뷰> 이용권(산림청 산사태방지과) : "산지 전용을 통해서 산사태 발생의 인위적 원인이 증가한다는 것은 분명한 사실입니다."
산림청은 산사태 정보어플 등을 통해 주변 위험지역을 미리 파악하고 위험에 대비할 것을 당부했습니다.
KBS 뉴스 이지윤입니다.
-
-
이지윤 기자 easynews@kbs.co.kr
이지윤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