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진 설계 35%…부산·서울 등 대도시 더 취약
입력 2016.07.06 (19:10)
수정 2016.07.06 (20:0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이번 지진에서 보시다시피 우리나라는 지진에서 안전한 곳은 아닙니다.
하지만, 학교나 대피 시설 등이 여전히 지진에 취약한데다, 특히 인구가 밀집된 도시일수록 지진 설계가 되지 않은 곳이 적지 않습니다.
홍희정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진동 에너지를 흡수할 수 있는 댐퍼가 설치된 학교입니다.
지진에 취약한 것으로 평가되자 내진 보강 작업을 한 결과입니다.
이런 내진 설계가 돼 있지 않은 경우 콘크리트 벽 속을 살펴봤습니다.
건물을 지탱하는 철근이 세로 방향으로 듬성듬성 박혀있습니다.
지진이 일어나 한 쪽 철근이 부러지면 건물 전체가 무너집니다.
반면에 내진 설계로 가로와 세로 방향으로 철근이 촘촘히 박혀 있고, 각 철근이 서로 연결돼 있는 건물입니다.
규모 6 이상의 지진에도 철근이 서로를 지탱해줘 건물이 붕괴되진 않습니다.
현재 우리나라 민간 건축물 가운데 내진 설계가 된 건물은 34%, 인구가 밀집된 서울이나 인천, 부산의 경우는 20% 대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경기 지역은 특히 학교 절반 이상이 내진 설계가 안돼 있는 등 지진 대피 시설도 위험한 상황입니다.
<인터뷰> 이경구(단국대 건축공학과 교수) : "지진이 났을때 대피해야 하는 건물 중 소방서, 관공서, 학교 건물 아니면 병원 건물이 중요한데 이런 부분에 관심을 가져야 합니다."
정부는 이르면 내년부터 2층 이상 건축물에 내진 설계를 의무화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지만, 건물 구조 뿐 아니라 외장재 붕괴로 인한 2차 피해를 막는 방안 등 전반적인 대비체계가 강화돼야 한다는 지적이 일고 있습니다.
KBS 뉴스 홍희정입니다.
이번 지진에서 보시다시피 우리나라는 지진에서 안전한 곳은 아닙니다.
하지만, 학교나 대피 시설 등이 여전히 지진에 취약한데다, 특히 인구가 밀집된 도시일수록 지진 설계가 되지 않은 곳이 적지 않습니다.
홍희정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진동 에너지를 흡수할 수 있는 댐퍼가 설치된 학교입니다.
지진에 취약한 것으로 평가되자 내진 보강 작업을 한 결과입니다.
이런 내진 설계가 돼 있지 않은 경우 콘크리트 벽 속을 살펴봤습니다.
건물을 지탱하는 철근이 세로 방향으로 듬성듬성 박혀있습니다.
지진이 일어나 한 쪽 철근이 부러지면 건물 전체가 무너집니다.
반면에 내진 설계로 가로와 세로 방향으로 철근이 촘촘히 박혀 있고, 각 철근이 서로 연결돼 있는 건물입니다.
규모 6 이상의 지진에도 철근이 서로를 지탱해줘 건물이 붕괴되진 않습니다.
현재 우리나라 민간 건축물 가운데 내진 설계가 된 건물은 34%, 인구가 밀집된 서울이나 인천, 부산의 경우는 20% 대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경기 지역은 특히 학교 절반 이상이 내진 설계가 안돼 있는 등 지진 대피 시설도 위험한 상황입니다.
<인터뷰> 이경구(단국대 건축공학과 교수) : "지진이 났을때 대피해야 하는 건물 중 소방서, 관공서, 학교 건물 아니면 병원 건물이 중요한데 이런 부분에 관심을 가져야 합니다."
정부는 이르면 내년부터 2층 이상 건축물에 내진 설계를 의무화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지만, 건물 구조 뿐 아니라 외장재 붕괴로 인한 2차 피해를 막는 방안 등 전반적인 대비체계가 강화돼야 한다는 지적이 일고 있습니다.
KBS 뉴스 홍희정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내진 설계 35%…부산·서울 등 대도시 더 취약
-
- 입력 2016-07-06 19:14:26
- 수정2016-07-06 20:08:12

<앵커 멘트>
이번 지진에서 보시다시피 우리나라는 지진에서 안전한 곳은 아닙니다.
하지만, 학교나 대피 시설 등이 여전히 지진에 취약한데다, 특히 인구가 밀집된 도시일수록 지진 설계가 되지 않은 곳이 적지 않습니다.
홍희정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진동 에너지를 흡수할 수 있는 댐퍼가 설치된 학교입니다.
지진에 취약한 것으로 평가되자 내진 보강 작업을 한 결과입니다.
이런 내진 설계가 돼 있지 않은 경우 콘크리트 벽 속을 살펴봤습니다.
건물을 지탱하는 철근이 세로 방향으로 듬성듬성 박혀있습니다.
지진이 일어나 한 쪽 철근이 부러지면 건물 전체가 무너집니다.
반면에 내진 설계로 가로와 세로 방향으로 철근이 촘촘히 박혀 있고, 각 철근이 서로 연결돼 있는 건물입니다.
규모 6 이상의 지진에도 철근이 서로를 지탱해줘 건물이 붕괴되진 않습니다.
현재 우리나라 민간 건축물 가운데 내진 설계가 된 건물은 34%, 인구가 밀집된 서울이나 인천, 부산의 경우는 20% 대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경기 지역은 특히 학교 절반 이상이 내진 설계가 안돼 있는 등 지진 대피 시설도 위험한 상황입니다.
<인터뷰> 이경구(단국대 건축공학과 교수) : "지진이 났을때 대피해야 하는 건물 중 소방서, 관공서, 학교 건물 아니면 병원 건물이 중요한데 이런 부분에 관심을 가져야 합니다."
정부는 이르면 내년부터 2층 이상 건축물에 내진 설계를 의무화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지만, 건물 구조 뿐 아니라 외장재 붕괴로 인한 2차 피해를 막는 방안 등 전반적인 대비체계가 강화돼야 한다는 지적이 일고 있습니다.
KBS 뉴스 홍희정입니다.
이번 지진에서 보시다시피 우리나라는 지진에서 안전한 곳은 아닙니다.
하지만, 학교나 대피 시설 등이 여전히 지진에 취약한데다, 특히 인구가 밀집된 도시일수록 지진 설계가 되지 않은 곳이 적지 않습니다.
홍희정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진동 에너지를 흡수할 수 있는 댐퍼가 설치된 학교입니다.
지진에 취약한 것으로 평가되자 내진 보강 작업을 한 결과입니다.
이런 내진 설계가 돼 있지 않은 경우 콘크리트 벽 속을 살펴봤습니다.
건물을 지탱하는 철근이 세로 방향으로 듬성듬성 박혀있습니다.
지진이 일어나 한 쪽 철근이 부러지면 건물 전체가 무너집니다.
반면에 내진 설계로 가로와 세로 방향으로 철근이 촘촘히 박혀 있고, 각 철근이 서로 연결돼 있는 건물입니다.
규모 6 이상의 지진에도 철근이 서로를 지탱해줘 건물이 붕괴되진 않습니다.
현재 우리나라 민간 건축물 가운데 내진 설계가 된 건물은 34%, 인구가 밀집된 서울이나 인천, 부산의 경우는 20% 대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경기 지역은 특히 학교 절반 이상이 내진 설계가 안돼 있는 등 지진 대피 시설도 위험한 상황입니다.
<인터뷰> 이경구(단국대 건축공학과 교수) : "지진이 났을때 대피해야 하는 건물 중 소방서, 관공서, 학교 건물 아니면 병원 건물이 중요한데 이런 부분에 관심을 가져야 합니다."
정부는 이르면 내년부터 2층 이상 건축물에 내진 설계를 의무화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지만, 건물 구조 뿐 아니라 외장재 붕괴로 인한 2차 피해를 막는 방안 등 전반적인 대비체계가 강화돼야 한다는 지적이 일고 있습니다.
KBS 뉴스 홍희정입니다.
-
-
홍희정 기자 hjhong@kbs.co.kr
홍희정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