날짜 틀린 재난문자 ‘촌극’…재난 대응 ‘구멍’
입력 2016.07.06 (21:11)
수정 2016.07.07 (10:3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집중 호우에 지진까지 겹치면서 정부의 대응 시스템은 곳곳에서 허점을 드러냈습니다.
특히 어젯밤(5일) 발송한 긴급 재난문자는 너무 늦은 데다 날짜조차 틀려서 사람들이 혀를 차게 만들었습니다.
이세중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지진이 발생한 시각은 어젯밤(5일) 8시 33분,
기상청은 1분 뒤인 8시 34분, 국민안전처에게 지진 상황을 통보합니다.
이후 국민안전처가 긴급재난문자를 보낸 시각은 8시 50분, 지진이 나고 17분이나 지난 뒤였습니다.
<인터뷰> 문지민(울산시 동구) : “아무리 기다려도 재난문자는 오지도 않고...20분동안 전전긍긍하면서 가스밸브 잠그고 창문 다 열어놓고...”
게다가 직원의 실수로 지진 발생 날짜를 어제(5일)가 아닌 그제(4일)로 잘못 보내, 6분 뒤에 다시 문자를 보내는 촌극을 빚었습니다.
<녹취> 국민안전처 관계자(음성변조) : "시스템 상에서 선택을 해야되거든요. 군단위까지 타이핑을 치는 거거든요. 그렇기 때문에 거기서 좀 날짜에 착오가..."
여기에 국민안전처가 문자를 보낸 지역은 진도 4 이상인 울산과 경남의 4개 시군뿐.
다른 지역에서는 문자조차 받지 못했습니다.
<인터뷰> 박성식(경북 경산시 진량읍) : “날씨가 더울 때는 잘 보내주더니만 지진은 없어. 안 보내줘요. 보내야할 땐 아예 안 보내주고..."
지진과 호우 관련 재난정보를 얻기 위해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홈페이지를 찾아도 접속조차 되지 않습니다.
<녹취> 국민안전처 관계자(음성변조) : "작년에 홈페이지 통합하면서 이 부분을 차단시켰어야 했는데 차단 못 시킨 부분입니다. 죄송스럽게 생각하고요."
국민안전처는 KBS 취재가 시작되자 출범 후 1년여 동안 방치한 관련 홈페이지를 뒤늦게 안전처 홈페이지로 일원화했습니다.
KBS 뉴스 이세중입니다.
집중 호우에 지진까지 겹치면서 정부의 대응 시스템은 곳곳에서 허점을 드러냈습니다.
특히 어젯밤(5일) 발송한 긴급 재난문자는 너무 늦은 데다 날짜조차 틀려서 사람들이 혀를 차게 만들었습니다.
이세중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지진이 발생한 시각은 어젯밤(5일) 8시 33분,
기상청은 1분 뒤인 8시 34분, 국민안전처에게 지진 상황을 통보합니다.
이후 국민안전처가 긴급재난문자를 보낸 시각은 8시 50분, 지진이 나고 17분이나 지난 뒤였습니다.
<인터뷰> 문지민(울산시 동구) : “아무리 기다려도 재난문자는 오지도 않고...20분동안 전전긍긍하면서 가스밸브 잠그고 창문 다 열어놓고...”
게다가 직원의 실수로 지진 발생 날짜를 어제(5일)가 아닌 그제(4일)로 잘못 보내, 6분 뒤에 다시 문자를 보내는 촌극을 빚었습니다.
<녹취> 국민안전처 관계자(음성변조) : "시스템 상에서 선택을 해야되거든요. 군단위까지 타이핑을 치는 거거든요. 그렇기 때문에 거기서 좀 날짜에 착오가..."
여기에 국민안전처가 문자를 보낸 지역은 진도 4 이상인 울산과 경남의 4개 시군뿐.
다른 지역에서는 문자조차 받지 못했습니다.
<인터뷰> 박성식(경북 경산시 진량읍) : “날씨가 더울 때는 잘 보내주더니만 지진은 없어. 안 보내줘요. 보내야할 땐 아예 안 보내주고..."
지진과 호우 관련 재난정보를 얻기 위해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홈페이지를 찾아도 접속조차 되지 않습니다.
<녹취> 국민안전처 관계자(음성변조) : "작년에 홈페이지 통합하면서 이 부분을 차단시켰어야 했는데 차단 못 시킨 부분입니다. 죄송스럽게 생각하고요."
국민안전처는 KBS 취재가 시작되자 출범 후 1년여 동안 방치한 관련 홈페이지를 뒤늦게 안전처 홈페이지로 일원화했습니다.
KBS 뉴스 이세중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날짜 틀린 재난문자 ‘촌극’…재난 대응 ‘구멍’
-
- 입력 2016-07-06 21:16:29
- 수정2016-07-07 10:34:05

<앵커 멘트>
집중 호우에 지진까지 겹치면서 정부의 대응 시스템은 곳곳에서 허점을 드러냈습니다.
특히 어젯밤(5일) 발송한 긴급 재난문자는 너무 늦은 데다 날짜조차 틀려서 사람들이 혀를 차게 만들었습니다.
이세중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지진이 발생한 시각은 어젯밤(5일) 8시 33분,
기상청은 1분 뒤인 8시 34분, 국민안전처에게 지진 상황을 통보합니다.
이후 국민안전처가 긴급재난문자를 보낸 시각은 8시 50분, 지진이 나고 17분이나 지난 뒤였습니다.
<인터뷰> 문지민(울산시 동구) : “아무리 기다려도 재난문자는 오지도 않고...20분동안 전전긍긍하면서 가스밸브 잠그고 창문 다 열어놓고...”
게다가 직원의 실수로 지진 발생 날짜를 어제(5일)가 아닌 그제(4일)로 잘못 보내, 6분 뒤에 다시 문자를 보내는 촌극을 빚었습니다.
<녹취> 국민안전처 관계자(음성변조) : "시스템 상에서 선택을 해야되거든요. 군단위까지 타이핑을 치는 거거든요. 그렇기 때문에 거기서 좀 날짜에 착오가..."
여기에 국민안전처가 문자를 보낸 지역은 진도 4 이상인 울산과 경남의 4개 시군뿐.
다른 지역에서는 문자조차 받지 못했습니다.
<인터뷰> 박성식(경북 경산시 진량읍) : “날씨가 더울 때는 잘 보내주더니만 지진은 없어. 안 보내줘요. 보내야할 땐 아예 안 보내주고..."
지진과 호우 관련 재난정보를 얻기 위해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홈페이지를 찾아도 접속조차 되지 않습니다.
<녹취> 국민안전처 관계자(음성변조) : "작년에 홈페이지 통합하면서 이 부분을 차단시켰어야 했는데 차단 못 시킨 부분입니다. 죄송스럽게 생각하고요."
국민안전처는 KBS 취재가 시작되자 출범 후 1년여 동안 방치한 관련 홈페이지를 뒤늦게 안전처 홈페이지로 일원화했습니다.
KBS 뉴스 이세중입니다.
-
-
이세중 기자 center@kbs.co.kr
이세중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