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극의 산타’ 아라온호 이번엔 북극으로!
입력 2016.07.15 (07:39)
수정 2016.07.15 (08:33)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크리스마스 즈음 남극에서 좌초된 어선들을 구조해 '남극의 산타'란 별명을 얻은 배가 있죠.
바로 우리나라 쇄빙연구선 '아라온호'인데요.
이번엔 북극으로의 항해를 일주일 정도 앞두고 만반의 준비를 갖추고 있습니다.
유지향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지난해 말 남극에서 얼음에 갇혔던 우리 원양어선 썬스타호를 구조했던 쇄빙선 아라온호, 남극 연구를 마치고 돌아온 지 약 석달 만에 다시 짐을 꾸립니다.
대형 크레인이 동원돼 지상 17미터 갑판 위로 연구장비가 든 컨테이너를 싣고, 손에서 손으로 80여 명의 국내외 연구진들이 사용할 생활용품을 선적합니다.
이번엔 북극행입니다.
아라온호는 오는 20일 이 곳 인천항에서 출항해 9월 25일까지 약 두 달간 북극 대륙붕 탐사에 나섭니다.
미국 등 7개 나라와 함께 하는 이번 연구의 초점은 지구 온난화로 북극 빙하가 녹는 상황에서 얼음 속 천연가스, 메탄가스를 어떻게 추출할 지입니다.
<인터뷰> 양은진(박사/아라온호 수석 과학자) : "올해는 해빙이 가장 많이 녹을 수 있는 해로 현재까지 기록되고 있고요. 미래 해양, 북극 해양을 예측하는데 가장 중요한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합니다.)"
특히 고체 형태의 메탄 하이드레이트가 많이 매장된 것으로 추정되는 동시베리아해에서의 자원 탐사는 우리나라 최초로 이뤄지는 일입니다.
<인터뷰> 김광헌(아라온호 선장) : "북극에서 가장 위험한 건 떠다니는 빙하인데, 그 빙하를 안전하게 피해서 항해하도록 하겠습니다."
북극 탐사용 제2쇄빙연구선이 5년 뒤 건조될 예정인 가운데, 아라온호는 홀로 분투하며 북극 개발의 초석을 다지고 있습니다.
KBS 뉴스 유지향입니다.
크리스마스 즈음 남극에서 좌초된 어선들을 구조해 '남극의 산타'란 별명을 얻은 배가 있죠.
바로 우리나라 쇄빙연구선 '아라온호'인데요.
이번엔 북극으로의 항해를 일주일 정도 앞두고 만반의 준비를 갖추고 있습니다.
유지향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지난해 말 남극에서 얼음에 갇혔던 우리 원양어선 썬스타호를 구조했던 쇄빙선 아라온호, 남극 연구를 마치고 돌아온 지 약 석달 만에 다시 짐을 꾸립니다.
대형 크레인이 동원돼 지상 17미터 갑판 위로 연구장비가 든 컨테이너를 싣고, 손에서 손으로 80여 명의 국내외 연구진들이 사용할 생활용품을 선적합니다.
이번엔 북극행입니다.
아라온호는 오는 20일 이 곳 인천항에서 출항해 9월 25일까지 약 두 달간 북극 대륙붕 탐사에 나섭니다.
미국 등 7개 나라와 함께 하는 이번 연구의 초점은 지구 온난화로 북극 빙하가 녹는 상황에서 얼음 속 천연가스, 메탄가스를 어떻게 추출할 지입니다.
<인터뷰> 양은진(박사/아라온호 수석 과학자) : "올해는 해빙이 가장 많이 녹을 수 있는 해로 현재까지 기록되고 있고요. 미래 해양, 북극 해양을 예측하는데 가장 중요한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합니다.)"
특히 고체 형태의 메탄 하이드레이트가 많이 매장된 것으로 추정되는 동시베리아해에서의 자원 탐사는 우리나라 최초로 이뤄지는 일입니다.
<인터뷰> 김광헌(아라온호 선장) : "북극에서 가장 위험한 건 떠다니는 빙하인데, 그 빙하를 안전하게 피해서 항해하도록 하겠습니다."
북극 탐사용 제2쇄빙연구선이 5년 뒤 건조될 예정인 가운데, 아라온호는 홀로 분투하며 북극 개발의 초석을 다지고 있습니다.
KBS 뉴스 유지향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남극의 산타’ 아라온호 이번엔 북극으로!
-
- 입력 2016-07-15 07:44:33
- 수정2016-07-15 08:33:29

<앵커 멘트>
크리스마스 즈음 남극에서 좌초된 어선들을 구조해 '남극의 산타'란 별명을 얻은 배가 있죠.
바로 우리나라 쇄빙연구선 '아라온호'인데요.
이번엔 북극으로의 항해를 일주일 정도 앞두고 만반의 준비를 갖추고 있습니다.
유지향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지난해 말 남극에서 얼음에 갇혔던 우리 원양어선 썬스타호를 구조했던 쇄빙선 아라온호, 남극 연구를 마치고 돌아온 지 약 석달 만에 다시 짐을 꾸립니다.
대형 크레인이 동원돼 지상 17미터 갑판 위로 연구장비가 든 컨테이너를 싣고, 손에서 손으로 80여 명의 국내외 연구진들이 사용할 생활용품을 선적합니다.
이번엔 북극행입니다.
아라온호는 오는 20일 이 곳 인천항에서 출항해 9월 25일까지 약 두 달간 북극 대륙붕 탐사에 나섭니다.
미국 등 7개 나라와 함께 하는 이번 연구의 초점은 지구 온난화로 북극 빙하가 녹는 상황에서 얼음 속 천연가스, 메탄가스를 어떻게 추출할 지입니다.
<인터뷰> 양은진(박사/아라온호 수석 과학자) : "올해는 해빙이 가장 많이 녹을 수 있는 해로 현재까지 기록되고 있고요. 미래 해양, 북극 해양을 예측하는데 가장 중요한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합니다.)"
특히 고체 형태의 메탄 하이드레이트가 많이 매장된 것으로 추정되는 동시베리아해에서의 자원 탐사는 우리나라 최초로 이뤄지는 일입니다.
<인터뷰> 김광헌(아라온호 선장) : "북극에서 가장 위험한 건 떠다니는 빙하인데, 그 빙하를 안전하게 피해서 항해하도록 하겠습니다."
북극 탐사용 제2쇄빙연구선이 5년 뒤 건조될 예정인 가운데, 아라온호는 홀로 분투하며 북극 개발의 초석을 다지고 있습니다.
KBS 뉴스 유지향입니다.
크리스마스 즈음 남극에서 좌초된 어선들을 구조해 '남극의 산타'란 별명을 얻은 배가 있죠.
바로 우리나라 쇄빙연구선 '아라온호'인데요.
이번엔 북극으로의 항해를 일주일 정도 앞두고 만반의 준비를 갖추고 있습니다.
유지향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지난해 말 남극에서 얼음에 갇혔던 우리 원양어선 썬스타호를 구조했던 쇄빙선 아라온호, 남극 연구를 마치고 돌아온 지 약 석달 만에 다시 짐을 꾸립니다.
대형 크레인이 동원돼 지상 17미터 갑판 위로 연구장비가 든 컨테이너를 싣고, 손에서 손으로 80여 명의 국내외 연구진들이 사용할 생활용품을 선적합니다.
이번엔 북극행입니다.
아라온호는 오는 20일 이 곳 인천항에서 출항해 9월 25일까지 약 두 달간 북극 대륙붕 탐사에 나섭니다.
미국 등 7개 나라와 함께 하는 이번 연구의 초점은 지구 온난화로 북극 빙하가 녹는 상황에서 얼음 속 천연가스, 메탄가스를 어떻게 추출할 지입니다.
<인터뷰> 양은진(박사/아라온호 수석 과학자) : "올해는 해빙이 가장 많이 녹을 수 있는 해로 현재까지 기록되고 있고요. 미래 해양, 북극 해양을 예측하는데 가장 중요한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합니다.)"
특히 고체 형태의 메탄 하이드레이트가 많이 매장된 것으로 추정되는 동시베리아해에서의 자원 탐사는 우리나라 최초로 이뤄지는 일입니다.
<인터뷰> 김광헌(아라온호 선장) : "북극에서 가장 위험한 건 떠다니는 빙하인데, 그 빙하를 안전하게 피해서 항해하도록 하겠습니다."
북극 탐사용 제2쇄빙연구선이 5년 뒤 건조될 예정인 가운데, 아라온호는 홀로 분투하며 북극 개발의 초석을 다지고 있습니다.
KBS 뉴스 유지향입니다.
-
-
유지향 기자 nausika@kbs.co.kr
유지향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