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마토 불량 종자 논란…업체는 유전자 검사 회피
입력 2016.07.15 (19:25)
수정 2016.07.15 (20:2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강원도에 파종한 일부 방울토마토가 '토마토 줄기가 자라다' 마는 이상 현상이 나타나 수확을 포기했습니다.
이처럼 불량 종자 논란이 해마다 발생하고 있지만 종자업체가 유전자 검사를 응하지 않을 땐 종자에 결함이 있는 지를 밝혀낼 수 있는 마땅한 방법이 없습니다.
김영준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700 ㎡ 크기의 방울토마토 재배 하우스.
수확 때지만, 팔 수 있는 방울 토마토가 없습니다.
두달 전 심은 8백 그루의 방울 토마토 대부분이 1미터도 자라지 못하고 성장을 멈춰 토마토가 거의 열리지 않았습니다.
상품성이 좋다고 해 올해 처음 심은 종자입니다.
<인터뷰> 박명옥(토마토 재배 농민) : "1년 농사인데, 지금부터 수확하면 가을에 서리 올 때까지 따요.이거 엄청 손해지요."
이 농가는 토마토 수확을 포기하고, 급히 오이 모종을 다시 심고 있습니다.
같은 종자를 심은 다른 밭 4곳에서도 같은 현상이 발생했습니다.
농민들은 애초부터 불량종자라는 주장인데 종자 업체는 종자엔 문제가 없다면서도 종자 유전자 검사에는 응하지 않고 있습니다.
<녹취> 종자 업체 관계자(음성변조) : "자라다가 뭔가 부족해서 나타나는 거지, 그게 종자가 잘못돼서 그렇게 나타난 건 아니에요."
지난달, 충북 괴산의 토마토 농가 8곳에서도 비슷한 피해가 발생하는 등 해마다 10여 건의 불량 종자 논란이 반복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업체에서 유전자 검사를 회피할 땐 종자 문제를 가려 줄 공적 기관이 없고, 그렇다고 농민이 입증하기도 쉽지 않아 애써 농사를 지은 농민들만 속앓이를 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김영준입니다.
강원도에 파종한 일부 방울토마토가 '토마토 줄기가 자라다' 마는 이상 현상이 나타나 수확을 포기했습니다.
이처럼 불량 종자 논란이 해마다 발생하고 있지만 종자업체가 유전자 검사를 응하지 않을 땐 종자에 결함이 있는 지를 밝혀낼 수 있는 마땅한 방법이 없습니다.
김영준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700 ㎡ 크기의 방울토마토 재배 하우스.
수확 때지만, 팔 수 있는 방울 토마토가 없습니다.
두달 전 심은 8백 그루의 방울 토마토 대부분이 1미터도 자라지 못하고 성장을 멈춰 토마토가 거의 열리지 않았습니다.
상품성이 좋다고 해 올해 처음 심은 종자입니다.
<인터뷰> 박명옥(토마토 재배 농민) : "1년 농사인데, 지금부터 수확하면 가을에 서리 올 때까지 따요.이거 엄청 손해지요."
이 농가는 토마토 수확을 포기하고, 급히 오이 모종을 다시 심고 있습니다.
같은 종자를 심은 다른 밭 4곳에서도 같은 현상이 발생했습니다.
농민들은 애초부터 불량종자라는 주장인데 종자 업체는 종자엔 문제가 없다면서도 종자 유전자 검사에는 응하지 않고 있습니다.
<녹취> 종자 업체 관계자(음성변조) : "자라다가 뭔가 부족해서 나타나는 거지, 그게 종자가 잘못돼서 그렇게 나타난 건 아니에요."
지난달, 충북 괴산의 토마토 농가 8곳에서도 비슷한 피해가 발생하는 등 해마다 10여 건의 불량 종자 논란이 반복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업체에서 유전자 검사를 회피할 땐 종자 문제를 가려 줄 공적 기관이 없고, 그렇다고 농민이 입증하기도 쉽지 않아 애써 농사를 지은 농민들만 속앓이를 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김영준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토마토 불량 종자 논란…업체는 유전자 검사 회피
-
- 입력 2016-07-15 19:36:06
- 수정2016-07-15 20:29:30

<앵커 멘트>
강원도에 파종한 일부 방울토마토가 '토마토 줄기가 자라다' 마는 이상 현상이 나타나 수확을 포기했습니다.
이처럼 불량 종자 논란이 해마다 발생하고 있지만 종자업체가 유전자 검사를 응하지 않을 땐 종자에 결함이 있는 지를 밝혀낼 수 있는 마땅한 방법이 없습니다.
김영준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700 ㎡ 크기의 방울토마토 재배 하우스.
수확 때지만, 팔 수 있는 방울 토마토가 없습니다.
두달 전 심은 8백 그루의 방울 토마토 대부분이 1미터도 자라지 못하고 성장을 멈춰 토마토가 거의 열리지 않았습니다.
상품성이 좋다고 해 올해 처음 심은 종자입니다.
<인터뷰> 박명옥(토마토 재배 농민) : "1년 농사인데, 지금부터 수확하면 가을에 서리 올 때까지 따요.이거 엄청 손해지요."
이 농가는 토마토 수확을 포기하고, 급히 오이 모종을 다시 심고 있습니다.
같은 종자를 심은 다른 밭 4곳에서도 같은 현상이 발생했습니다.
농민들은 애초부터 불량종자라는 주장인데 종자 업체는 종자엔 문제가 없다면서도 종자 유전자 검사에는 응하지 않고 있습니다.
<녹취> 종자 업체 관계자(음성변조) : "자라다가 뭔가 부족해서 나타나는 거지, 그게 종자가 잘못돼서 그렇게 나타난 건 아니에요."
지난달, 충북 괴산의 토마토 농가 8곳에서도 비슷한 피해가 발생하는 등 해마다 10여 건의 불량 종자 논란이 반복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업체에서 유전자 검사를 회피할 땐 종자 문제를 가려 줄 공적 기관이 없고, 그렇다고 농민이 입증하기도 쉽지 않아 애써 농사를 지은 농민들만 속앓이를 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김영준입니다.
강원도에 파종한 일부 방울토마토가 '토마토 줄기가 자라다' 마는 이상 현상이 나타나 수확을 포기했습니다.
이처럼 불량 종자 논란이 해마다 발생하고 있지만 종자업체가 유전자 검사를 응하지 않을 땐 종자에 결함이 있는 지를 밝혀낼 수 있는 마땅한 방법이 없습니다.
김영준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700 ㎡ 크기의 방울토마토 재배 하우스.
수확 때지만, 팔 수 있는 방울 토마토가 없습니다.
두달 전 심은 8백 그루의 방울 토마토 대부분이 1미터도 자라지 못하고 성장을 멈춰 토마토가 거의 열리지 않았습니다.
상품성이 좋다고 해 올해 처음 심은 종자입니다.
<인터뷰> 박명옥(토마토 재배 농민) : "1년 농사인데, 지금부터 수확하면 가을에 서리 올 때까지 따요.이거 엄청 손해지요."
이 농가는 토마토 수확을 포기하고, 급히 오이 모종을 다시 심고 있습니다.
같은 종자를 심은 다른 밭 4곳에서도 같은 현상이 발생했습니다.
농민들은 애초부터 불량종자라는 주장인데 종자 업체는 종자엔 문제가 없다면서도 종자 유전자 검사에는 응하지 않고 있습니다.
<녹취> 종자 업체 관계자(음성변조) : "자라다가 뭔가 부족해서 나타나는 거지, 그게 종자가 잘못돼서 그렇게 나타난 건 아니에요."
지난달, 충북 괴산의 토마토 농가 8곳에서도 비슷한 피해가 발생하는 등 해마다 10여 건의 불량 종자 논란이 반복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업체에서 유전자 검사를 회피할 땐 종자 문제를 가려 줄 공적 기관이 없고, 그렇다고 농민이 입증하기도 쉽지 않아 애써 농사를 지은 농민들만 속앓이를 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김영준입니다.
-
-
김영준 기자 yjkim1@kbs.co.kr
김영준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