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충전] 여름에 더 쓰는 수건, 효과적 관리법
입력 2016.07.20 (12:39)
수정 2016.07.20 (13:1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여름이면 수건을 더 많이 사용하게 되는데요,
피부에 직접 닿는 만큼 더 깨끗하게 관리하고 싶지만 자칫하면 세균의 온상이 되기 쉽습니다.
한여름, 효율적인 수건 관리법을 정보충전에서 알려드립니다.
<리포트>
대전의 한 수건 공장입니다.
수건은 총 4단계를 거쳐 완성됩니다.
첫 단계는 준비공정. 6천 번 감긴 실을 하나로 모으는데요.
이 실들을 베틀 기계로 옮기면 두 번째 단계인 원단 제작이 시작됩니다.
완성된 원단에 색을 입히는 염색 공정을 거쳐, 알맞은 크기로 수건을 자르는 봉제 공정을 거치면 우리에게 익숙한 수건이 됩니다.
수건에 있는 수라는 글자는 무엇을 뜻하는 걸까요?
<인터뷰> 이경세(수건 제조업체 운영) : “수는 원료 1g으로 뽑아내는 실의 길이를 나타내는 단위입니다. 수가 클수록 실은 가늘어지고 길이는 길어집니다.”
극세사는 150수로, 실의 굵기가 머리카락의 백 분의 일보다 가는데요. 가는 만큼 섬유조직이 촘촘해 일반 수건보다 흡수력이 최대 5배 좋습니다.
주로 욕실에 많이 두고 쓰는 수건, 하지만 위생상태에 대해선 신경을 많이 안 쓰는데요.
<인터뷰> 윤지영(주부) : “손도 닦고 얼굴도 닦고 3~4번 정도 사용한 수건이에요.”
겉으로는 깨끗해 보이는데, 문제는 보이지 않는 세균입니다.
세균측정기로 검사한 결과 4번 사용한 수건의 세균 수치는 689rlu가 나왔습니다.
변기의 세균 수치는780rlu, 서너 번 썼을 뿐인데 수건의 세균 수가 변기만큼 많았습니다.
많이 오염됐다는 얘기겠죠.
그만큼 수건 관리가 필요합니다.
흔히 수건은 팍팍 삶으면 소독이 잘 될 거라 여기셨죠?
하지만 수건을 망가트릴 수 있는 행동 중 하나입니다.
고온에서 삶으면 수건의 올이 풀려 표면이 거칠어지기 때문입니다.
또, 사용한 수건을 젖은 채로 빨래통에 넣으면 세균이 번식할 수 있어 완전히 마른 뒤에 빨래통에 넣어줍니다.
수건에는 잔털이 많아 반드시 단독 세탁해야 하고, 보풀이 생기지 않게 하려면 울 코스로 세탁해주면 되고요.
섬유유연제 대신 사과 식초를 한 컵 넣어주면 세제 찌꺼기가 말끔히 없어지고 냄새도 잡아줍니다.
수건을 널기 전에는 반드시 탈탈 세게 털어야 올이 살아나서 말랐을 때도 보송보송함을 느낄 수 있습니다.
잘 말린 수건은 건조한 보관함에 따로 넣어두는 게 좋습니다.
수건에 좋은 향기가 나게 하는 법, 간단합니다.
<인터뷰> 윤지영(주부) : "집에 있는 비누를 수건과 같이 넣어주면 수건을 꺼냈을 때 향기도 좋아지고 기분도 좋아져요."
수건이 오래되면 표면이 망가져 거칠어지거나 딱딱해지는데요.
이렇게 망가진 수건은 얼굴에 상처를 낼 수 있기 때문에 과감하게 버리는 것이 좋습니다.
생활에 꼭 필요한 수건, 이제는 아무렇게나 내버려두지 말고 바르게 관리해서 기분까지 보송보송하게 사용하세요.
정보충전 조항리였습니다.
여름이면 수건을 더 많이 사용하게 되는데요,
피부에 직접 닿는 만큼 더 깨끗하게 관리하고 싶지만 자칫하면 세균의 온상이 되기 쉽습니다.
한여름, 효율적인 수건 관리법을 정보충전에서 알려드립니다.
<리포트>
대전의 한 수건 공장입니다.
수건은 총 4단계를 거쳐 완성됩니다.
첫 단계는 준비공정. 6천 번 감긴 실을 하나로 모으는데요.
이 실들을 베틀 기계로 옮기면 두 번째 단계인 원단 제작이 시작됩니다.
완성된 원단에 색을 입히는 염색 공정을 거쳐, 알맞은 크기로 수건을 자르는 봉제 공정을 거치면 우리에게 익숙한 수건이 됩니다.
수건에 있는 수라는 글자는 무엇을 뜻하는 걸까요?
<인터뷰> 이경세(수건 제조업체 운영) : “수는 원료 1g으로 뽑아내는 실의 길이를 나타내는 단위입니다. 수가 클수록 실은 가늘어지고 길이는 길어집니다.”
극세사는 150수로, 실의 굵기가 머리카락의 백 분의 일보다 가는데요. 가는 만큼 섬유조직이 촘촘해 일반 수건보다 흡수력이 최대 5배 좋습니다.
주로 욕실에 많이 두고 쓰는 수건, 하지만 위생상태에 대해선 신경을 많이 안 쓰는데요.
<인터뷰> 윤지영(주부) : “손도 닦고 얼굴도 닦고 3~4번 정도 사용한 수건이에요.”
겉으로는 깨끗해 보이는데, 문제는 보이지 않는 세균입니다.
세균측정기로 검사한 결과 4번 사용한 수건의 세균 수치는 689rlu가 나왔습니다.
변기의 세균 수치는780rlu, 서너 번 썼을 뿐인데 수건의 세균 수가 변기만큼 많았습니다.
많이 오염됐다는 얘기겠죠.
그만큼 수건 관리가 필요합니다.
흔히 수건은 팍팍 삶으면 소독이 잘 될 거라 여기셨죠?
하지만 수건을 망가트릴 수 있는 행동 중 하나입니다.
고온에서 삶으면 수건의 올이 풀려 표면이 거칠어지기 때문입니다.
또, 사용한 수건을 젖은 채로 빨래통에 넣으면 세균이 번식할 수 있어 완전히 마른 뒤에 빨래통에 넣어줍니다.
수건에는 잔털이 많아 반드시 단독 세탁해야 하고, 보풀이 생기지 않게 하려면 울 코스로 세탁해주면 되고요.
섬유유연제 대신 사과 식초를 한 컵 넣어주면 세제 찌꺼기가 말끔히 없어지고 냄새도 잡아줍니다.
수건을 널기 전에는 반드시 탈탈 세게 털어야 올이 살아나서 말랐을 때도 보송보송함을 느낄 수 있습니다.
잘 말린 수건은 건조한 보관함에 따로 넣어두는 게 좋습니다.
수건에 좋은 향기가 나게 하는 법, 간단합니다.
<인터뷰> 윤지영(주부) : "집에 있는 비누를 수건과 같이 넣어주면 수건을 꺼냈을 때 향기도 좋아지고 기분도 좋아져요."
수건이 오래되면 표면이 망가져 거칠어지거나 딱딱해지는데요.
이렇게 망가진 수건은 얼굴에 상처를 낼 수 있기 때문에 과감하게 버리는 것이 좋습니다.
생활에 꼭 필요한 수건, 이제는 아무렇게나 내버려두지 말고 바르게 관리해서 기분까지 보송보송하게 사용하세요.
정보충전 조항리였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정보충전] 여름에 더 쓰는 수건, 효과적 관리법
-
- 입력 2016-07-20 12:42:46
- 수정2016-07-20 13:11:38

<앵커 멘트>
여름이면 수건을 더 많이 사용하게 되는데요,
피부에 직접 닿는 만큼 더 깨끗하게 관리하고 싶지만 자칫하면 세균의 온상이 되기 쉽습니다.
한여름, 효율적인 수건 관리법을 정보충전에서 알려드립니다.
<리포트>
대전의 한 수건 공장입니다.
수건은 총 4단계를 거쳐 완성됩니다.
첫 단계는 준비공정. 6천 번 감긴 실을 하나로 모으는데요.
이 실들을 베틀 기계로 옮기면 두 번째 단계인 원단 제작이 시작됩니다.
완성된 원단에 색을 입히는 염색 공정을 거쳐, 알맞은 크기로 수건을 자르는 봉제 공정을 거치면 우리에게 익숙한 수건이 됩니다.
수건에 있는 수라는 글자는 무엇을 뜻하는 걸까요?
<인터뷰> 이경세(수건 제조업체 운영) : “수는 원료 1g으로 뽑아내는 실의 길이를 나타내는 단위입니다. 수가 클수록 실은 가늘어지고 길이는 길어집니다.”
극세사는 150수로, 실의 굵기가 머리카락의 백 분의 일보다 가는데요. 가는 만큼 섬유조직이 촘촘해 일반 수건보다 흡수력이 최대 5배 좋습니다.
주로 욕실에 많이 두고 쓰는 수건, 하지만 위생상태에 대해선 신경을 많이 안 쓰는데요.
<인터뷰> 윤지영(주부) : “손도 닦고 얼굴도 닦고 3~4번 정도 사용한 수건이에요.”
겉으로는 깨끗해 보이는데, 문제는 보이지 않는 세균입니다.
세균측정기로 검사한 결과 4번 사용한 수건의 세균 수치는 689rlu가 나왔습니다.
변기의 세균 수치는780rlu, 서너 번 썼을 뿐인데 수건의 세균 수가 변기만큼 많았습니다.
많이 오염됐다는 얘기겠죠.
그만큼 수건 관리가 필요합니다.
흔히 수건은 팍팍 삶으면 소독이 잘 될 거라 여기셨죠?
하지만 수건을 망가트릴 수 있는 행동 중 하나입니다.
고온에서 삶으면 수건의 올이 풀려 표면이 거칠어지기 때문입니다.
또, 사용한 수건을 젖은 채로 빨래통에 넣으면 세균이 번식할 수 있어 완전히 마른 뒤에 빨래통에 넣어줍니다.
수건에는 잔털이 많아 반드시 단독 세탁해야 하고, 보풀이 생기지 않게 하려면 울 코스로 세탁해주면 되고요.
섬유유연제 대신 사과 식초를 한 컵 넣어주면 세제 찌꺼기가 말끔히 없어지고 냄새도 잡아줍니다.
수건을 널기 전에는 반드시 탈탈 세게 털어야 올이 살아나서 말랐을 때도 보송보송함을 느낄 수 있습니다.
잘 말린 수건은 건조한 보관함에 따로 넣어두는 게 좋습니다.
수건에 좋은 향기가 나게 하는 법, 간단합니다.
<인터뷰> 윤지영(주부) : "집에 있는 비누를 수건과 같이 넣어주면 수건을 꺼냈을 때 향기도 좋아지고 기분도 좋아져요."
수건이 오래되면 표면이 망가져 거칠어지거나 딱딱해지는데요.
이렇게 망가진 수건은 얼굴에 상처를 낼 수 있기 때문에 과감하게 버리는 것이 좋습니다.
생활에 꼭 필요한 수건, 이제는 아무렇게나 내버려두지 말고 바르게 관리해서 기분까지 보송보송하게 사용하세요.
정보충전 조항리였습니다.
여름이면 수건을 더 많이 사용하게 되는데요,
피부에 직접 닿는 만큼 더 깨끗하게 관리하고 싶지만 자칫하면 세균의 온상이 되기 쉽습니다.
한여름, 효율적인 수건 관리법을 정보충전에서 알려드립니다.
<리포트>
대전의 한 수건 공장입니다.
수건은 총 4단계를 거쳐 완성됩니다.
첫 단계는 준비공정. 6천 번 감긴 실을 하나로 모으는데요.
이 실들을 베틀 기계로 옮기면 두 번째 단계인 원단 제작이 시작됩니다.
완성된 원단에 색을 입히는 염색 공정을 거쳐, 알맞은 크기로 수건을 자르는 봉제 공정을 거치면 우리에게 익숙한 수건이 됩니다.
수건에 있는 수라는 글자는 무엇을 뜻하는 걸까요?
<인터뷰> 이경세(수건 제조업체 운영) : “수는 원료 1g으로 뽑아내는 실의 길이를 나타내는 단위입니다. 수가 클수록 실은 가늘어지고 길이는 길어집니다.”
극세사는 150수로, 실의 굵기가 머리카락의 백 분의 일보다 가는데요. 가는 만큼 섬유조직이 촘촘해 일반 수건보다 흡수력이 최대 5배 좋습니다.
주로 욕실에 많이 두고 쓰는 수건, 하지만 위생상태에 대해선 신경을 많이 안 쓰는데요.
<인터뷰> 윤지영(주부) : “손도 닦고 얼굴도 닦고 3~4번 정도 사용한 수건이에요.”
겉으로는 깨끗해 보이는데, 문제는 보이지 않는 세균입니다.
세균측정기로 검사한 결과 4번 사용한 수건의 세균 수치는 689rlu가 나왔습니다.
변기의 세균 수치는780rlu, 서너 번 썼을 뿐인데 수건의 세균 수가 변기만큼 많았습니다.
많이 오염됐다는 얘기겠죠.
그만큼 수건 관리가 필요합니다.
흔히 수건은 팍팍 삶으면 소독이 잘 될 거라 여기셨죠?
하지만 수건을 망가트릴 수 있는 행동 중 하나입니다.
고온에서 삶으면 수건의 올이 풀려 표면이 거칠어지기 때문입니다.
또, 사용한 수건을 젖은 채로 빨래통에 넣으면 세균이 번식할 수 있어 완전히 마른 뒤에 빨래통에 넣어줍니다.
수건에는 잔털이 많아 반드시 단독 세탁해야 하고, 보풀이 생기지 않게 하려면 울 코스로 세탁해주면 되고요.
섬유유연제 대신 사과 식초를 한 컵 넣어주면 세제 찌꺼기가 말끔히 없어지고 냄새도 잡아줍니다.
수건을 널기 전에는 반드시 탈탈 세게 털어야 올이 살아나서 말랐을 때도 보송보송함을 느낄 수 있습니다.
잘 말린 수건은 건조한 보관함에 따로 넣어두는 게 좋습니다.
수건에 좋은 향기가 나게 하는 법, 간단합니다.
<인터뷰> 윤지영(주부) : "집에 있는 비누를 수건과 같이 넣어주면 수건을 꺼냈을 때 향기도 좋아지고 기분도 좋아져요."
수건이 오래되면 표면이 망가져 거칠어지거나 딱딱해지는데요.
이렇게 망가진 수건은 얼굴에 상처를 낼 수 있기 때문에 과감하게 버리는 것이 좋습니다.
생활에 꼭 필요한 수건, 이제는 아무렇게나 내버려두지 말고 바르게 관리해서 기분까지 보송보송하게 사용하세요.
정보충전 조항리였습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