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뉴스] 학교에 공원까지…‘납 우레탄’ 불안 확산

입력 2016.07.26 (21:29) 수정 2016.07.26 (22:3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서울의 한 초등학교 운동장입니다.

학생들이 우레탄 트랙을 밟지 못하도록 줄을 처놓고, 길목엔 매트도 깔았습니다.

인체에 치명적인 중금속, 납 성분이 검출됐기 때문입니다.

우레탄 트랙은 맨땅보다 부드럽고 먼지도 없어서 학교 운동장 등에 많이 보급됐는데요.

하지만 우레탄이 깔린 전국 초중고등학교의 64%인 천 7백여 곳에서 많게는 기준치 백 배를 넘는 납이 검출돼, 우레탄 트랙 사용이 전면 금지됐습니다.

우수경 기자가 보도합니다.

▼학교·공공시설·놀이터까지…불안 확산▼

<리포트>

우레탄 트랙을 걷어내는 등 친환경 운동장으로 만드는 공사가 한창입니다.

방학동안 작업을 마무리하기 위해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

반면 대부분의 학교에서는 아직 공사 시작조차 못하고 있습니다.

농구장에도 우레탄이 사용됐지만, 여기저기 찢어지고 벗겨진 상태입니다.

<녹취> 학교 관계자(음성변조) : "기존에 있는거 걷어내야 하고, 다시 설치해서 말리는 시간도 있으니까 예산확보 돼도 최소한 3주 이상은 잡아야 할거 같아요. "

공공 체육시설에 있는 우레탄 농구장의 납 성분 초과 검출 조사는 이번 달에 겨우 시작했습니다.

<녹취> 학생 : "일주일에 두세 번 정도는 와요. 자전거도 타고 농구도 하고..."

특히 중금속 기준이 없던 2011년 이전에 만들어진 우레탄 시설물은 납 성분이 기준치 이상 검출될 가능성이 높은 상태.

하지만 영유아들도 많이 찾는 공원의 우레탄 시설물 역시 별다른 조치없이 그대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녹취> 시민 : "아이들은 온몸으로 놀기 때문에 더 걱정되는 부분이 많죠. 어디로 튈지 모르니까."

현재 파악된 학교 외 우레탄 체육시설만 9백 60여 개.

정부는 오는 10월까지 유해 성분 검사를 마친다는 계획이어서, 불안은 계속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우수경입니다.

▼드러눕고 만지고…어린이·청소년 더 위험▼

<리포트>

우레탄 트랙이나 운동장은 전국 곳곳에 설치돼 있는데요.

그렇다면 우레탄 운동장의 구조, 한 번 살펴볼까요.

맨 아래 층 콘크리트 위에 부드러운 고무 탄성 층을 올리고, 상위 표면에는 우레탄 수지가 덮어 있습니다.

각 층을 고정하고, 빨리 굳게 하는 데 사용되는 물질이 바로 인체에 치명적인 중금속, 납입니다.

어린이들은 운동장 위에 앉거나 뒹굴면서 표면을 손으로 만지는 경우가 많은데요.

실제로 환경부 조사 결과, 이렇게 납 성분을 만진 손으로 입을 만지거나 또는 음식을 먹게 되면 유해 물질에 노출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납은 체내에 축적되면 주의력 결핍을 일으키는 등 뇌 신경계에 악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특히 어린 아이일수록 납 노출 정도가 높아 우레탄 트랙이나 운동장 교체가 시급한 실정입니다.

이경진 기자의 보도입니다.

▼예산 없다며 나몰라라…교체 시급▼

<리포트>

납이 과다 검출된 학교의 우레탄을 모두 교체하려면, 천 4백 74억 원의 예산이 필요하다는 게 교육부 추산입니다.

교육부는 교체 예산을 문화체육관광부와 절반 씩 부담하겠다는 입장입니다.

<녹취> 김석권(교육부 인성체육예술교육과장) : "학교 운동장 우레탄 트랙 사업은 2000년 생활체육시설 지원사업으로 문체부와 교육부가 공동으로 추진했습니다."

반면 문체부는 학교 외 일반체육시설의 우레탄 교체에도 3백억 원이 필요해, 학교 우레탄 공사에 예산을 짜내기 어렵다고 주장합니다.

<인터뷰> 이해돈(문체부 체육진흥과장) : "여유 자금 자체가 지금 없습니다. 교육부에서 먼저 좀 지자체나 아니면 교육청과 같이 협의를 좀 더 해주면 어떨까 합니다."

우레탄의 납 함량 기준은 지난 2011년 4월 처음 마련됐습니다.

교육부 조사에서 납이 초과 검출된 학교의 28%, 566개 교는 기준 마련 이후 시공된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때문에 시공업체에 책임을 물어야 한다는 주장도 제기되고 있습니다.

학교 시설은 일단 교육당국이 특별교부금과 예비비를 활용해 납 오염 정도가 심한 학교부터 당장 공사에 들어가기로 했습니다.

하지만 일반 체육시설의 경우 환경부 조사로 유해성 문제가 알려진 지 넉달 만인 최근에야 문체부가 전수 조사를 시작해, 안이한 대책이라는 지적을 받고 있습니다.

KBS 뉴스 이경진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이슈&뉴스] 학교에 공원까지…‘납 우레탄’ 불안 확산
    • 입력 2016-07-26 21:35:48
    • 수정2016-07-26 22:38:39
    뉴스 9
<앵커 멘트>

서울의 한 초등학교 운동장입니다.

학생들이 우레탄 트랙을 밟지 못하도록 줄을 처놓고, 길목엔 매트도 깔았습니다.

인체에 치명적인 중금속, 납 성분이 검출됐기 때문입니다.

우레탄 트랙은 맨땅보다 부드럽고 먼지도 없어서 학교 운동장 등에 많이 보급됐는데요.

하지만 우레탄이 깔린 전국 초중고등학교의 64%인 천 7백여 곳에서 많게는 기준치 백 배를 넘는 납이 검출돼, 우레탄 트랙 사용이 전면 금지됐습니다.

우수경 기자가 보도합니다.

▼학교·공공시설·놀이터까지…불안 확산▼

<리포트>

우레탄 트랙을 걷어내는 등 친환경 운동장으로 만드는 공사가 한창입니다.

방학동안 작업을 마무리하기 위해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

반면 대부분의 학교에서는 아직 공사 시작조차 못하고 있습니다.

농구장에도 우레탄이 사용됐지만, 여기저기 찢어지고 벗겨진 상태입니다.

<녹취> 학교 관계자(음성변조) : "기존에 있는거 걷어내야 하고, 다시 설치해서 말리는 시간도 있으니까 예산확보 돼도 최소한 3주 이상은 잡아야 할거 같아요. "

공공 체육시설에 있는 우레탄 농구장의 납 성분 초과 검출 조사는 이번 달에 겨우 시작했습니다.

<녹취> 학생 : "일주일에 두세 번 정도는 와요. 자전거도 타고 농구도 하고..."

특히 중금속 기준이 없던 2011년 이전에 만들어진 우레탄 시설물은 납 성분이 기준치 이상 검출될 가능성이 높은 상태.

하지만 영유아들도 많이 찾는 공원의 우레탄 시설물 역시 별다른 조치없이 그대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녹취> 시민 : "아이들은 온몸으로 놀기 때문에 더 걱정되는 부분이 많죠. 어디로 튈지 모르니까."

현재 파악된 학교 외 우레탄 체육시설만 9백 60여 개.

정부는 오는 10월까지 유해 성분 검사를 마친다는 계획이어서, 불안은 계속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우수경입니다.

▼드러눕고 만지고…어린이·청소년 더 위험▼

<리포트>

우레탄 트랙이나 운동장은 전국 곳곳에 설치돼 있는데요.

그렇다면 우레탄 운동장의 구조, 한 번 살펴볼까요.

맨 아래 층 콘크리트 위에 부드러운 고무 탄성 층을 올리고, 상위 표면에는 우레탄 수지가 덮어 있습니다.

각 층을 고정하고, 빨리 굳게 하는 데 사용되는 물질이 바로 인체에 치명적인 중금속, 납입니다.

어린이들은 운동장 위에 앉거나 뒹굴면서 표면을 손으로 만지는 경우가 많은데요.

실제로 환경부 조사 결과, 이렇게 납 성분을 만진 손으로 입을 만지거나 또는 음식을 먹게 되면 유해 물질에 노출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납은 체내에 축적되면 주의력 결핍을 일으키는 등 뇌 신경계에 악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특히 어린 아이일수록 납 노출 정도가 높아 우레탄 트랙이나 운동장 교체가 시급한 실정입니다.

이경진 기자의 보도입니다.

▼예산 없다며 나몰라라…교체 시급▼

<리포트>

납이 과다 검출된 학교의 우레탄을 모두 교체하려면, 천 4백 74억 원의 예산이 필요하다는 게 교육부 추산입니다.

교육부는 교체 예산을 문화체육관광부와 절반 씩 부담하겠다는 입장입니다.

<녹취> 김석권(교육부 인성체육예술교육과장) : "학교 운동장 우레탄 트랙 사업은 2000년 생활체육시설 지원사업으로 문체부와 교육부가 공동으로 추진했습니다."

반면 문체부는 학교 외 일반체육시설의 우레탄 교체에도 3백억 원이 필요해, 학교 우레탄 공사에 예산을 짜내기 어렵다고 주장합니다.

<인터뷰> 이해돈(문체부 체육진흥과장) : "여유 자금 자체가 지금 없습니다. 교육부에서 먼저 좀 지자체나 아니면 교육청과 같이 협의를 좀 더 해주면 어떨까 합니다."

우레탄의 납 함량 기준은 지난 2011년 4월 처음 마련됐습니다.

교육부 조사에서 납이 초과 검출된 학교의 28%, 566개 교는 기준 마련 이후 시공된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때문에 시공업체에 책임을 물어야 한다는 주장도 제기되고 있습니다.

학교 시설은 일단 교육당국이 특별교부금과 예비비를 활용해 납 오염 정도가 심한 학교부터 당장 공사에 들어가기로 했습니다.

하지만 일반 체육시설의 경우 환경부 조사로 유해성 문제가 알려진 지 넉달 만인 최근에야 문체부가 전수 조사를 시작해, 안이한 대책이라는 지적을 받고 있습니다.

KBS 뉴스 이경진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