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개국, 北 선박 69척 등록 취소”
입력 2016.08.06 (06:43)
수정 2016.08.06 (22:4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유엔 안보리 결의보다 강력한 대북 제재조치를 취하는 사례가 잇따르고 있습니다.
북한 선박을 자국 선박으로 등록해줬던 6개 나라가 최근 북한과의 거래를 중단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조빛나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몽골 깃발을 달고 우리 영해를 통과했던 '오리온 스타'호입니다.
실 소유주는 북한인데 국적을 2년 동안 세 번이나 바꿨습니다.
국제사회의 감시망을 피하기 위해섭니다.
북한 선박에 국적을 빌려줬던 몽골 등 아시아와 아프리카 6개 나라가 북한과의 거래를 중단했습니다.
유엔 제재 대상이 아닌 일반 선박 69척까지 등록이 취소된 겁니다.
다른 국가의 국적을 얻으려던 시도도 거부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인터뷰> 조준혁(외교부 대변인) : "북한의 전통적 우방국들을 포함한 국제사회의 전체로부터의 외교적 고립 심화는 제재의 충격을 배가시키는 효과를 불러오고 있습니다."
북한이 외화 벌이를 위해 중동 국가 등에 선적을 빌려주는 것도 제동이 걸렸습니다.
요르단 한 업체가 북한 선적을 가진 자사 선박의 등록을 취소한 겁니다.
올 상반기 50여 개 국가와 국제기구가 북한과 고위 인사 교류나 공관 개설 등 협력 사업을 중단하거나 보류했습니다.
지난 다섯 달 동안 중국과 러시아 등 모두 47개 나라가 유엔 안보리 결의 2270호 이행보고서를 제출했습니다.
3년 전 안보리 결의 2094호의 경우는 42개 나라가 이행보고서를 제출하는 데 2년 3개월이나 걸렸습니다.
외교부는 국제사회의 대북제재 공조를 다지기 위해 올 하반기 아프리카와 동남아,중동 지역에 대한 외교적 노력을 집중할 방침입니다.
KBS 뉴스 조빛나입니다.
유엔 안보리 결의보다 강력한 대북 제재조치를 취하는 사례가 잇따르고 있습니다.
북한 선박을 자국 선박으로 등록해줬던 6개 나라가 최근 북한과의 거래를 중단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조빛나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몽골 깃발을 달고 우리 영해를 통과했던 '오리온 스타'호입니다.
실 소유주는 북한인데 국적을 2년 동안 세 번이나 바꿨습니다.
국제사회의 감시망을 피하기 위해섭니다.
북한 선박에 국적을 빌려줬던 몽골 등 아시아와 아프리카 6개 나라가 북한과의 거래를 중단했습니다.
유엔 제재 대상이 아닌 일반 선박 69척까지 등록이 취소된 겁니다.
다른 국가의 국적을 얻으려던 시도도 거부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인터뷰> 조준혁(외교부 대변인) : "북한의 전통적 우방국들을 포함한 국제사회의 전체로부터의 외교적 고립 심화는 제재의 충격을 배가시키는 효과를 불러오고 있습니다."
북한이 외화 벌이를 위해 중동 국가 등에 선적을 빌려주는 것도 제동이 걸렸습니다.
요르단 한 업체가 북한 선적을 가진 자사 선박의 등록을 취소한 겁니다.
올 상반기 50여 개 국가와 국제기구가 북한과 고위 인사 교류나 공관 개설 등 협력 사업을 중단하거나 보류했습니다.
지난 다섯 달 동안 중국과 러시아 등 모두 47개 나라가 유엔 안보리 결의 2270호 이행보고서를 제출했습니다.
3년 전 안보리 결의 2094호의 경우는 42개 나라가 이행보고서를 제출하는 데 2년 3개월이나 걸렸습니다.
외교부는 국제사회의 대북제재 공조를 다지기 위해 올 하반기 아프리카와 동남아,중동 지역에 대한 외교적 노력을 집중할 방침입니다.
KBS 뉴스 조빛나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6개국, 北 선박 69척 등록 취소”
-
- 입력 2016-08-06 06:51:57
- 수정2016-08-06 22:46:49

<앵커 멘트>
유엔 안보리 결의보다 강력한 대북 제재조치를 취하는 사례가 잇따르고 있습니다.
북한 선박을 자국 선박으로 등록해줬던 6개 나라가 최근 북한과의 거래를 중단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조빛나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몽골 깃발을 달고 우리 영해를 통과했던 '오리온 스타'호입니다.
실 소유주는 북한인데 국적을 2년 동안 세 번이나 바꿨습니다.
국제사회의 감시망을 피하기 위해섭니다.
북한 선박에 국적을 빌려줬던 몽골 등 아시아와 아프리카 6개 나라가 북한과의 거래를 중단했습니다.
유엔 제재 대상이 아닌 일반 선박 69척까지 등록이 취소된 겁니다.
다른 국가의 국적을 얻으려던 시도도 거부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인터뷰> 조준혁(외교부 대변인) : "북한의 전통적 우방국들을 포함한 국제사회의 전체로부터의 외교적 고립 심화는 제재의 충격을 배가시키는 효과를 불러오고 있습니다."
북한이 외화 벌이를 위해 중동 국가 등에 선적을 빌려주는 것도 제동이 걸렸습니다.
요르단 한 업체가 북한 선적을 가진 자사 선박의 등록을 취소한 겁니다.
올 상반기 50여 개 국가와 국제기구가 북한과 고위 인사 교류나 공관 개설 등 협력 사업을 중단하거나 보류했습니다.
지난 다섯 달 동안 중국과 러시아 등 모두 47개 나라가 유엔 안보리 결의 2270호 이행보고서를 제출했습니다.
3년 전 안보리 결의 2094호의 경우는 42개 나라가 이행보고서를 제출하는 데 2년 3개월이나 걸렸습니다.
외교부는 국제사회의 대북제재 공조를 다지기 위해 올 하반기 아프리카와 동남아,중동 지역에 대한 외교적 노력을 집중할 방침입니다.
KBS 뉴스 조빛나입니다.
유엔 안보리 결의보다 강력한 대북 제재조치를 취하는 사례가 잇따르고 있습니다.
북한 선박을 자국 선박으로 등록해줬던 6개 나라가 최근 북한과의 거래를 중단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조빛나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몽골 깃발을 달고 우리 영해를 통과했던 '오리온 스타'호입니다.
실 소유주는 북한인데 국적을 2년 동안 세 번이나 바꿨습니다.
국제사회의 감시망을 피하기 위해섭니다.
북한 선박에 국적을 빌려줬던 몽골 등 아시아와 아프리카 6개 나라가 북한과의 거래를 중단했습니다.
유엔 제재 대상이 아닌 일반 선박 69척까지 등록이 취소된 겁니다.
다른 국가의 국적을 얻으려던 시도도 거부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인터뷰> 조준혁(외교부 대변인) : "북한의 전통적 우방국들을 포함한 국제사회의 전체로부터의 외교적 고립 심화는 제재의 충격을 배가시키는 효과를 불러오고 있습니다."
북한이 외화 벌이를 위해 중동 국가 등에 선적을 빌려주는 것도 제동이 걸렸습니다.
요르단 한 업체가 북한 선적을 가진 자사 선박의 등록을 취소한 겁니다.
올 상반기 50여 개 국가와 국제기구가 북한과 고위 인사 교류나 공관 개설 등 협력 사업을 중단하거나 보류했습니다.
지난 다섯 달 동안 중국과 러시아 등 모두 47개 나라가 유엔 안보리 결의 2270호 이행보고서를 제출했습니다.
3년 전 안보리 결의 2094호의 경우는 42개 나라가 이행보고서를 제출하는 데 2년 3개월이나 걸렸습니다.
외교부는 국제사회의 대북제재 공조를 다지기 위해 올 하반기 아프리카와 동남아,중동 지역에 대한 외교적 노력을 집중할 방침입니다.
KBS 뉴스 조빛나입니다.
-
-
조빛나 기자 hymn@kbs.co.kr
조빛나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