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심 야산에 들개화한 애완견…주민 안전 위협
입력 2016.09.01 (07:38)
수정 2016.09.01 (07:5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최근 몇 년 사이 도심 야산을 떠도는 들개 무리가 급격하게 늘었습니다.
등산을 갔다가 산에서 들개와 갑자기 마주친 등산객과 주민들의 민원이 계속되면서 들개 포획이 시작됐습니다.
이현준 기자가 그 현장을 다녀왔습니다.
<리포트>
북한산 자락의 한 등산로 개 두 마리가 산길을 어슬렁거립니다.
<녹취> "어디로 가나 봐요. 쫓지 마요."
그 순간 포획 전문가의 마취총에서 무언가가 발사되고, 30미터 정도를 더 도망치다가 쓰러집니다.
야산에서 살면서 먹이를 찾아 주택가까지 내려온 들개입니다.
<녹취> 방기정(포획 전문가) : "이빨 보니까요, 한 3년 됐겠네요. 진도 종류라 이것들이 좀 사나워요. 한 시간 정도 지나면 일어납니다."
이렇게 포획된 들개는 동물보호소로 옮겨집니다.
이곳에 들어와 있는 40여 마리의 들개는 20일 동안 입양을 기다리다가 안락사 됩니다.
북한산에서 주로 발견됐던 들개는 최근 인왕산과 백련산 등 주변 야산으로 활동 반경을 넓히고 있습니다.
대부분 주인이 버린 대형 애완견들이 들개로 살아가는 겁니다.
서너 마리씩 떼 지어 다니다 보니 공포를 느끼는 등산객과 주민들의 민원도 끊이지 않습니다.
<인터뷰> 조선종(서울시 서대문구) : "애들은 요것(들개)들이 짖고 도망간다고. 그러면 애들이 질색하고."
들개에 물릴 경우 광견병 등에 걸릴 우려도 제기됩니다.
이때문에 국립공원 관리공단 등은 적극적으로 포획에 나서고 있지만 쉽지만은 않습니다.
이 안에 놔둔 먹이를 먹기 위해 들개가 들어오면 입구가 닫히는 포획틀입니다.
북한산 곳곳에 이런 포획틀 10개가 설치돼있는데 잡히는 들개는 한 달 평균 1마리에 불과합니다.
들개들의 학습효과 때문입니다.
<인터뷰> 고명천(국립공원관리공단 자원보전과) : "학습효과가 된 성견들은 포획틀에 잘 들어가지 않고 어린 개체들이 호기심에 의해서 포획틀에 구조되고 있고…"
이런 가운데 포획 방법과 안락사에 대한 반대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습니다.
<인터뷰> 전진경(카라(동물보호시민단체)이사) : "입양되지 못한 동물의 소유권을 지자체나 국가가 가지도록 돼 있습니다. 그게 안락사시키라는 말이 절대 아니에요."
올해에만도 백여 마리의 들개가 생포됐지만 아직 수백 마리가 도심 야산에 서식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됩니다.
KBS 뉴스 이현준입니다.
최근 몇 년 사이 도심 야산을 떠도는 들개 무리가 급격하게 늘었습니다.
등산을 갔다가 산에서 들개와 갑자기 마주친 등산객과 주민들의 민원이 계속되면서 들개 포획이 시작됐습니다.
이현준 기자가 그 현장을 다녀왔습니다.
<리포트>
북한산 자락의 한 등산로 개 두 마리가 산길을 어슬렁거립니다.
<녹취> "어디로 가나 봐요. 쫓지 마요."
그 순간 포획 전문가의 마취총에서 무언가가 발사되고, 30미터 정도를 더 도망치다가 쓰러집니다.
야산에서 살면서 먹이를 찾아 주택가까지 내려온 들개입니다.
<녹취> 방기정(포획 전문가) : "이빨 보니까요, 한 3년 됐겠네요. 진도 종류라 이것들이 좀 사나워요. 한 시간 정도 지나면 일어납니다."
이렇게 포획된 들개는 동물보호소로 옮겨집니다.
이곳에 들어와 있는 40여 마리의 들개는 20일 동안 입양을 기다리다가 안락사 됩니다.
북한산에서 주로 발견됐던 들개는 최근 인왕산과 백련산 등 주변 야산으로 활동 반경을 넓히고 있습니다.
대부분 주인이 버린 대형 애완견들이 들개로 살아가는 겁니다.
서너 마리씩 떼 지어 다니다 보니 공포를 느끼는 등산객과 주민들의 민원도 끊이지 않습니다.
<인터뷰> 조선종(서울시 서대문구) : "애들은 요것(들개)들이 짖고 도망간다고. 그러면 애들이 질색하고."
들개에 물릴 경우 광견병 등에 걸릴 우려도 제기됩니다.
이때문에 국립공원 관리공단 등은 적극적으로 포획에 나서고 있지만 쉽지만은 않습니다.
이 안에 놔둔 먹이를 먹기 위해 들개가 들어오면 입구가 닫히는 포획틀입니다.
북한산 곳곳에 이런 포획틀 10개가 설치돼있는데 잡히는 들개는 한 달 평균 1마리에 불과합니다.
들개들의 학습효과 때문입니다.
<인터뷰> 고명천(국립공원관리공단 자원보전과) : "학습효과가 된 성견들은 포획틀에 잘 들어가지 않고 어린 개체들이 호기심에 의해서 포획틀에 구조되고 있고…"
이런 가운데 포획 방법과 안락사에 대한 반대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습니다.
<인터뷰> 전진경(카라(동물보호시민단체)이사) : "입양되지 못한 동물의 소유권을 지자체나 국가가 가지도록 돼 있습니다. 그게 안락사시키라는 말이 절대 아니에요."
올해에만도 백여 마리의 들개가 생포됐지만 아직 수백 마리가 도심 야산에 서식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됩니다.
KBS 뉴스 이현준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도심 야산에 들개화한 애완견…주민 안전 위협
-
- 입력 2016-09-01 07:43:29
- 수정2016-09-01 07:59:29
<앵커 멘트>
최근 몇 년 사이 도심 야산을 떠도는 들개 무리가 급격하게 늘었습니다.
등산을 갔다가 산에서 들개와 갑자기 마주친 등산객과 주민들의 민원이 계속되면서 들개 포획이 시작됐습니다.
이현준 기자가 그 현장을 다녀왔습니다.
<리포트>
북한산 자락의 한 등산로 개 두 마리가 산길을 어슬렁거립니다.
<녹취> "어디로 가나 봐요. 쫓지 마요."
그 순간 포획 전문가의 마취총에서 무언가가 발사되고, 30미터 정도를 더 도망치다가 쓰러집니다.
야산에서 살면서 먹이를 찾아 주택가까지 내려온 들개입니다.
<녹취> 방기정(포획 전문가) : "이빨 보니까요, 한 3년 됐겠네요. 진도 종류라 이것들이 좀 사나워요. 한 시간 정도 지나면 일어납니다."
이렇게 포획된 들개는 동물보호소로 옮겨집니다.
이곳에 들어와 있는 40여 마리의 들개는 20일 동안 입양을 기다리다가 안락사 됩니다.
북한산에서 주로 발견됐던 들개는 최근 인왕산과 백련산 등 주변 야산으로 활동 반경을 넓히고 있습니다.
대부분 주인이 버린 대형 애완견들이 들개로 살아가는 겁니다.
서너 마리씩 떼 지어 다니다 보니 공포를 느끼는 등산객과 주민들의 민원도 끊이지 않습니다.
<인터뷰> 조선종(서울시 서대문구) : "애들은 요것(들개)들이 짖고 도망간다고. 그러면 애들이 질색하고."
들개에 물릴 경우 광견병 등에 걸릴 우려도 제기됩니다.
이때문에 국립공원 관리공단 등은 적극적으로 포획에 나서고 있지만 쉽지만은 않습니다.
이 안에 놔둔 먹이를 먹기 위해 들개가 들어오면 입구가 닫히는 포획틀입니다.
북한산 곳곳에 이런 포획틀 10개가 설치돼있는데 잡히는 들개는 한 달 평균 1마리에 불과합니다.
들개들의 학습효과 때문입니다.
<인터뷰> 고명천(국립공원관리공단 자원보전과) : "학습효과가 된 성견들은 포획틀에 잘 들어가지 않고 어린 개체들이 호기심에 의해서 포획틀에 구조되고 있고…"
이런 가운데 포획 방법과 안락사에 대한 반대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습니다.
<인터뷰> 전진경(카라(동물보호시민단체)이사) : "입양되지 못한 동물의 소유권을 지자체나 국가가 가지도록 돼 있습니다. 그게 안락사시키라는 말이 절대 아니에요."
올해에만도 백여 마리의 들개가 생포됐지만 아직 수백 마리가 도심 야산에 서식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됩니다.
KBS 뉴스 이현준입니다.
최근 몇 년 사이 도심 야산을 떠도는 들개 무리가 급격하게 늘었습니다.
등산을 갔다가 산에서 들개와 갑자기 마주친 등산객과 주민들의 민원이 계속되면서 들개 포획이 시작됐습니다.
이현준 기자가 그 현장을 다녀왔습니다.
<리포트>
북한산 자락의 한 등산로 개 두 마리가 산길을 어슬렁거립니다.
<녹취> "어디로 가나 봐요. 쫓지 마요."
그 순간 포획 전문가의 마취총에서 무언가가 발사되고, 30미터 정도를 더 도망치다가 쓰러집니다.
야산에서 살면서 먹이를 찾아 주택가까지 내려온 들개입니다.
<녹취> 방기정(포획 전문가) : "이빨 보니까요, 한 3년 됐겠네요. 진도 종류라 이것들이 좀 사나워요. 한 시간 정도 지나면 일어납니다."
이렇게 포획된 들개는 동물보호소로 옮겨집니다.
이곳에 들어와 있는 40여 마리의 들개는 20일 동안 입양을 기다리다가 안락사 됩니다.
북한산에서 주로 발견됐던 들개는 최근 인왕산과 백련산 등 주변 야산으로 활동 반경을 넓히고 있습니다.
대부분 주인이 버린 대형 애완견들이 들개로 살아가는 겁니다.
서너 마리씩 떼 지어 다니다 보니 공포를 느끼는 등산객과 주민들의 민원도 끊이지 않습니다.
<인터뷰> 조선종(서울시 서대문구) : "애들은 요것(들개)들이 짖고 도망간다고. 그러면 애들이 질색하고."
들개에 물릴 경우 광견병 등에 걸릴 우려도 제기됩니다.
이때문에 국립공원 관리공단 등은 적극적으로 포획에 나서고 있지만 쉽지만은 않습니다.
이 안에 놔둔 먹이를 먹기 위해 들개가 들어오면 입구가 닫히는 포획틀입니다.
북한산 곳곳에 이런 포획틀 10개가 설치돼있는데 잡히는 들개는 한 달 평균 1마리에 불과합니다.
들개들의 학습효과 때문입니다.
<인터뷰> 고명천(국립공원관리공단 자원보전과) : "학습효과가 된 성견들은 포획틀에 잘 들어가지 않고 어린 개체들이 호기심에 의해서 포획틀에 구조되고 있고…"
이런 가운데 포획 방법과 안락사에 대한 반대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습니다.
<인터뷰> 전진경(카라(동물보호시민단체)이사) : "입양되지 못한 동물의 소유권을 지자체나 국가가 가지도록 돼 있습니다. 그게 안락사시키라는 말이 절대 아니에요."
올해에만도 백여 마리의 들개가 생포됐지만 아직 수백 마리가 도심 야산에 서식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됩니다.
KBS 뉴스 이현준입니다.
-
-
이현준 기자 hjni14@kbs.co.kr
이현준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