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난데없는 ‘이혼 열풍’…“집값 때문에”

입력 2016.09.02 (08:08) 수정 2016.09.02 (09:3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중국 상하이에서 난데없이 '이혼 열풍'이 불고 있습니다.

최근 중국 주택가격이 급등하고 있는데다 다주택자에 대해 규제를 강화한다는 소문까지 퍼지면서 위장이혼 행렬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상하이 김태욱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이혼 신청자들이 복도를 넘어 비상구 계단에까지 길게 줄을 늘어섰습니다.

더 빨리 이혼하기 위해 새벽부터 진을 치고 있습니다.

<녹취>이혼신청 대기자 : "어떤 사람은 새벽 5시에 왔어요. (새벽 5시에 왔어요?) 난 세번째예요. 더 일찍 온 사람도 있어요."

위장이혼을 한 뒤 부부중 한쪽이 무주택자 신분으로 두번째 집을 사려는 속셈입니다.

<녹취> 상하이 시민 : "(다 이혼하러 온 사람들인가요?) 네. 모두 집 사는 사람들이에요. (당신도 집을 사려고 하는 거에요?) 맞아요."

첫 주택을 구매할 때는 주택가격의 30%만 계약금을 내고 나머지는 대출을 받아 살 수 있지만, 2주택부터는 70%를 자신의 돈으로 내야하기 때문입니다.

특히 최근 2주택 구매 제한이 더 강화될 것이란 소문이 퍼지면서 그 전에 집을 사려는 위장이혼 행렬이 이어지고 있는 겁니다.

여기다 계속 치솟는 집값도 주택사재기를 부추기고 있습니다.

최근 상하이의 주택가격은 1년 전보다 27%나 급등한 상태입니다.

<인터뷰> 상하이 시민 : "아이가 학교에 들어갈 나이가 돼서 집을 옮기고 싶은데 집값이 너무 비싸요. 비용이 너무 많이 들어요."

상하이 시정부는 최근 '이혼열풍'을 불러온 규제강화 소문은 사실이 아니라고 공식 부인했습니다.

그러나 마냥 뛰는 집값을 그대로 두고만 볼 수도 없어 중국당국의 고민이 커지고 있습니다.

상하이에서 KBS 뉴스 김태욱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中, 난데없는 ‘이혼 열풍’…“집값 때문에”
    • 입력 2016-09-02 08:11:54
    • 수정2016-09-02 09:32:06
    아침뉴스타임
<앵커 멘트>

중국 상하이에서 난데없이 '이혼 열풍'이 불고 있습니다.

최근 중국 주택가격이 급등하고 있는데다 다주택자에 대해 규제를 강화한다는 소문까지 퍼지면서 위장이혼 행렬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상하이 김태욱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이혼 신청자들이 복도를 넘어 비상구 계단에까지 길게 줄을 늘어섰습니다.

더 빨리 이혼하기 위해 새벽부터 진을 치고 있습니다.

<녹취>이혼신청 대기자 : "어떤 사람은 새벽 5시에 왔어요. (새벽 5시에 왔어요?) 난 세번째예요. 더 일찍 온 사람도 있어요."

위장이혼을 한 뒤 부부중 한쪽이 무주택자 신분으로 두번째 집을 사려는 속셈입니다.

<녹취> 상하이 시민 : "(다 이혼하러 온 사람들인가요?) 네. 모두 집 사는 사람들이에요. (당신도 집을 사려고 하는 거에요?) 맞아요."

첫 주택을 구매할 때는 주택가격의 30%만 계약금을 내고 나머지는 대출을 받아 살 수 있지만, 2주택부터는 70%를 자신의 돈으로 내야하기 때문입니다.

특히 최근 2주택 구매 제한이 더 강화될 것이란 소문이 퍼지면서 그 전에 집을 사려는 위장이혼 행렬이 이어지고 있는 겁니다.

여기다 계속 치솟는 집값도 주택사재기를 부추기고 있습니다.

최근 상하이의 주택가격은 1년 전보다 27%나 급등한 상태입니다.

<인터뷰> 상하이 시민 : "아이가 학교에 들어갈 나이가 돼서 집을 옮기고 싶은데 집값이 너무 비싸요. 비용이 너무 많이 들어요."

상하이 시정부는 최근 '이혼열풍'을 불러온 규제강화 소문은 사실이 아니라고 공식 부인했습니다.

그러나 마냥 뛰는 집값을 그대로 두고만 볼 수도 없어 중국당국의 고민이 커지고 있습니다.

상하이에서 KBS 뉴스 김태욱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