존폐 기로에 선 전경련

입력 2016.10.17 (08:13) 수정 2016.10.17 (09:13)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자 멘트>

여야 국회의원 73명이 한 목소리를 내고 나섰습니다.

전국경제인연합회, 전경련 해체를 촉구하는 결의안을 발의했습니다.

정의당 심상정 상임대표가 결의안을 대표발의하면서 밝힌 내용입니다.

이제 경제발전을 위한 사회적 순기능은 더 이상 없다, 회원사를 상대로 정권 치적사업용 모금에 앞장서는 지경으로 추락했다면서, 해체만이 답이라고, 단호한 어조로 밝히고 있습니다.

여기엔 야 3당 소속 의원들은 물론, 무소속 의원과 새누리당 의원까지 동참하고 있습니다.

결의안에 서명은 안 했지만 새누리당 유승민 의원과 더민주의 김종인 전 비대위 대표도 공개적으로 전경련 해체를 주장해 왔습니다.

민간 경제단체를 놓고 국회가 이렇게까지 나서는 이유는 뭘까요?

지난 12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국정감사에 전경련 이승철 상근부회장이 증인으로 출석했는데요.

잠시 보시겠습니다.

<녹취> 박영선(더불어민주당 의원) : "어디서 아이디어를 구했습니까?"

<녹취> 이승철(전경련 상근 부회장) : "수사가 진행중인 사건으로 인해서 이자리에서 답변드리기 어렵다는 점을 말씀 드리고자 합니다."

<녹취> "수사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녹취> "수사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녹취> "송구스럽게도 계속 같은 답변을 드리게 돼서 송구합니다."

국감 최대 현안인 미르, K스포츠 의혹과 관련해 시종일관 모르쇠로 입을 닫았습니다.

전경련이 정치적 사안에 휘말린 건 올해 들어서만 두 건입니다.

보수단체인 어버이연합이 2014년 세월호 유가족들을 비판하는 집회를 여는 동안 1200여 명에 이르는 사람들을 돈으로 동원했고 이 돈을 전경련이 지원했다는 의혹이 불거졌죠.

당시, 어버이연합 측은 전경련에서 지원 받은 돈은 무료급식에 썼다고 해명했습니다.

미르, K 스포츠 재단은 전경련이 기업들로부터 774억 원을 모금해 세웠는데, 재단에 박근혜 대통령 측근인 최순실, 차은택 씨가 개입했다는 의혹은 현재 검찰 수사가 진행 중입니다.

전경련이 정경유착의 고리라는 비판은 과거부터 제기돼 왔습니다.

1988년 전두환 전 대통령의 일해재단 자금을 전경련이 주도적으로 모금한 사실이 청문회에서 밝혀졌고, 1995년엔 재벌 총수들이 노태우 전 대통령의 대선 비자금을 제공했다 유죄 선고를 받았습니다.

1997년, 23개 대기업에서 166억 원의 불법 대선자금을 모금한 세풍 사건 2002년 이른바 '차떼기'로 유명한 불법대선자금 사건도 전경련이 관련돼 있습니다.

전경련은 처음 창립 당시부터 정권으로부터 자유롭지 못 했습니다.

1961년, 박정희 정권이 부정 축재자들을 석방하면서, "공장을 건립해 속죄하고 단체를 만들어 정부에 협력할 것"을 요구해 만들어진 단체입니다.

기업회원 510곳, 단체회원 86곳, 명예회원 4곳 등 모두 600개 회원이 있고, 이들이 낸 회비는 연간 400억 원 가량으로 추정됩니다.

최근엔 공공기관들이 여기에 가입돼 있는게 문제가 돼서, 한전과 인천공항공사같은 공기업 9곳이 탈퇴했는데, 아직 10개 공기업이 남아 있습니다.

잇단 정경유착 의혹에, 대기업 중심의 개발경제 시대가 끝났다는 시대적 무용론까지 제기되면서, 55년 역사의 전경련이 중대한 존폐 기로에 서 있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존폐 기로에 선 전경련
    • 입력 2016-10-17 08:16:01
    • 수정2016-10-17 09:13:27
    아침뉴스타임
<기자 멘트>

여야 국회의원 73명이 한 목소리를 내고 나섰습니다.

전국경제인연합회, 전경련 해체를 촉구하는 결의안을 발의했습니다.

정의당 심상정 상임대표가 결의안을 대표발의하면서 밝힌 내용입니다.

이제 경제발전을 위한 사회적 순기능은 더 이상 없다, 회원사를 상대로 정권 치적사업용 모금에 앞장서는 지경으로 추락했다면서, 해체만이 답이라고, 단호한 어조로 밝히고 있습니다.

여기엔 야 3당 소속 의원들은 물론, 무소속 의원과 새누리당 의원까지 동참하고 있습니다.

결의안에 서명은 안 했지만 새누리당 유승민 의원과 더민주의 김종인 전 비대위 대표도 공개적으로 전경련 해체를 주장해 왔습니다.

민간 경제단체를 놓고 국회가 이렇게까지 나서는 이유는 뭘까요?

지난 12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국정감사에 전경련 이승철 상근부회장이 증인으로 출석했는데요.

잠시 보시겠습니다.

<녹취> 박영선(더불어민주당 의원) : "어디서 아이디어를 구했습니까?"

<녹취> 이승철(전경련 상근 부회장) : "수사가 진행중인 사건으로 인해서 이자리에서 답변드리기 어렵다는 점을 말씀 드리고자 합니다."

<녹취> "수사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녹취> "수사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녹취> "송구스럽게도 계속 같은 답변을 드리게 돼서 송구합니다."

국감 최대 현안인 미르, K스포츠 의혹과 관련해 시종일관 모르쇠로 입을 닫았습니다.

전경련이 정치적 사안에 휘말린 건 올해 들어서만 두 건입니다.

보수단체인 어버이연합이 2014년 세월호 유가족들을 비판하는 집회를 여는 동안 1200여 명에 이르는 사람들을 돈으로 동원했고 이 돈을 전경련이 지원했다는 의혹이 불거졌죠.

당시, 어버이연합 측은 전경련에서 지원 받은 돈은 무료급식에 썼다고 해명했습니다.

미르, K 스포츠 재단은 전경련이 기업들로부터 774억 원을 모금해 세웠는데, 재단에 박근혜 대통령 측근인 최순실, 차은택 씨가 개입했다는 의혹은 현재 검찰 수사가 진행 중입니다.

전경련이 정경유착의 고리라는 비판은 과거부터 제기돼 왔습니다.

1988년 전두환 전 대통령의 일해재단 자금을 전경련이 주도적으로 모금한 사실이 청문회에서 밝혀졌고, 1995년엔 재벌 총수들이 노태우 전 대통령의 대선 비자금을 제공했다 유죄 선고를 받았습니다.

1997년, 23개 대기업에서 166억 원의 불법 대선자금을 모금한 세풍 사건 2002년 이른바 '차떼기'로 유명한 불법대선자금 사건도 전경련이 관련돼 있습니다.

전경련은 처음 창립 당시부터 정권으로부터 자유롭지 못 했습니다.

1961년, 박정희 정권이 부정 축재자들을 석방하면서, "공장을 건립해 속죄하고 단체를 만들어 정부에 협력할 것"을 요구해 만들어진 단체입니다.

기업회원 510곳, 단체회원 86곳, 명예회원 4곳 등 모두 600개 회원이 있고, 이들이 낸 회비는 연간 400억 원 가량으로 추정됩니다.

최근엔 공공기관들이 여기에 가입돼 있는게 문제가 돼서, 한전과 인천공항공사같은 공기업 9곳이 탈퇴했는데, 아직 10개 공기업이 남아 있습니다.

잇단 정경유착 의혹에, 대기업 중심의 개발경제 시대가 끝났다는 시대적 무용론까지 제기되면서, 55년 역사의 전경련이 중대한 존폐 기로에 서 있습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