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질 소금에 못 먹는 쑥 섞어 ‘160배 폭리’

입력 2016.10.27 (06:39) 수정 2016.10.27 (07:2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건강을 위해 값이 비싸도 몸에 좋다고 선전하는 소금을 먹는 분들 많습니다.

그런데 저질 소금에 벌레 퇴치용 쑥을 섞은 뒤 질병에 특효가 있다며 무려 160배나 폭리를 취한 업체가 적발됐습니다.

김성수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경기도의 한 소금 가공 공장.

대형 고무 대야에 소금이 가득 담겨있고, 작업대엔 포장 중이던 소금이 널려있습니다.

질병에 특효가 있다고 선전하는 고급 소금 제조 현장입니다.

<녹취> "(이 통에 이걸(소금을) 담아서 이걸 붙이기도 하고 이 걸 붙이기도 하고요?) 네."

하지만 고급 소금에 섞었다는 이 국내산 인진쑥을 경찰이 확인한 결과 벌레 퇴치용 쑥이나 쑥뜸 찌꺼기였습니다.

모두 식용으로 부적합한 종류입니다.

<녹취> 쑥 납품업자(음성변조) : "뜸쑥을 만든다고 하면 밑에 가루가 빠져요. 그걸 식용을 쓰지는 않죠. 그건 사려는 사람이 없고."

소금 제조업체 대표 김 모 씨 등 2명은 5백 그램짜리 한 통을 5백 원에 만들어 8만 원에 팔았습니다.

무려 160배나 부풀렸지만 2만 7천여 통이 팔려나갔습니다.

<인터뷰> 김선기(서울 송파경찰서 지능팀장) : "유명 오픈 마켓에서 10만 원에 가까운 고가에 판매되기도 한 것으로 확인되기도 했습니다."

주로 인터넷 쇼핑몰이나 의료기기 판매업체 등을 통해 단 7개월 동안 16억 원 넘게 매출을 올렸습니다.

경찰은 김 씨 등이 다른 소금 제품에 넣었다는 홍삼과 녹차는 성분을 확인할 수조차 없는 소량이었다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김성수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저질 소금에 못 먹는 쑥 섞어 ‘160배 폭리’
    • 입력 2016-10-27 06:41:41
    • 수정2016-10-27 07:29:20
    뉴스광장 1부
<앵커 멘트>

건강을 위해 값이 비싸도 몸에 좋다고 선전하는 소금을 먹는 분들 많습니다.

그런데 저질 소금에 벌레 퇴치용 쑥을 섞은 뒤 질병에 특효가 있다며 무려 160배나 폭리를 취한 업체가 적발됐습니다.

김성수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경기도의 한 소금 가공 공장.

대형 고무 대야에 소금이 가득 담겨있고, 작업대엔 포장 중이던 소금이 널려있습니다.

질병에 특효가 있다고 선전하는 고급 소금 제조 현장입니다.

<녹취> "(이 통에 이걸(소금을) 담아서 이걸 붙이기도 하고 이 걸 붙이기도 하고요?) 네."

하지만 고급 소금에 섞었다는 이 국내산 인진쑥을 경찰이 확인한 결과 벌레 퇴치용 쑥이나 쑥뜸 찌꺼기였습니다.

모두 식용으로 부적합한 종류입니다.

<녹취> 쑥 납품업자(음성변조) : "뜸쑥을 만든다고 하면 밑에 가루가 빠져요. 그걸 식용을 쓰지는 않죠. 그건 사려는 사람이 없고."

소금 제조업체 대표 김 모 씨 등 2명은 5백 그램짜리 한 통을 5백 원에 만들어 8만 원에 팔았습니다.

무려 160배나 부풀렸지만 2만 7천여 통이 팔려나갔습니다.

<인터뷰> 김선기(서울 송파경찰서 지능팀장) : "유명 오픈 마켓에서 10만 원에 가까운 고가에 판매되기도 한 것으로 확인되기도 했습니다."

주로 인터넷 쇼핑몰이나 의료기기 판매업체 등을 통해 단 7개월 동안 16억 원 넘게 매출을 올렸습니다.

경찰은 김 씨 등이 다른 소금 제품에 넣었다는 홍삼과 녹차는 성분을 확인할 수조차 없는 소량이었다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김성수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