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소 유통 물량의 20%…달걀 수급 비상
입력 2016.12.21 (08:08)
수정 2016.12.21 (09:0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조류인플루엔자의 여파로 달걀 수급이 최악의 상황으로 치닫고 있습니다.
시중에 공급되는 유통물량이 평소의 20%수준으로 절대부족한데다, 지역간 유통망이 막혀 그야말로 달걀대란이 빚어지고 있습니다.
한성원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한 대형마트, 달걀 판매대가 텅 비었습니다.
하루에 300개씩 들어오던 30개 짜리 판란을 구할 수 없어 진열을 못 한 겁니다.
<인터뷰> 정동훈(00마트 농산파트장) : "평상시 발주 대비 전반적으로 20~30% 수준 밖에 입고가 안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발주자체가 안되고 본사에서 총 물량을 가지고 배분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동네슈퍼는 더 심각합니다.
달걀 판매대는 이미 1주일 전부터 텅 빈 상태.
사실상 판매중단입니다.
<인터뷰> 한정희(슈퍼 주인) : "어린이집 같은데서 급해서 연락이 와서 구해주려고 바깥에 돌아다녀봤는데 하나도 못 구하고 그냥 왔어요."
동네슈퍼와 양계장을 잇는 달걀 도매상을 찾아가 봤습니다.
일주일 평균 달걀 6만개를 유통하던 이 도매상은 20여일 전부터 거의 손을 놓고 있습니다.
<인터뷰> 여운상(달걀 도매상) : "오래가면 전부 다 문 닫아야되요. 문 닫고 생업을 바꿔야 하는 판국이에요. 계란장사 30년 넘었는데 이런 경우 처음 봤어요."
조류 인플루엔자로 지금까지 산란계의 17.3% 산란종계의 38.6%가 매몰 처분된 결과입니다.
병아리가 달걀을 낳을 때까지 자라는 시간은 약 7개월, 특별한 대책이 없는 한 당장 AI가 종식되더라도 달걀대란은 그 기간만큼 지속될 수 밖에 없습니다.
KBS 뉴스 한성원입니다.
조류인플루엔자의 여파로 달걀 수급이 최악의 상황으로 치닫고 있습니다.
시중에 공급되는 유통물량이 평소의 20%수준으로 절대부족한데다, 지역간 유통망이 막혀 그야말로 달걀대란이 빚어지고 있습니다.
한성원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한 대형마트, 달걀 판매대가 텅 비었습니다.
하루에 300개씩 들어오던 30개 짜리 판란을 구할 수 없어 진열을 못 한 겁니다.
<인터뷰> 정동훈(00마트 농산파트장) : "평상시 발주 대비 전반적으로 20~30% 수준 밖에 입고가 안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발주자체가 안되고 본사에서 총 물량을 가지고 배분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동네슈퍼는 더 심각합니다.
달걀 판매대는 이미 1주일 전부터 텅 빈 상태.
사실상 판매중단입니다.
<인터뷰> 한정희(슈퍼 주인) : "어린이집 같은데서 급해서 연락이 와서 구해주려고 바깥에 돌아다녀봤는데 하나도 못 구하고 그냥 왔어요."
동네슈퍼와 양계장을 잇는 달걀 도매상을 찾아가 봤습니다.
일주일 평균 달걀 6만개를 유통하던 이 도매상은 20여일 전부터 거의 손을 놓고 있습니다.
<인터뷰> 여운상(달걀 도매상) : "오래가면 전부 다 문 닫아야되요. 문 닫고 생업을 바꿔야 하는 판국이에요. 계란장사 30년 넘었는데 이런 경우 처음 봤어요."
조류 인플루엔자로 지금까지 산란계의 17.3% 산란종계의 38.6%가 매몰 처분된 결과입니다.
병아리가 달걀을 낳을 때까지 자라는 시간은 약 7개월, 특별한 대책이 없는 한 당장 AI가 종식되더라도 달걀대란은 그 기간만큼 지속될 수 밖에 없습니다.
KBS 뉴스 한성원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평소 유통 물량의 20%…달걀 수급 비상
-
- 입력 2016-12-21 08:11:51
- 수정2016-12-21 09:09:35

<앵커 멘트>
조류인플루엔자의 여파로 달걀 수급이 최악의 상황으로 치닫고 있습니다.
시중에 공급되는 유통물량이 평소의 20%수준으로 절대부족한데다, 지역간 유통망이 막혀 그야말로 달걀대란이 빚어지고 있습니다.
한성원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한 대형마트, 달걀 판매대가 텅 비었습니다.
하루에 300개씩 들어오던 30개 짜리 판란을 구할 수 없어 진열을 못 한 겁니다.
<인터뷰> 정동훈(00마트 농산파트장) : "평상시 발주 대비 전반적으로 20~30% 수준 밖에 입고가 안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발주자체가 안되고 본사에서 총 물량을 가지고 배분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동네슈퍼는 더 심각합니다.
달걀 판매대는 이미 1주일 전부터 텅 빈 상태.
사실상 판매중단입니다.
<인터뷰> 한정희(슈퍼 주인) : "어린이집 같은데서 급해서 연락이 와서 구해주려고 바깥에 돌아다녀봤는데 하나도 못 구하고 그냥 왔어요."
동네슈퍼와 양계장을 잇는 달걀 도매상을 찾아가 봤습니다.
일주일 평균 달걀 6만개를 유통하던 이 도매상은 20여일 전부터 거의 손을 놓고 있습니다.
<인터뷰> 여운상(달걀 도매상) : "오래가면 전부 다 문 닫아야되요. 문 닫고 생업을 바꿔야 하는 판국이에요. 계란장사 30년 넘었는데 이런 경우 처음 봤어요."
조류 인플루엔자로 지금까지 산란계의 17.3% 산란종계의 38.6%가 매몰 처분된 결과입니다.
병아리가 달걀을 낳을 때까지 자라는 시간은 약 7개월, 특별한 대책이 없는 한 당장 AI가 종식되더라도 달걀대란은 그 기간만큼 지속될 수 밖에 없습니다.
KBS 뉴스 한성원입니다.
조류인플루엔자의 여파로 달걀 수급이 최악의 상황으로 치닫고 있습니다.
시중에 공급되는 유통물량이 평소의 20%수준으로 절대부족한데다, 지역간 유통망이 막혀 그야말로 달걀대란이 빚어지고 있습니다.
한성원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한 대형마트, 달걀 판매대가 텅 비었습니다.
하루에 300개씩 들어오던 30개 짜리 판란을 구할 수 없어 진열을 못 한 겁니다.
<인터뷰> 정동훈(00마트 농산파트장) : "평상시 발주 대비 전반적으로 20~30% 수준 밖에 입고가 안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발주자체가 안되고 본사에서 총 물량을 가지고 배분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동네슈퍼는 더 심각합니다.
달걀 판매대는 이미 1주일 전부터 텅 빈 상태.
사실상 판매중단입니다.
<인터뷰> 한정희(슈퍼 주인) : "어린이집 같은데서 급해서 연락이 와서 구해주려고 바깥에 돌아다녀봤는데 하나도 못 구하고 그냥 왔어요."
동네슈퍼와 양계장을 잇는 달걀 도매상을 찾아가 봤습니다.
일주일 평균 달걀 6만개를 유통하던 이 도매상은 20여일 전부터 거의 손을 놓고 있습니다.
<인터뷰> 여운상(달걀 도매상) : "오래가면 전부 다 문 닫아야되요. 문 닫고 생업을 바꿔야 하는 판국이에요. 계란장사 30년 넘었는데 이런 경우 처음 봤어요."
조류 인플루엔자로 지금까지 산란계의 17.3% 산란종계의 38.6%가 매몰 처분된 결과입니다.
병아리가 달걀을 낳을 때까지 자라는 시간은 약 7개월, 특별한 대책이 없는 한 당장 AI가 종식되더라도 달걀대란은 그 기간만큼 지속될 수 밖에 없습니다.
KBS 뉴스 한성원입니다.
-
-
한성원 기자 hansw@kbs.co.kr
한성원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