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수일가 이사 등재 해마다 ↓…‘책임경영’ 후퇴
입력 2016.12.23 (06:45)
수정 2016.12.23 (07:1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대기업 총수 일가가 주요 계열사들에 경영권을 행사하면서도 이사로 등재하는 비율은 갈수록 줄고 있습니다.
총수 일가의 책임경영이 후퇴하고 있다는 지적입니다.
송형국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올해 21개 대기업집단 계열사 가운데 총수 일가가 이사로 등재된 회사 비율은 17.8%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지난해 40개 대기업집단 대상으로 조사한 21.7%에 비해 3.9%포인트 줄어든 수치입니다.
지난 2012년 27.2%였던 것이 해마다 꾸준히 감소하고 있습니다.
총수 일가가 사실상 계열사에 경영권을 행사하면서도, 법적인 책임을 묻기 어렵기 때문에 책임 경영 측면에서 갈수록 미흡해지고 있다는 지적입니다.
<인터뷰> 김정기(공정거래위원회 기업집단과장) : "회사에 대한 손해배상 책임, 제3자에 대한 손해배상 책임, 이런 부분들이 등기이사에 대해서 발생하는 것으로 돼 있습니다."
현대중공업과 미래에셋은 총수 일가가 이사로 등재된 계열사가 단 한 곳도 없었고 삼성 1.7%, 한화 1.8%, 신세계 3.1%로 낮은 비율을 보였습니다.
특히 지난 2013년 8월부터 등기 임원 보수 공개가 의무화된 이후 등기 임원을 내려놓는 총수 일가가 늘고 있다는 분석입니다.
또 대기업 계열 상장사의 사외이사 비중은 50%로, 지난해와 비슷한 수준에 그쳤습니다.
이들 회사의 최근 1년간 이사회 안건 가운데 사외이사 반대 등으로 원안 통과되지 않은 안건은 전체의 0.6%에 불과해 사외이사의 권한 행사도 제한적인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KBS 뉴스 송형국입니다.
대기업 총수 일가가 주요 계열사들에 경영권을 행사하면서도 이사로 등재하는 비율은 갈수록 줄고 있습니다.
총수 일가의 책임경영이 후퇴하고 있다는 지적입니다.
송형국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올해 21개 대기업집단 계열사 가운데 총수 일가가 이사로 등재된 회사 비율은 17.8%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지난해 40개 대기업집단 대상으로 조사한 21.7%에 비해 3.9%포인트 줄어든 수치입니다.
지난 2012년 27.2%였던 것이 해마다 꾸준히 감소하고 있습니다.
총수 일가가 사실상 계열사에 경영권을 행사하면서도, 법적인 책임을 묻기 어렵기 때문에 책임 경영 측면에서 갈수록 미흡해지고 있다는 지적입니다.
<인터뷰> 김정기(공정거래위원회 기업집단과장) : "회사에 대한 손해배상 책임, 제3자에 대한 손해배상 책임, 이런 부분들이 등기이사에 대해서 발생하는 것으로 돼 있습니다."
현대중공업과 미래에셋은 총수 일가가 이사로 등재된 계열사가 단 한 곳도 없었고 삼성 1.7%, 한화 1.8%, 신세계 3.1%로 낮은 비율을 보였습니다.
특히 지난 2013년 8월부터 등기 임원 보수 공개가 의무화된 이후 등기 임원을 내려놓는 총수 일가가 늘고 있다는 분석입니다.
또 대기업 계열 상장사의 사외이사 비중은 50%로, 지난해와 비슷한 수준에 그쳤습니다.
이들 회사의 최근 1년간 이사회 안건 가운데 사외이사 반대 등으로 원안 통과되지 않은 안건은 전체의 0.6%에 불과해 사외이사의 권한 행사도 제한적인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KBS 뉴스 송형국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총수일가 이사 등재 해마다 ↓…‘책임경영’ 후퇴
-
- 입력 2016-12-23 06:46:41
- 수정2016-12-23 07:11:08
<앵커 멘트>
대기업 총수 일가가 주요 계열사들에 경영권을 행사하면서도 이사로 등재하는 비율은 갈수록 줄고 있습니다.
총수 일가의 책임경영이 후퇴하고 있다는 지적입니다.
송형국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올해 21개 대기업집단 계열사 가운데 총수 일가가 이사로 등재된 회사 비율은 17.8%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지난해 40개 대기업집단 대상으로 조사한 21.7%에 비해 3.9%포인트 줄어든 수치입니다.
지난 2012년 27.2%였던 것이 해마다 꾸준히 감소하고 있습니다.
총수 일가가 사실상 계열사에 경영권을 행사하면서도, 법적인 책임을 묻기 어렵기 때문에 책임 경영 측면에서 갈수록 미흡해지고 있다는 지적입니다.
<인터뷰> 김정기(공정거래위원회 기업집단과장) : "회사에 대한 손해배상 책임, 제3자에 대한 손해배상 책임, 이런 부분들이 등기이사에 대해서 발생하는 것으로 돼 있습니다."
현대중공업과 미래에셋은 총수 일가가 이사로 등재된 계열사가 단 한 곳도 없었고 삼성 1.7%, 한화 1.8%, 신세계 3.1%로 낮은 비율을 보였습니다.
특히 지난 2013년 8월부터 등기 임원 보수 공개가 의무화된 이후 등기 임원을 내려놓는 총수 일가가 늘고 있다는 분석입니다.
또 대기업 계열 상장사의 사외이사 비중은 50%로, 지난해와 비슷한 수준에 그쳤습니다.
이들 회사의 최근 1년간 이사회 안건 가운데 사외이사 반대 등으로 원안 통과되지 않은 안건은 전체의 0.6%에 불과해 사외이사의 권한 행사도 제한적인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KBS 뉴스 송형국입니다.
대기업 총수 일가가 주요 계열사들에 경영권을 행사하면서도 이사로 등재하는 비율은 갈수록 줄고 있습니다.
총수 일가의 책임경영이 후퇴하고 있다는 지적입니다.
송형국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올해 21개 대기업집단 계열사 가운데 총수 일가가 이사로 등재된 회사 비율은 17.8%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지난해 40개 대기업집단 대상으로 조사한 21.7%에 비해 3.9%포인트 줄어든 수치입니다.
지난 2012년 27.2%였던 것이 해마다 꾸준히 감소하고 있습니다.
총수 일가가 사실상 계열사에 경영권을 행사하면서도, 법적인 책임을 묻기 어렵기 때문에 책임 경영 측면에서 갈수록 미흡해지고 있다는 지적입니다.
<인터뷰> 김정기(공정거래위원회 기업집단과장) : "회사에 대한 손해배상 책임, 제3자에 대한 손해배상 책임, 이런 부분들이 등기이사에 대해서 발생하는 것으로 돼 있습니다."
현대중공업과 미래에셋은 총수 일가가 이사로 등재된 계열사가 단 한 곳도 없었고 삼성 1.7%, 한화 1.8%, 신세계 3.1%로 낮은 비율을 보였습니다.
특히 지난 2013년 8월부터 등기 임원 보수 공개가 의무화된 이후 등기 임원을 내려놓는 총수 일가가 늘고 있다는 분석입니다.
또 대기업 계열 상장사의 사외이사 비중은 50%로, 지난해와 비슷한 수준에 그쳤습니다.
이들 회사의 최근 1년간 이사회 안건 가운데 사외이사 반대 등으로 원안 통과되지 않은 안건은 전체의 0.6%에 불과해 사외이사의 권한 행사도 제한적인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KBS 뉴스 송형국입니다.
-
-
송형국 기자 spianato@kbs.co.kr
송형국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