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년째 표류’ 제3연륙교 돌파구 찾나?

입력 2016.12.23 (07:37) 수정 2016.12.23 (07:5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10년째 표류 중인 제3연륙교 건설을 두고 인천시와 국토부가 이달말 다시 협상에 들어갑니다.

하지만 행정주체간 입장 차이가 좁혀질지 불투명한 가운데, 주민들의 시름은 깊어지고 있습니다.

보도에 유지향 기자입니다.

<리포트>

서울에 직장이 있는 김요한씨는 영종도에 무료 다리가 놓인다는 발표를 믿고 2013년 이사를 왔습니다.

하지만 아직도 착공조차 안 돼 회사차로 출퇴근하는 김씨는 유료 다리 통행료로 매달 30만 원 이상을 냅니다.

<인터뷰> 김요한(인천 영종도 주민) : "(아파트) 분양대금에 다리 건설비(5천억원)까지 포함돼있어요. 주민 돈을 모아 짓겠다는데 왜 그걸 못짓게 정부가 막습니까?"

영종도와 내륙을 잇는 연륙교는 영종대교와 인천대교 2개는 모두 유료, 무료 다리인 제3연륙교 건설이 추진된지 10년째지만 답보상태입니다.

이유는 정부가 영종, 인천대교 민자사업자와 계약할 당시 주변에 교통시설을 새로 지어 손실이 나면 최장 2039년까지 보상해준다고 약속한 조항 때문입니다.

그 손실보전금이 1조원 이상으로 추산돼 국토부는 제3연륙교 건설에 반대하고 있습니다.

<인터뷰> 국토부 관계자(음성변조) : "어차피 인천시 사업이기 때문에 (짓는다면) 국가에서 그 부분을 분담한다든지 이런 것은 아닌 걸로 알고 있습니다."

인천시가 대안 마련을 위해 발주한 기본설계 용역 결과가 내년 4월 나오는 가운데 이달 말부터 협상이 다시 시작됩니다.

제3연륙교를 유료 도로화하는 방안 등 여러 대책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인터뷰> 인천시 관계자(음성변조) : "국토부가 아주 안 된다는 쪽은 아니니까요, 좋은 안이 있으면 가져와라 이런거니까요."

행정 주체가 서로 책임을 떠넘기는 가운데 주민들의 고통만 커지고 있습니다.

KBS 뉴스 유지향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10년째 표류’ 제3연륙교 돌파구 찾나?
    • 입력 2016-12-23 07:45:11
    • 수정2016-12-23 07:59:14
    뉴스광장(경인)
<앵커 멘트>

10년째 표류 중인 제3연륙교 건설을 두고 인천시와 국토부가 이달말 다시 협상에 들어갑니다.

하지만 행정주체간 입장 차이가 좁혀질지 불투명한 가운데, 주민들의 시름은 깊어지고 있습니다.

보도에 유지향 기자입니다.

<리포트>

서울에 직장이 있는 김요한씨는 영종도에 무료 다리가 놓인다는 발표를 믿고 2013년 이사를 왔습니다.

하지만 아직도 착공조차 안 돼 회사차로 출퇴근하는 김씨는 유료 다리 통행료로 매달 30만 원 이상을 냅니다.

<인터뷰> 김요한(인천 영종도 주민) : "(아파트) 분양대금에 다리 건설비(5천억원)까지 포함돼있어요. 주민 돈을 모아 짓겠다는데 왜 그걸 못짓게 정부가 막습니까?"

영종도와 내륙을 잇는 연륙교는 영종대교와 인천대교 2개는 모두 유료, 무료 다리인 제3연륙교 건설이 추진된지 10년째지만 답보상태입니다.

이유는 정부가 영종, 인천대교 민자사업자와 계약할 당시 주변에 교통시설을 새로 지어 손실이 나면 최장 2039년까지 보상해준다고 약속한 조항 때문입니다.

그 손실보전금이 1조원 이상으로 추산돼 국토부는 제3연륙교 건설에 반대하고 있습니다.

<인터뷰> 국토부 관계자(음성변조) : "어차피 인천시 사업이기 때문에 (짓는다면) 국가에서 그 부분을 분담한다든지 이런 것은 아닌 걸로 알고 있습니다."

인천시가 대안 마련을 위해 발주한 기본설계 용역 결과가 내년 4월 나오는 가운데 이달 말부터 협상이 다시 시작됩니다.

제3연륙교를 유료 도로화하는 방안 등 여러 대책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인터뷰> 인천시 관계자(음성변조) : "국토부가 아주 안 된다는 쪽은 아니니까요, 좋은 안이 있으면 가져와라 이런거니까요."

행정 주체가 서로 책임을 떠넘기는 가운데 주민들의 고통만 커지고 있습니다.

KBS 뉴스 유지향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