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늘협상 책임 한덕수 수석 등 사표 수리
입력 2002.07.19 (21:00)
수정 2018.08.29 (15:0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마늘 파문이 확산되고 있습니다.
오늘은 당시 협상 책임자 2명에 대한 문책성 인사가 단행됐습니다.
박영환 기자가 첫 소식으로 보도합니다.
⊙기자: 김대중 대통령이 마늘협상 당시 외교통상교섭본부장이었던 한덕수 청와대 경제수석과 농림부 차관보였던 서규룡 농림부 차관을 전격 경질했습니다.
긴급 수입제한조치 즉 세이프가드 시한 연장 불가에 합의한 사실을 국민에게 투명하게 알리지 않은 데 대해 책임을 물은 것입니다.
⊙박선숙(청와대 대변인): 정부는 투명한 행정으로 국민과 함께할 것이며 마늘 농가에 대해서는 철저한 대책을 강구해 갈 것입니다.
⊙기자: 김 대통령은 신임 차관들에게도 최근 마늘 문제는 작은 실수나 방심이 국민에게 걱정과 피해를 끼친다는 점을 보여줬다며 경각심을 줬습니다.
한덕수 전 경제수석은 협상 총책임자로서 국민에게 사실을 소상히 알리지 못한 데 대해 책임을 느끼지만 당시의 협상은 국익을 고려한 불가피한 선택이었다고 설명했습니다.
⊙한덕수(전 청와대 경제수석): 마늘 농가를 관세율을 가지고 보호하기 위해서 5억불, 그러니까 결국 30배 이상의 보복을 받는 정책은 우리 국익에 맞지 않는다...
⊙기자: 당시 보복관세 철폐와 수입제한조치 3년 유예라는 성과가 강조돼 3년 뒤 상황이 제대로 전달되지 않았을 뿐 은폐 의도는 없었다고 해명했습니다.
김 대통령의 오늘 문책인사 단행은 마늘 파문을 조기 수습하고 책임행정을 강화해 임기 말 공직 사회 분위기를 다잡겠다는 의지로 풀이됩니다.
KBS뉴스 박영환입니다.
오늘은 당시 협상 책임자 2명에 대한 문책성 인사가 단행됐습니다.
박영환 기자가 첫 소식으로 보도합니다.
⊙기자: 김대중 대통령이 마늘협상 당시 외교통상교섭본부장이었던 한덕수 청와대 경제수석과 농림부 차관보였던 서규룡 농림부 차관을 전격 경질했습니다.
긴급 수입제한조치 즉 세이프가드 시한 연장 불가에 합의한 사실을 국민에게 투명하게 알리지 않은 데 대해 책임을 물은 것입니다.
⊙박선숙(청와대 대변인): 정부는 투명한 행정으로 국민과 함께할 것이며 마늘 농가에 대해서는 철저한 대책을 강구해 갈 것입니다.
⊙기자: 김 대통령은 신임 차관들에게도 최근 마늘 문제는 작은 실수나 방심이 국민에게 걱정과 피해를 끼친다는 점을 보여줬다며 경각심을 줬습니다.
한덕수 전 경제수석은 협상 총책임자로서 국민에게 사실을 소상히 알리지 못한 데 대해 책임을 느끼지만 당시의 협상은 국익을 고려한 불가피한 선택이었다고 설명했습니다.
⊙한덕수(전 청와대 경제수석): 마늘 농가를 관세율을 가지고 보호하기 위해서 5억불, 그러니까 결국 30배 이상의 보복을 받는 정책은 우리 국익에 맞지 않는다...
⊙기자: 당시 보복관세 철폐와 수입제한조치 3년 유예라는 성과가 강조돼 3년 뒤 상황이 제대로 전달되지 않았을 뿐 은폐 의도는 없었다고 해명했습니다.
김 대통령의 오늘 문책인사 단행은 마늘 파문을 조기 수습하고 책임행정을 강화해 임기 말 공직 사회 분위기를 다잡겠다는 의지로 풀이됩니다.
KBS뉴스 박영환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마늘협상 책임 한덕수 수석 등 사표 수리
-
- 입력 2002-07-19 21:00:00
- 수정2018-08-29 15:00:00

⊙앵커: 마늘 파문이 확산되고 있습니다.
오늘은 당시 협상 책임자 2명에 대한 문책성 인사가 단행됐습니다.
박영환 기자가 첫 소식으로 보도합니다.
⊙기자: 김대중 대통령이 마늘협상 당시 외교통상교섭본부장이었던 한덕수 청와대 경제수석과 농림부 차관보였던 서규룡 농림부 차관을 전격 경질했습니다.
긴급 수입제한조치 즉 세이프가드 시한 연장 불가에 합의한 사실을 국민에게 투명하게 알리지 않은 데 대해 책임을 물은 것입니다.
⊙박선숙(청와대 대변인): 정부는 투명한 행정으로 국민과 함께할 것이며 마늘 농가에 대해서는 철저한 대책을 강구해 갈 것입니다.
⊙기자: 김 대통령은 신임 차관들에게도 최근 마늘 문제는 작은 실수나 방심이 국민에게 걱정과 피해를 끼친다는 점을 보여줬다며 경각심을 줬습니다.
한덕수 전 경제수석은 협상 총책임자로서 국민에게 사실을 소상히 알리지 못한 데 대해 책임을 느끼지만 당시의 협상은 국익을 고려한 불가피한 선택이었다고 설명했습니다.
⊙한덕수(전 청와대 경제수석): 마늘 농가를 관세율을 가지고 보호하기 위해서 5억불, 그러니까 결국 30배 이상의 보복을 받는 정책은 우리 국익에 맞지 않는다...
⊙기자: 당시 보복관세 철폐와 수입제한조치 3년 유예라는 성과가 강조돼 3년 뒤 상황이 제대로 전달되지 않았을 뿐 은폐 의도는 없었다고 해명했습니다.
김 대통령의 오늘 문책인사 단행은 마늘 파문을 조기 수습하고 책임행정을 강화해 임기 말 공직 사회 분위기를 다잡겠다는 의지로 풀이됩니다.
KBS뉴스 박영환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