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늘협상 경위공개 재협상 촉구
입력 2002.07.19 (21:00)
수정 2018.08.29 (15:0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이 문제와 관련해 오늘 국회에서는 정부를 꾸짖으며 대책을 촉구하는 여야 의원들의 목소리가 높았습니다.
의원들은 중국과의 재협상을 한목소리로 촉구했습니다.
보도에 김의철 기자입니다.
⊙기자: 오늘 열린 농림해양수산위에서 의원들은 지난 2000년 7월 한중 마늘 협상 내용을 은폐한 것은 농민들에 대한 기만 행위라고 한목소리로 질타했습니다.
⊙신경식(한나라당 의원): 수입제한 조치가 이 부속문에 들어갔고 그걸 왜 감췄나 하는 이걸 설명을 해 줘야지, 단 한마디도 없어, 거기에 대해서는.
⊙원철희(자민련 의원): 보이지 않는 부속서 써 줘 가지고 몇 년 뒤에 나오는 것으로 해서 농민의 이익을 자꾸 침범하면 그거 어떻게 하겠냐는 얘기입니다.
⊙이정일(민주당 의원): 정부 정책의 신뢰성을 땅에 떨어뜨리고 우리 농민들을 기만한 일종의 사기극이 아니냐...
⊙기자: 의원들은 따라서 농민들의 피해를 줄이기 위해 중국측과 즉각 재협상에 나서야 한다고 촉구했습니다.
⊙권기술(한나라당 의원): 공산품 수출을 위해 농산물은 아무리 희생시켜도 좋다, 이게 바닥에 깔려 있어.
이 뭡니까, 앞으로 이러면 안 돼요.
⊙김영진(민주당 의원): 마늘이 무너지면 마늘에서 그치지 않고 양파로 잡목 변경하고 양파 망하고 또 양파에서 고추로 가면 고추 망하고 이렇게 돼 있지 않습니까?
⊙기자: 의원들은 또 농업문제를 경제 논리로만 풀어서는 안 된다고 목소리를 높였습니다.
⊙김동태(농림부 장관): 농정을 책임지고 있는 농림부 장관으로서 대단히 송구스럽게 생각하고 또 안타까움을 느끼면서...
⊙기자: 국회 농림해양수산위원회는 차원에서 재협상을 촉구하는 결의문 채택을 추진하기로 했습니다.
KBS뉴스 김의철입니다.
의원들은 중국과의 재협상을 한목소리로 촉구했습니다.
보도에 김의철 기자입니다.
⊙기자: 오늘 열린 농림해양수산위에서 의원들은 지난 2000년 7월 한중 마늘 협상 내용을 은폐한 것은 농민들에 대한 기만 행위라고 한목소리로 질타했습니다.
⊙신경식(한나라당 의원): 수입제한 조치가 이 부속문에 들어갔고 그걸 왜 감췄나 하는 이걸 설명을 해 줘야지, 단 한마디도 없어, 거기에 대해서는.
⊙원철희(자민련 의원): 보이지 않는 부속서 써 줘 가지고 몇 년 뒤에 나오는 것으로 해서 농민의 이익을 자꾸 침범하면 그거 어떻게 하겠냐는 얘기입니다.
⊙이정일(민주당 의원): 정부 정책의 신뢰성을 땅에 떨어뜨리고 우리 농민들을 기만한 일종의 사기극이 아니냐...
⊙기자: 의원들은 따라서 농민들의 피해를 줄이기 위해 중국측과 즉각 재협상에 나서야 한다고 촉구했습니다.
⊙권기술(한나라당 의원): 공산품 수출을 위해 농산물은 아무리 희생시켜도 좋다, 이게 바닥에 깔려 있어.
이 뭡니까, 앞으로 이러면 안 돼요.
⊙김영진(민주당 의원): 마늘이 무너지면 마늘에서 그치지 않고 양파로 잡목 변경하고 양파 망하고 또 양파에서 고추로 가면 고추 망하고 이렇게 돼 있지 않습니까?
⊙기자: 의원들은 또 농업문제를 경제 논리로만 풀어서는 안 된다고 목소리를 높였습니다.
⊙김동태(농림부 장관): 농정을 책임지고 있는 농림부 장관으로서 대단히 송구스럽게 생각하고 또 안타까움을 느끼면서...
⊙기자: 국회 농림해양수산위원회는 차원에서 재협상을 촉구하는 결의문 채택을 추진하기로 했습니다.
KBS뉴스 김의철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마늘협상 경위공개 재협상 촉구
-
- 입력 2002-07-19 21:00:00
- 수정2018-08-29 15:00:00

⊙앵커: 이 문제와 관련해 오늘 국회에서는 정부를 꾸짖으며 대책을 촉구하는 여야 의원들의 목소리가 높았습니다.
의원들은 중국과의 재협상을 한목소리로 촉구했습니다.
보도에 김의철 기자입니다.
⊙기자: 오늘 열린 농림해양수산위에서 의원들은 지난 2000년 7월 한중 마늘 협상 내용을 은폐한 것은 농민들에 대한 기만 행위라고 한목소리로 질타했습니다.
⊙신경식(한나라당 의원): 수입제한 조치가 이 부속문에 들어갔고 그걸 왜 감췄나 하는 이걸 설명을 해 줘야지, 단 한마디도 없어, 거기에 대해서는.
⊙원철희(자민련 의원): 보이지 않는 부속서 써 줘 가지고 몇 년 뒤에 나오는 것으로 해서 농민의 이익을 자꾸 침범하면 그거 어떻게 하겠냐는 얘기입니다.
⊙이정일(민주당 의원): 정부 정책의 신뢰성을 땅에 떨어뜨리고 우리 농민들을 기만한 일종의 사기극이 아니냐...
⊙기자: 의원들은 따라서 농민들의 피해를 줄이기 위해 중국측과 즉각 재협상에 나서야 한다고 촉구했습니다.
⊙권기술(한나라당 의원): 공산품 수출을 위해 농산물은 아무리 희생시켜도 좋다, 이게 바닥에 깔려 있어.
이 뭡니까, 앞으로 이러면 안 돼요.
⊙김영진(민주당 의원): 마늘이 무너지면 마늘에서 그치지 않고 양파로 잡목 변경하고 양파 망하고 또 양파에서 고추로 가면 고추 망하고 이렇게 돼 있지 않습니까?
⊙기자: 의원들은 또 농업문제를 경제 논리로만 풀어서는 안 된다고 목소리를 높였습니다.
⊙김동태(농림부 장관): 농정을 책임지고 있는 농림부 장관으로서 대단히 송구스럽게 생각하고 또 안타까움을 느끼면서...
⊙기자: 국회 농림해양수산위원회는 차원에서 재협상을 촉구하는 결의문 채택을 추진하기로 했습니다.
KBS뉴스 김의철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