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 파고든 AI…일자리 빼앗기나?
입력 2017.01.05 (06:23)
수정 2017.01.05 (07:0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AI와 로봇 기술이 급속이 발전하면서 머지않아 기존의 일자리 상당수가 사라질 전망입니다.
단순 노무직과 일차 산업 종사자가 주 대상입니다.
김기화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운전자가 차에서 내려 리모컨을 누르자 차가 저절로 움직이기 시작합니다.
정확한 핸들 조작을 통해 실수 없이 단 한 번 만에 주차선 안에 정확히 차를 세웁니다.
인공지능을 이용한 자동주차기능은 이미 지난해부터 상용화를 시작됐습니다.
보시는 것처럼 제가 아무런 조작을 하고 있지 않습니다.
하지만 차가 알아서 빈 공간으로 주차를 하고 있습니다.
집안에만 있던 청소로봇이 길거리까지 진출했습니다.
작업자의 지시에 따라 길바닥에 깔린 낙엽을 쓸고 구석구석을 청소합니다.
아직은 초보 단계지만 환경미화원 두세 명 몫을 거뜬히 해냅니다.
<인터뷰> 김인문(서울 영등포구 청소과장) : "한 사람이 한 곳을 청소하는데 한 시간이 걸린다면 이걸 가지고서는 청소하면 30분, 그래서 많은 구간을 청소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해서 도입하게 됐습니다."
이런 인공지능과 로봇은 속속 생산 현장에까지 투입돼 사람의 일을 대신합니다.
고용정보원은 앞으로 8년 뒤, 기술적으로는 청소원과 주방보조원의 업무 전체를 인공지능이나 로봇으로 대체할 수 있고 주차 관리원과 주유원 등의 대체비율도 90%를 넘을 것으로 예측했습니다.
국내 근로자의 60%가 넘는 천6백만 명이 일자리를 잃을 수도 있다는 얘기입니다.
단순 노무직과 일차 산업 종사자가 주 대상이지만 의사 등 전문직들도 일자리 습격을 벗어날 수 없다는 게 전문가들의 전망입니다.
KBS 뉴스 김기화입니다.
AI와 로봇 기술이 급속이 발전하면서 머지않아 기존의 일자리 상당수가 사라질 전망입니다.
단순 노무직과 일차 산업 종사자가 주 대상입니다.
김기화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운전자가 차에서 내려 리모컨을 누르자 차가 저절로 움직이기 시작합니다.
정확한 핸들 조작을 통해 실수 없이 단 한 번 만에 주차선 안에 정확히 차를 세웁니다.
인공지능을 이용한 자동주차기능은 이미 지난해부터 상용화를 시작됐습니다.
하지만 차가 알아서 빈 공간으로 주차를 하고 있습니다.
집안에만 있던 청소로봇이 길거리까지 진출했습니다.
작업자의 지시에 따라 길바닥에 깔린 낙엽을 쓸고 구석구석을 청소합니다.
아직은 초보 단계지만 환경미화원 두세 명 몫을 거뜬히 해냅니다.
<인터뷰> 김인문(서울 영등포구 청소과장) : "한 사람이 한 곳을 청소하는데 한 시간이 걸린다면 이걸 가지고서는 청소하면 30분, 그래서 많은 구간을 청소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해서 도입하게 됐습니다."
이런 인공지능과 로봇은 속속 생산 현장에까지 투입돼 사람의 일을 대신합니다.
고용정보원은 앞으로 8년 뒤, 기술적으로는 청소원과 주방보조원의 업무 전체를 인공지능이나 로봇으로 대체할 수 있고 주차 관리원과 주유원 등의 대체비율도 90%를 넘을 것으로 예측했습니다.
국내 근로자의 60%가 넘는 천6백만 명이 일자리를 잃을 수도 있다는 얘기입니다.
단순 노무직과 일차 산업 종사자가 주 대상이지만 의사 등 전문직들도 일자리 습격을 벗어날 수 없다는 게 전문가들의 전망입니다.
KBS 뉴스 김기화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일상 파고든 AI…일자리 빼앗기나?
-
- 입력 2017-01-05 06:24:12
- 수정2017-01-05 07:06:27

<앵커 멘트>
AI와 로봇 기술이 급속이 발전하면서 머지않아 기존의 일자리 상당수가 사라질 전망입니다.
단순 노무직과 일차 산업 종사자가 주 대상입니다.
김기화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운전자가 차에서 내려 리모컨을 누르자 차가 저절로 움직이기 시작합니다.
정확한 핸들 조작을 통해 실수 없이 단 한 번 만에 주차선 안에 정확히 차를 세웁니다.
인공지능을 이용한 자동주차기능은 이미 지난해부터 상용화를 시작됐습니다.
보시는 것처럼 제가 아무런 조작을 하고 있지 않습니다.
하지만 차가 알아서 빈 공간으로 주차를 하고 있습니다.
집안에만 있던 청소로봇이 길거리까지 진출했습니다.
작업자의 지시에 따라 길바닥에 깔린 낙엽을 쓸고 구석구석을 청소합니다.
아직은 초보 단계지만 환경미화원 두세 명 몫을 거뜬히 해냅니다.
<인터뷰> 김인문(서울 영등포구 청소과장) : "한 사람이 한 곳을 청소하는데 한 시간이 걸린다면 이걸 가지고서는 청소하면 30분, 그래서 많은 구간을 청소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해서 도입하게 됐습니다."
이런 인공지능과 로봇은 속속 생산 현장에까지 투입돼 사람의 일을 대신합니다.
고용정보원은 앞으로 8년 뒤, 기술적으로는 청소원과 주방보조원의 업무 전체를 인공지능이나 로봇으로 대체할 수 있고 주차 관리원과 주유원 등의 대체비율도 90%를 넘을 것으로 예측했습니다.
국내 근로자의 60%가 넘는 천6백만 명이 일자리를 잃을 수도 있다는 얘기입니다.
단순 노무직과 일차 산업 종사자가 주 대상이지만 의사 등 전문직들도 일자리 습격을 벗어날 수 없다는 게 전문가들의 전망입니다.
KBS 뉴스 김기화입니다.
AI와 로봇 기술이 급속이 발전하면서 머지않아 기존의 일자리 상당수가 사라질 전망입니다.
단순 노무직과 일차 산업 종사자가 주 대상입니다.
김기화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운전자가 차에서 내려 리모컨을 누르자 차가 저절로 움직이기 시작합니다.
정확한 핸들 조작을 통해 실수 없이 단 한 번 만에 주차선 안에 정확히 차를 세웁니다.
인공지능을 이용한 자동주차기능은 이미 지난해부터 상용화를 시작됐습니다.
하지만 차가 알아서 빈 공간으로 주차를 하고 있습니다.
집안에만 있던 청소로봇이 길거리까지 진출했습니다.
작업자의 지시에 따라 길바닥에 깔린 낙엽을 쓸고 구석구석을 청소합니다.
아직은 초보 단계지만 환경미화원 두세 명 몫을 거뜬히 해냅니다.
<인터뷰> 김인문(서울 영등포구 청소과장) : "한 사람이 한 곳을 청소하는데 한 시간이 걸린다면 이걸 가지고서는 청소하면 30분, 그래서 많은 구간을 청소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해서 도입하게 됐습니다."
이런 인공지능과 로봇은 속속 생산 현장에까지 투입돼 사람의 일을 대신합니다.
고용정보원은 앞으로 8년 뒤, 기술적으로는 청소원과 주방보조원의 업무 전체를 인공지능이나 로봇으로 대체할 수 있고 주차 관리원과 주유원 등의 대체비율도 90%를 넘을 것으로 예측했습니다.
국내 근로자의 60%가 넘는 천6백만 명이 일자리를 잃을 수도 있다는 얘기입니다.
단순 노무직과 일차 산업 종사자가 주 대상이지만 의사 등 전문직들도 일자리 습격을 벗어날 수 없다는 게 전문가들의 전망입니다.
KBS 뉴스 김기화입니다.
-
-
김기화 기자 kimkoon@kbs.co.kr
김기화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슈
AI 확산 비상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