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무역기조 바뀌나…세계의 공장 중국은?

입력 2017.01.06 (21:18) 수정 2017.01.06 (21:53)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자 멘트>

미국에서 판매되는 드럼 세탁기입니다.

최종판매지는 미국이지만 생산자는 한국의 LG 생산 기지는 중국에 있습니다.

기술이 집약된 모터와 같은 핵심 부품은 한국에서 들여오고, 원자재는 전부 다른 신흥국에서 수입합니다.

10년 가까이 판매 1위를 놓치지 않았던 LG 드럼세탁기, 그 품질과 가격 경쟁력은 WTO, 세계무역기구가 구축한 장벽 없는 자유 무역에서, 나온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그러나, 2차 세계대전 직후 70년간 유지됐던 이 자유 무역 질서는 이제 큰 도전을 맞고 있습니다.

선두에는 "WTO 탈퇴 불사"를 외치는 미국의 트럼프 행정부가 있고, 영국 브렉시트에 이어, 독일 프랑스에서도 민족주의 열풍이 심상치 않습니다.

우리나라처럼 상대적으로 국제사회에서 발언권이 약한 소규모 개방 경제국가는 입지가 더 좁아질 수 밖에 없는데요,

벌써 다자간 무역 최대 수혜국인 중국을 겨냥한 미국의 강도 높은 압박이 시작됐습니다.

트럼프 행정부는 애플과 같은 다국적 기업 공장을 미국으로 불러들여 '세계의 공장' 지위를 무너뜨리려 하고 있습니다.

자국 이익을 침해하는 중국 제품에 최대 50% 징벌적 관세를 매기는 카드를 만지작거리는 가하면, 언제든 환율 조작국으로 지정할 수 있다고 경고하고 있습니다.

우리도 미국의 직간접적 사정권에 있기는 마찬가진데요, 대비할 시간은 많지 않습니다.

당장 환율 조작국이나 한미 FTA 재협상과 같은 불상사가 일어나지 않도록 미국과 대화와 협력을 강화해야 합니다.

트럼프 행정부 출범을 앞두고 트럼프 리스크가 현실화되고 있는 지금 국제사회와의 공조도 보다 정밀해질 필요가 있습니다.

KBS 뉴스 우한울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세계 무역기조 바뀌나…세계의 공장 중국은?
    • 입력 2017-01-06 21:21:21
    • 수정2017-01-06 21:53:37
    뉴스 9
<기자 멘트>

미국에서 판매되는 드럼 세탁기입니다.

최종판매지는 미국이지만 생산자는 한국의 LG 생산 기지는 중국에 있습니다.

기술이 집약된 모터와 같은 핵심 부품은 한국에서 들여오고, 원자재는 전부 다른 신흥국에서 수입합니다.

10년 가까이 판매 1위를 놓치지 않았던 LG 드럼세탁기, 그 품질과 가격 경쟁력은 WTO, 세계무역기구가 구축한 장벽 없는 자유 무역에서, 나온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그러나, 2차 세계대전 직후 70년간 유지됐던 이 자유 무역 질서는 이제 큰 도전을 맞고 있습니다.

선두에는 "WTO 탈퇴 불사"를 외치는 미국의 트럼프 행정부가 있고, 영국 브렉시트에 이어, 독일 프랑스에서도 민족주의 열풍이 심상치 않습니다.

우리나라처럼 상대적으로 국제사회에서 발언권이 약한 소규모 개방 경제국가는 입지가 더 좁아질 수 밖에 없는데요,

벌써 다자간 무역 최대 수혜국인 중국을 겨냥한 미국의 강도 높은 압박이 시작됐습니다.

트럼프 행정부는 애플과 같은 다국적 기업 공장을 미국으로 불러들여 '세계의 공장' 지위를 무너뜨리려 하고 있습니다.

자국 이익을 침해하는 중국 제품에 최대 50% 징벌적 관세를 매기는 카드를 만지작거리는 가하면, 언제든 환율 조작국으로 지정할 수 있다고 경고하고 있습니다.

우리도 미국의 직간접적 사정권에 있기는 마찬가진데요, 대비할 시간은 많지 않습니다.

당장 환율 조작국이나 한미 FTA 재협상과 같은 불상사가 일어나지 않도록 미국과 대화와 협력을 강화해야 합니다.

트럼프 행정부 출범을 앞두고 트럼프 리스크가 현실화되고 있는 지금 국제사회와의 공조도 보다 정밀해질 필요가 있습니다.

KBS 뉴스 우한울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