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수부, 세월호 ‘빠르면 4월 인양’…변수는?
입력 2017.01.09 (19:14)
수정 2017.01.09 (19:2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당초 지난해 였던 세월호 인양은 선체 파손과 인양 공법 변경 등으로 해를 넘겼습니다.
정부는 빠르면 오는 4월, 늦어도 6월 안에는 세월호 인양을 끝내겠다는 계획인데 선체 상태가 리프팅 공법을 견뎌낼 수 있을지가 변수입니다.
박지성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세월호 선체 바닥에는 33개의 리프팅 받침대가 설치돼 있습니다.
이 받침대에 와이어를 연결하는 작업이 현재 진행중입니다.
이후 바지선으로 세월호를 끌어올리고, 플로팅 도크 대신 반잠수식 선박에 실어 목포 신항으로 옮기게 됩니다.
해양수산부는 작업이 순조롭게 진행되면 오는 4월, 늦어도 6월까지는 인양을 마무리 할 예정입니다.
<인터뷰> 장옌(상하이 샐비지 기술부사장) : "반 잠수식 바지선으로 인양을 하게 되면 열흘만 날씨가 좋으면 됩니다."
기상이 가장 큰 변수지만, 천일째 바다에 잠겨 있는 세월호가 이를 견뎌낼 수 있을지도 변수입니다.
이미 기름탱크에서 균열이 확인됐고, 또 인양을 위해 배에다 140여 개의 구멍까지 뚫어 놓아, 선체 강도가 많이 약해졌기 때문입니다.
<인터뷰> 박흥석(세월호 특별조사위원회 조사관) : " 배 상태의 완전성이라든가 또 인양할 때 안전성 이런 부분에 대해서 누가 명확하게 답을 할 수 있을까 그건 해수부가 더 강한 책임감을 가지고..."
실제 인양업체 작업일지에서 지난 8월에도 갑판 보강작업을 한 것으로 확인돼 선체 강도에 대한 면밀한 분석이 뒤따라야 한다는 의견이 많습니다.
또 인양이 끝난 뒤 해수부는 선체 객실을 분리해 내부 수습을 한다는 방침이지만 유가족들은 세월호를 훼손해서는 안된다며 반발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박지성입니다.
당초 지난해 였던 세월호 인양은 선체 파손과 인양 공법 변경 등으로 해를 넘겼습니다.
정부는 빠르면 오는 4월, 늦어도 6월 안에는 세월호 인양을 끝내겠다는 계획인데 선체 상태가 리프팅 공법을 견뎌낼 수 있을지가 변수입니다.
박지성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세월호 선체 바닥에는 33개의 리프팅 받침대가 설치돼 있습니다.
이 받침대에 와이어를 연결하는 작업이 현재 진행중입니다.
이후 바지선으로 세월호를 끌어올리고, 플로팅 도크 대신 반잠수식 선박에 실어 목포 신항으로 옮기게 됩니다.
해양수산부는 작업이 순조롭게 진행되면 오는 4월, 늦어도 6월까지는 인양을 마무리 할 예정입니다.
<인터뷰> 장옌(상하이 샐비지 기술부사장) : "반 잠수식 바지선으로 인양을 하게 되면 열흘만 날씨가 좋으면 됩니다."
기상이 가장 큰 변수지만, 천일째 바다에 잠겨 있는 세월호가 이를 견뎌낼 수 있을지도 변수입니다.
이미 기름탱크에서 균열이 확인됐고, 또 인양을 위해 배에다 140여 개의 구멍까지 뚫어 놓아, 선체 강도가 많이 약해졌기 때문입니다.
<인터뷰> 박흥석(세월호 특별조사위원회 조사관) : " 배 상태의 완전성이라든가 또 인양할 때 안전성 이런 부분에 대해서 누가 명확하게 답을 할 수 있을까 그건 해수부가 더 강한 책임감을 가지고..."
실제 인양업체 작업일지에서 지난 8월에도 갑판 보강작업을 한 것으로 확인돼 선체 강도에 대한 면밀한 분석이 뒤따라야 한다는 의견이 많습니다.
또 인양이 끝난 뒤 해수부는 선체 객실을 분리해 내부 수습을 한다는 방침이지만 유가족들은 세월호를 훼손해서는 안된다며 반발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박지성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해수부, 세월호 ‘빠르면 4월 인양’…변수는?
-
- 입력 2017-01-09 19:16:38
- 수정2017-01-09 19:20:29

<앵커 멘트>
당초 지난해 였던 세월호 인양은 선체 파손과 인양 공법 변경 등으로 해를 넘겼습니다.
정부는 빠르면 오는 4월, 늦어도 6월 안에는 세월호 인양을 끝내겠다는 계획인데 선체 상태가 리프팅 공법을 견뎌낼 수 있을지가 변수입니다.
박지성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세월호 선체 바닥에는 33개의 리프팅 받침대가 설치돼 있습니다.
이 받침대에 와이어를 연결하는 작업이 현재 진행중입니다.
이후 바지선으로 세월호를 끌어올리고, 플로팅 도크 대신 반잠수식 선박에 실어 목포 신항으로 옮기게 됩니다.
해양수산부는 작업이 순조롭게 진행되면 오는 4월, 늦어도 6월까지는 인양을 마무리 할 예정입니다.
<인터뷰> 장옌(상하이 샐비지 기술부사장) : "반 잠수식 바지선으로 인양을 하게 되면 열흘만 날씨가 좋으면 됩니다."
기상이 가장 큰 변수지만, 천일째 바다에 잠겨 있는 세월호가 이를 견뎌낼 수 있을지도 변수입니다.
이미 기름탱크에서 균열이 확인됐고, 또 인양을 위해 배에다 140여 개의 구멍까지 뚫어 놓아, 선체 강도가 많이 약해졌기 때문입니다.
<인터뷰> 박흥석(세월호 특별조사위원회 조사관) : " 배 상태의 완전성이라든가 또 인양할 때 안전성 이런 부분에 대해서 누가 명확하게 답을 할 수 있을까 그건 해수부가 더 강한 책임감을 가지고..."
실제 인양업체 작업일지에서 지난 8월에도 갑판 보강작업을 한 것으로 확인돼 선체 강도에 대한 면밀한 분석이 뒤따라야 한다는 의견이 많습니다.
또 인양이 끝난 뒤 해수부는 선체 객실을 분리해 내부 수습을 한다는 방침이지만 유가족들은 세월호를 훼손해서는 안된다며 반발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박지성입니다.
당초 지난해 였던 세월호 인양은 선체 파손과 인양 공법 변경 등으로 해를 넘겼습니다.
정부는 빠르면 오는 4월, 늦어도 6월 안에는 세월호 인양을 끝내겠다는 계획인데 선체 상태가 리프팅 공법을 견뎌낼 수 있을지가 변수입니다.
박지성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세월호 선체 바닥에는 33개의 리프팅 받침대가 설치돼 있습니다.
이 받침대에 와이어를 연결하는 작업이 현재 진행중입니다.
이후 바지선으로 세월호를 끌어올리고, 플로팅 도크 대신 반잠수식 선박에 실어 목포 신항으로 옮기게 됩니다.
해양수산부는 작업이 순조롭게 진행되면 오는 4월, 늦어도 6월까지는 인양을 마무리 할 예정입니다.
<인터뷰> 장옌(상하이 샐비지 기술부사장) : "반 잠수식 바지선으로 인양을 하게 되면 열흘만 날씨가 좋으면 됩니다."
기상이 가장 큰 변수지만, 천일째 바다에 잠겨 있는 세월호가 이를 견뎌낼 수 있을지도 변수입니다.
이미 기름탱크에서 균열이 확인됐고, 또 인양을 위해 배에다 140여 개의 구멍까지 뚫어 놓아, 선체 강도가 많이 약해졌기 때문입니다.
<인터뷰> 박흥석(세월호 특별조사위원회 조사관) : " 배 상태의 완전성이라든가 또 인양할 때 안전성 이런 부분에 대해서 누가 명확하게 답을 할 수 있을까 그건 해수부가 더 강한 책임감을 가지고..."
실제 인양업체 작업일지에서 지난 8월에도 갑판 보강작업을 한 것으로 확인돼 선체 강도에 대한 면밀한 분석이 뒤따라야 한다는 의견이 많습니다.
또 인양이 끝난 뒤 해수부는 선체 객실을 분리해 내부 수습을 한다는 방침이지만 유가족들은 세월호를 훼손해서는 안된다며 반발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박지성입니다.
-
-
박지성 기자 jsp@kbs.co.kr
박지성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