잦아진 北 난수방송…유튜브도 활용
입력 2017.01.14 (06:35)
수정 2017.01.14 (07:3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북한이 남파공작원 지령용으로 추정되는 난수방송을 새해 들어 2번째로 내보냈습니다.
그런데 지난해 2주 간격으로 보냈던 난수방송이 올해 들어 닷새만에 재개되는 등 방송 횟수가 잦아지고 내용도 달라졌는데요.
허효진 기자가 난수방송이 빈번해진 이유와 그 파장을 분석했습니다.
<리포트>
지난 해 6월 16년만에 재개된 북한의 난수방송.
(타가)재개 후 넉 달 가까이 2주 간격으로 방송됐지만 최순실 사태가 발생한 지난 해 10월을 기점으로 방송 간격이 1주일로 짧아지더니 새해 들어 닷새로 또 줄었습니다.
<녹취> 북한 난수 방송(어제) : "지금부터 27호 탐사대원들을 위한 원격 교육대학 화학복습 과제를 알려드리겠습니다."
전직 남파공작원은 남파 공작조의 '호출부호'로 추정되는 단어도 발견됐다고 말합니다.
<녹취> 이○○(전직 남파 공작원/음성변조) : "실전에 가깝게 간다. 이게 또 어떤 의미에서는 실전일 수도 있다는 가능성이 상당히 높아진다고 볼 수 있는 거죠."
자신의 경험으로 볼 때 CCTV가 있는 PC방이나 인터넷 등은 추적당할 수 있어 공작원들은 난수방송을 여전히 선호한다고 말합니다.
<녹취> 이○○(전직 남파 공작원/음성변조) : "연락이라고 하는 건 똑같은 방식으로 하면 이쪽에서도 알기 때문에 자기들도 아마 여러가지 변형된 방법을 써보려고 할 겁니다."
특히 난수방송은 남한 공작 경험이 많은 윤동철이 통전부 산하 문화교류국장이 된 이후 되살린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더구나 최근에는 난수방송 파일이 유투브에까지 올라오기 시작했습니다.
<녹취> 북한 난수 방송(지난 7일) : "913페이지 87번, 759페이지 67번..."
남파 공작원들은 잘못들은 지령을 유투브에서 곧바로 재확인하는 게 가능해졌습니다.
또 북한은 난수방송을 수신이 어려운 단파가 아닌 FM으로도 내보내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같은 변화는 북한의 대남공작이 남한의 정국 혼란과 맞물려 새해들어 더 대담하고 공격적으로 변했다는 의미로 분석됩니다.
<인터뷰> 남주홍(경기대 교수/전 국정원 1차장) : "공작의 여건이 좋아졌다는 뜻이고 공작 수요가 많아졌다는 뜻입니다. 탄핵정국에 대한 남한 내 사회 혼란을 활용해서 악용하려는 기만 전술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천안함 폭침과 연평도 포격 도발 등의 주범인 김영철 등 강경파가 대남 공작을 주도하면서 북한의 침투와 공작에 대한 대응책이 절실한 상황입니다.
KBS 뉴스 허효진입니다.
북한이 남파공작원 지령용으로 추정되는 난수방송을 새해 들어 2번째로 내보냈습니다.
그런데 지난해 2주 간격으로 보냈던 난수방송이 올해 들어 닷새만에 재개되는 등 방송 횟수가 잦아지고 내용도 달라졌는데요.
허효진 기자가 난수방송이 빈번해진 이유와 그 파장을 분석했습니다.
<리포트>
지난 해 6월 16년만에 재개된 북한의 난수방송.
(타가)재개 후 넉 달 가까이 2주 간격으로 방송됐지만 최순실 사태가 발생한 지난 해 10월을 기점으로 방송 간격이 1주일로 짧아지더니 새해 들어 닷새로 또 줄었습니다.
<녹취> 북한 난수 방송(어제) : "지금부터 27호 탐사대원들을 위한 원격 교육대학 화학복습 과제를 알려드리겠습니다."
전직 남파공작원은 남파 공작조의 '호출부호'로 추정되는 단어도 발견됐다고 말합니다.
<녹취> 이○○(전직 남파 공작원/음성변조) : "실전에 가깝게 간다. 이게 또 어떤 의미에서는 실전일 수도 있다는 가능성이 상당히 높아진다고 볼 수 있는 거죠."
자신의 경험으로 볼 때 CCTV가 있는 PC방이나 인터넷 등은 추적당할 수 있어 공작원들은 난수방송을 여전히 선호한다고 말합니다.
<녹취> 이○○(전직 남파 공작원/음성변조) : "연락이라고 하는 건 똑같은 방식으로 하면 이쪽에서도 알기 때문에 자기들도 아마 여러가지 변형된 방법을 써보려고 할 겁니다."
특히 난수방송은 남한 공작 경험이 많은 윤동철이 통전부 산하 문화교류국장이 된 이후 되살린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더구나 최근에는 난수방송 파일이 유투브에까지 올라오기 시작했습니다.
<녹취> 북한 난수 방송(지난 7일) : "913페이지 87번, 759페이지 67번..."
남파 공작원들은 잘못들은 지령을 유투브에서 곧바로 재확인하는 게 가능해졌습니다.
또 북한은 난수방송을 수신이 어려운 단파가 아닌 FM으로도 내보내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같은 변화는 북한의 대남공작이 남한의 정국 혼란과 맞물려 새해들어 더 대담하고 공격적으로 변했다는 의미로 분석됩니다.
<인터뷰> 남주홍(경기대 교수/전 국정원 1차장) : "공작의 여건이 좋아졌다는 뜻이고 공작 수요가 많아졌다는 뜻입니다. 탄핵정국에 대한 남한 내 사회 혼란을 활용해서 악용하려는 기만 전술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천안함 폭침과 연평도 포격 도발 등의 주범인 김영철 등 강경파가 대남 공작을 주도하면서 북한의 침투와 공작에 대한 대응책이 절실한 상황입니다.
KBS 뉴스 허효진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잦아진 北 난수방송…유튜브도 활용
-
- 입력 2017-01-14 06:38:23
- 수정2017-01-14 07:30:26

<앵커 멘트>
북한이 남파공작원 지령용으로 추정되는 난수방송을 새해 들어 2번째로 내보냈습니다.
그런데 지난해 2주 간격으로 보냈던 난수방송이 올해 들어 닷새만에 재개되는 등 방송 횟수가 잦아지고 내용도 달라졌는데요.
허효진 기자가 난수방송이 빈번해진 이유와 그 파장을 분석했습니다.
<리포트>
지난 해 6월 16년만에 재개된 북한의 난수방송.
(타가)재개 후 넉 달 가까이 2주 간격으로 방송됐지만 최순실 사태가 발생한 지난 해 10월을 기점으로 방송 간격이 1주일로 짧아지더니 새해 들어 닷새로 또 줄었습니다.
<녹취> 북한 난수 방송(어제) : "지금부터 27호 탐사대원들을 위한 원격 교육대학 화학복습 과제를 알려드리겠습니다."
전직 남파공작원은 남파 공작조의 '호출부호'로 추정되는 단어도 발견됐다고 말합니다.
<녹취> 이○○(전직 남파 공작원/음성변조) : "실전에 가깝게 간다. 이게 또 어떤 의미에서는 실전일 수도 있다는 가능성이 상당히 높아진다고 볼 수 있는 거죠."
자신의 경험으로 볼 때 CCTV가 있는 PC방이나 인터넷 등은 추적당할 수 있어 공작원들은 난수방송을 여전히 선호한다고 말합니다.
<녹취> 이○○(전직 남파 공작원/음성변조) : "연락이라고 하는 건 똑같은 방식으로 하면 이쪽에서도 알기 때문에 자기들도 아마 여러가지 변형된 방법을 써보려고 할 겁니다."
특히 난수방송은 남한 공작 경험이 많은 윤동철이 통전부 산하 문화교류국장이 된 이후 되살린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더구나 최근에는 난수방송 파일이 유투브에까지 올라오기 시작했습니다.
<녹취> 북한 난수 방송(지난 7일) : "913페이지 87번, 759페이지 67번..."
남파 공작원들은 잘못들은 지령을 유투브에서 곧바로 재확인하는 게 가능해졌습니다.
또 북한은 난수방송을 수신이 어려운 단파가 아닌 FM으로도 내보내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같은 변화는 북한의 대남공작이 남한의 정국 혼란과 맞물려 새해들어 더 대담하고 공격적으로 변했다는 의미로 분석됩니다.
<인터뷰> 남주홍(경기대 교수/전 국정원 1차장) : "공작의 여건이 좋아졌다는 뜻이고 공작 수요가 많아졌다는 뜻입니다. 탄핵정국에 대한 남한 내 사회 혼란을 활용해서 악용하려는 기만 전술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천안함 폭침과 연평도 포격 도발 등의 주범인 김영철 등 강경파가 대남 공작을 주도하면서 북한의 침투와 공작에 대한 대응책이 절실한 상황입니다.
KBS 뉴스 허효진입니다.
북한이 남파공작원 지령용으로 추정되는 난수방송을 새해 들어 2번째로 내보냈습니다.
그런데 지난해 2주 간격으로 보냈던 난수방송이 올해 들어 닷새만에 재개되는 등 방송 횟수가 잦아지고 내용도 달라졌는데요.
허효진 기자가 난수방송이 빈번해진 이유와 그 파장을 분석했습니다.
<리포트>
지난 해 6월 16년만에 재개된 북한의 난수방송.
(타가)재개 후 넉 달 가까이 2주 간격으로 방송됐지만 최순실 사태가 발생한 지난 해 10월을 기점으로 방송 간격이 1주일로 짧아지더니 새해 들어 닷새로 또 줄었습니다.
<녹취> 북한 난수 방송(어제) : "지금부터 27호 탐사대원들을 위한 원격 교육대학 화학복습 과제를 알려드리겠습니다."
전직 남파공작원은 남파 공작조의 '호출부호'로 추정되는 단어도 발견됐다고 말합니다.
<녹취> 이○○(전직 남파 공작원/음성변조) : "실전에 가깝게 간다. 이게 또 어떤 의미에서는 실전일 수도 있다는 가능성이 상당히 높아진다고 볼 수 있는 거죠."
자신의 경험으로 볼 때 CCTV가 있는 PC방이나 인터넷 등은 추적당할 수 있어 공작원들은 난수방송을 여전히 선호한다고 말합니다.
<녹취> 이○○(전직 남파 공작원/음성변조) : "연락이라고 하는 건 똑같은 방식으로 하면 이쪽에서도 알기 때문에 자기들도 아마 여러가지 변형된 방법을 써보려고 할 겁니다."
특히 난수방송은 남한 공작 경험이 많은 윤동철이 통전부 산하 문화교류국장이 된 이후 되살린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더구나 최근에는 난수방송 파일이 유투브에까지 올라오기 시작했습니다.
<녹취> 북한 난수 방송(지난 7일) : "913페이지 87번, 759페이지 67번..."
남파 공작원들은 잘못들은 지령을 유투브에서 곧바로 재확인하는 게 가능해졌습니다.
또 북한은 난수방송을 수신이 어려운 단파가 아닌 FM으로도 내보내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같은 변화는 북한의 대남공작이 남한의 정국 혼란과 맞물려 새해들어 더 대담하고 공격적으로 변했다는 의미로 분석됩니다.
<인터뷰> 남주홍(경기대 교수/전 국정원 1차장) : "공작의 여건이 좋아졌다는 뜻이고 공작 수요가 많아졌다는 뜻입니다. 탄핵정국에 대한 남한 내 사회 혼란을 활용해서 악용하려는 기만 전술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천안함 폭침과 연평도 포격 도발 등의 주범인 김영철 등 강경파가 대남 공작을 주도하면서 북한의 침투와 공작에 대한 대응책이 절실한 상황입니다.
KBS 뉴스 허효진입니다.
-
-
허효진 기자 her@kbs.co.kr
허효진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