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ICBM·장거리 로켓 발사 위협

입력 2017.01.16 (08:11) 수정 2017.01.16 (09:0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자 멘트>

북한이 관영매체를 통해 우주개발을 위한 장거리 로켓을 발사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지난 번 신년사에서는 대륙간탄도미사일 시험발사를 협박한 적도 있는데요.

트럼프 행정부 출범을 며칠 앞두고 북한이 이러는 속내와 의도를 짚어봤습니다.

이효용 기자입니다.

<리포트>

<녹취> 조선중앙TV : "(로동신문은) '우주정복에로 가는 조선의 길을 가로막을 수 없다' 이런 제목의 글을 편집했습니다."

북한은 노동신문을 통해 "평화적 위성발사가 중단없이 계속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평화적 위성발사라고 애써 강조하지만 대륙간 탄도미사일, ICBM 완성을 위한 기만전술입니다.

리영호 전 북한군 총참모장의 지난 2012년 내부 강연은 이를 극명하게 드러냅니다.

<녹취> 리영호(전 북한군 총참모장/2012년 고위 간부 대상 내부 강연) : "인공위성 쏘아 올린다는 게 로켓 무기나 같애. 그 로켓에다가 핵무기 설치하면 미국 본토까지 쏘지. 그러니 우리는 뱃심이 든든하다."

이 때문에 북한의 미사일 뿐 아니라 로켓발사 역시 유엔안보리 결의 위반입니다.

하지만 북한이 로켓 카드를 또 꺼내든 것은 국제사회 여론 분열을 유도하는 한편 미국을 향해 위협을 해소하고 싶으면 빨리 협상에 나서라는 압박용이라는 분석입니다.

<인터뷰> 남성욱(고려대 통일외교학부 교수) : "북한은 트럼프 행정부 출범을 앞두고 ICBM카드와 로켓 카드를 번갈아 흔들면서 결국은 대화와 협상을 유도하는 데 주력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됩니다."

또 강력한 대북제재로 체제에 가해지는 고통이 점점 심해지면서 김정은이 한미의 리더십 교체기를 틈타 서둘러 제재를 돌파하기 위해 조바심을 내고 있다는 분석도 제기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이효용입니다.

<기자 멘트>

이렇게 북미간 긴장이 고조되자 우리 정부는 미국과 일본, 러시아와 중국, 유엔에 주재하는 우리나라 대사들을 불러 오늘 오후 긴급 회의를 열기로 했습니다.

최근 급변하고 있는 동북아 외교 환경을 점검하는 차원이라고 외교부는 설명했는데요.

이같은 긴급 공관장 회의는 외교 역사상 처음있는 일입니다. 시기적으로나 회의 참석자 면으로 보나 극히 이례적입니다.

외교부는 그동안 매년 3월쯤 한반도 주변 4강은 물론 전 재외 공관장들이 참석하는 공관장 회의를 정례적으로 열어왔습니다.

그런데 이와 별개로 4강 대사 등만 따로 불러 긴급 회의를 여는 것은 3월까지 기다릴 수 없을만큼 한반도 주변 상황이 긴박하다는 얘깁니다.

그렇다면 우리 외교 어떤 상황이길래 이렇게 긴박한 걸까요.

우선 오는 20일 미국 트럼프 행정부 출범이 예고돼 있습니다.

앞서 보신 리포트에서처럼 북한이 대륙간탄도 미사일과 장거리 로켓으로 미국을 위협하고 있고, 미국 역시 '당근없는 채찍'으로 강경한 입장이어서 군사적 충돌 가능성까지 높아지고 있는데요.

실제로 미국은 핵추진 항공모함 칼 빈슨함과 해상 X밴드 레이더, 차세대 전투기 F-35를 한반도 인근에 배치하는 등 대북압박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여기에 트럼트 당선인이 대선 당시 밝힌 방위비 분담금 증액과 한미 FTA 재협상 문제에 대한 대응책도 한미간 발등의 불이 됐습니다.

중국은 사드 배치에 대한 보복 문제가 심각합니다.

중국은 최근 중국 군용기들이 우리 방공식별구역을 침범하는 등 군사 외교 갈등까지 빚어지고 있는데요.

여기에 한국 연예인들의 중국 방송 출연 취소 등 한한령이 내려지고, 롯데그룹에 대한 세무조사, 전세기 한국 운항 불허 등 전 방위적으로 갈등이 확산되는 조짐입니다.

특히 지난해 국내 증시에 외국인 자금이 11조원 넘게 들어온 반면, 중국만 유독 1조 5천억원 어치를 팔아치운 자금 이탈 문제는 가뜩이나 어려운 우리 경제에 적신호가 되고 있습니다.

일본은 어떨까요. 위안부 소녀상 설치를 놓고 신경전을 벌이며 갈등의 골이 깊어지고 있습니다.

한일 정부간 합의 이후 관계가 개선되는 듯 했으나, 지난해 말 한 시민단체가 부산 일본 총영사관 앞에 위안부 소녀상을 설치하면서 한일이 사실상 충돌하는 모습인데요.

일본 정부는 주한 일본 대사와 부산 총영사 등을 일시 귀국시키고, 한일 통화 스와프 협상 협의도 중단했습니다.

또 한일 고위급 경제 협의까지 연기하며 사실상 보복조치를 취했는데요

시민단체 성금으로 설치한 소녀상인데다, 해당 지자체인 부산 동구청이 설치를 허가한 만큼 정부의 강제 철거는 사실상 어렵다보니 정부의 고심이 깊습니다.

이런 동북아 외교의 위기속에서 황교안 대통령 권한대행을 중심으로 우리 정부가 오늘 어떤 식으로 해법을 모색할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北, ICBM·장거리 로켓 발사 위협
    • 입력 2017-01-16 08:15:00
    • 수정2017-01-16 09:08:42
    아침뉴스타임
<기자 멘트>

북한이 관영매체를 통해 우주개발을 위한 장거리 로켓을 발사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지난 번 신년사에서는 대륙간탄도미사일 시험발사를 협박한 적도 있는데요.

트럼프 행정부 출범을 며칠 앞두고 북한이 이러는 속내와 의도를 짚어봤습니다.

이효용 기자입니다.

<리포트>

<녹취> 조선중앙TV : "(로동신문은) '우주정복에로 가는 조선의 길을 가로막을 수 없다' 이런 제목의 글을 편집했습니다."

북한은 노동신문을 통해 "평화적 위성발사가 중단없이 계속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평화적 위성발사라고 애써 강조하지만 대륙간 탄도미사일, ICBM 완성을 위한 기만전술입니다.

리영호 전 북한군 총참모장의 지난 2012년 내부 강연은 이를 극명하게 드러냅니다.

<녹취> 리영호(전 북한군 총참모장/2012년 고위 간부 대상 내부 강연) : "인공위성 쏘아 올린다는 게 로켓 무기나 같애. 그 로켓에다가 핵무기 설치하면 미국 본토까지 쏘지. 그러니 우리는 뱃심이 든든하다."

이 때문에 북한의 미사일 뿐 아니라 로켓발사 역시 유엔안보리 결의 위반입니다.

하지만 북한이 로켓 카드를 또 꺼내든 것은 국제사회 여론 분열을 유도하는 한편 미국을 향해 위협을 해소하고 싶으면 빨리 협상에 나서라는 압박용이라는 분석입니다.

<인터뷰> 남성욱(고려대 통일외교학부 교수) : "북한은 트럼프 행정부 출범을 앞두고 ICBM카드와 로켓 카드를 번갈아 흔들면서 결국은 대화와 협상을 유도하는 데 주력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됩니다."

또 강력한 대북제재로 체제에 가해지는 고통이 점점 심해지면서 김정은이 한미의 리더십 교체기를 틈타 서둘러 제재를 돌파하기 위해 조바심을 내고 있다는 분석도 제기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이효용입니다.

<기자 멘트>

이렇게 북미간 긴장이 고조되자 우리 정부는 미국과 일본, 러시아와 중국, 유엔에 주재하는 우리나라 대사들을 불러 오늘 오후 긴급 회의를 열기로 했습니다.

최근 급변하고 있는 동북아 외교 환경을 점검하는 차원이라고 외교부는 설명했는데요.

이같은 긴급 공관장 회의는 외교 역사상 처음있는 일입니다. 시기적으로나 회의 참석자 면으로 보나 극히 이례적입니다.

외교부는 그동안 매년 3월쯤 한반도 주변 4강은 물론 전 재외 공관장들이 참석하는 공관장 회의를 정례적으로 열어왔습니다.

그런데 이와 별개로 4강 대사 등만 따로 불러 긴급 회의를 여는 것은 3월까지 기다릴 수 없을만큼 한반도 주변 상황이 긴박하다는 얘깁니다.

그렇다면 우리 외교 어떤 상황이길래 이렇게 긴박한 걸까요.

우선 오는 20일 미국 트럼프 행정부 출범이 예고돼 있습니다.

앞서 보신 리포트에서처럼 북한이 대륙간탄도 미사일과 장거리 로켓으로 미국을 위협하고 있고, 미국 역시 '당근없는 채찍'으로 강경한 입장이어서 군사적 충돌 가능성까지 높아지고 있는데요.

실제로 미국은 핵추진 항공모함 칼 빈슨함과 해상 X밴드 레이더, 차세대 전투기 F-35를 한반도 인근에 배치하는 등 대북압박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여기에 트럼트 당선인이 대선 당시 밝힌 방위비 분담금 증액과 한미 FTA 재협상 문제에 대한 대응책도 한미간 발등의 불이 됐습니다.

중국은 사드 배치에 대한 보복 문제가 심각합니다.

중국은 최근 중국 군용기들이 우리 방공식별구역을 침범하는 등 군사 외교 갈등까지 빚어지고 있는데요.

여기에 한국 연예인들의 중국 방송 출연 취소 등 한한령이 내려지고, 롯데그룹에 대한 세무조사, 전세기 한국 운항 불허 등 전 방위적으로 갈등이 확산되는 조짐입니다.

특히 지난해 국내 증시에 외국인 자금이 11조원 넘게 들어온 반면, 중국만 유독 1조 5천억원 어치를 팔아치운 자금 이탈 문제는 가뜩이나 어려운 우리 경제에 적신호가 되고 있습니다.

일본은 어떨까요. 위안부 소녀상 설치를 놓고 신경전을 벌이며 갈등의 골이 깊어지고 있습니다.

한일 정부간 합의 이후 관계가 개선되는 듯 했으나, 지난해 말 한 시민단체가 부산 일본 총영사관 앞에 위안부 소녀상을 설치하면서 한일이 사실상 충돌하는 모습인데요.

일본 정부는 주한 일본 대사와 부산 총영사 등을 일시 귀국시키고, 한일 통화 스와프 협상 협의도 중단했습니다.

또 한일 고위급 경제 협의까지 연기하며 사실상 보복조치를 취했는데요

시민단체 성금으로 설치한 소녀상인데다, 해당 지자체인 부산 동구청이 설치를 허가한 만큼 정부의 강제 철거는 사실상 어렵다보니 정부의 고심이 깊습니다.

이런 동북아 외교의 위기속에서 황교안 대통령 권한대행을 중심으로 우리 정부가 오늘 어떤 식으로 해법을 모색할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습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