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사중 석면 ‘풀풀’…학생 수업 그대로

입력 2017.01.17 (23:26) 수정 2017.01.17 (23:53)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석면은 폐암 등을 유발하는 대표적인 1급 발암물질인데요, 일부 어린이들이 이 석면에 그대로 노출돼 있다면 어떨까요?

그것도 가장 안전해야 할 교실에서 실제로 벌어지고 있는 일입니다.

이화진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방학을 맞아 공사가 한창인 교실입니다.

바닥에 무언가가 뿌옇게 내려앉아있습니다.

1급 발암물질 '석면'가룹니다.

아래층 교실에서는 방과후 수업이 한창입니다.

<녹취> 학생(음성변조) : "천장 그거 학교 교실 있잖아요. 복도랑 천장 바꾼다고. 냄새만 좀 나요."

복도 상황은 더 심각해 석면 가루로 범벅이 된 철근이 그대로 방치돼 있습니다.

<녹취> 학교 교사(음성변조) : "걱정은 하실 필요 없으실 것 같은데요. 암튼 보셨잖아요. 막아 놓은 거."

정말 그런지 이 학교의 오염도를 검사해봤습니다.

복도와 교실 먼지 표본에서 허용치보다 3배나 많은 석면이 검출됐습니다.

학생들은 이런 학교에서 마스크도 없이 6시간 정도를 보냅니다.

<인터뷰> 박은혜(석면 전문 분석기관 연구원) : "보시다시피 이제 날카롭고 바늘처럼 보이기 때문에 폐에 들어가면 이제 계속 쌓이게 되는 겁니다."

또 다른 초등학교, 이곳은 허용치의 다섯 배나 많은 석면이 검출됐습니다.

지금 이곳은 아이들이 임시로 방과후수업을 듣고 있는 건물입니다.

석면 철거 공사 중인 본관을 가림막으로 막아놨지만 일부는 떨어져 나가 있습니다.

전문가와 현장을 둘러봤습니다.

<인터뷰> 최예용(환경보건시민센터 소장) : "이런 건 더 위험해요. 계속 문을 열고 닫으면서 부서져서 먼지가 비산되죠."

학생들이 많이 만지는 신발장에서도 석면 가루는 쉽게 발견됩니다.

<녹취> 최예용(환경보건시민센터 소장) : "이런 것들은 발견하기가 쉽지 않잖아요. 신발 넣고 하면 부서지고 하니까."

서울시 의회는 지난해 시내 학교 78%가 석면 위험에 노출돼 있다는 조사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KBS 뉴스 이화진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공사중 석면 ‘풀풀’…학생 수업 그대로
    • 입력 2017-01-17 23:33:25
    • 수정2017-01-17 23:53:10
    뉴스라인 W
<앵커 멘트>

석면은 폐암 등을 유발하는 대표적인 1급 발암물질인데요, 일부 어린이들이 이 석면에 그대로 노출돼 있다면 어떨까요?

그것도 가장 안전해야 할 교실에서 실제로 벌어지고 있는 일입니다.

이화진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방학을 맞아 공사가 한창인 교실입니다.

바닥에 무언가가 뿌옇게 내려앉아있습니다.

1급 발암물질 '석면'가룹니다.

아래층 교실에서는 방과후 수업이 한창입니다.

<녹취> 학생(음성변조) : "천장 그거 학교 교실 있잖아요. 복도랑 천장 바꾼다고. 냄새만 좀 나요."

복도 상황은 더 심각해 석면 가루로 범벅이 된 철근이 그대로 방치돼 있습니다.

<녹취> 학교 교사(음성변조) : "걱정은 하실 필요 없으실 것 같은데요. 암튼 보셨잖아요. 막아 놓은 거."

정말 그런지 이 학교의 오염도를 검사해봤습니다.

복도와 교실 먼지 표본에서 허용치보다 3배나 많은 석면이 검출됐습니다.

학생들은 이런 학교에서 마스크도 없이 6시간 정도를 보냅니다.

<인터뷰> 박은혜(석면 전문 분석기관 연구원) : "보시다시피 이제 날카롭고 바늘처럼 보이기 때문에 폐에 들어가면 이제 계속 쌓이게 되는 겁니다."

또 다른 초등학교, 이곳은 허용치의 다섯 배나 많은 석면이 검출됐습니다.

지금 이곳은 아이들이 임시로 방과후수업을 듣고 있는 건물입니다.

석면 철거 공사 중인 본관을 가림막으로 막아놨지만 일부는 떨어져 나가 있습니다.

전문가와 현장을 둘러봤습니다.

<인터뷰> 최예용(환경보건시민센터 소장) : "이런 건 더 위험해요. 계속 문을 열고 닫으면서 부서져서 먼지가 비산되죠."

학생들이 많이 만지는 신발장에서도 석면 가루는 쉽게 발견됩니다.

<녹취> 최예용(환경보건시민센터 소장) : "이런 것들은 발견하기가 쉽지 않잖아요. 신발 넣고 하면 부서지고 하니까."

서울시 의회는 지난해 시내 학교 78%가 석면 위험에 노출돼 있다는 조사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KBS 뉴스 이화진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