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류 달라진 ‘제3지대론’

입력 2017.01.19 (07:26) 수정 2017.01.19 (08:3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개헌을 고리로 반기문 전 유엔 사무총장과 김종인, 손학규 민주당 전 대표, 국민의당 등이 결합하는 '제3지대론'이 주목을 받아 왔는데요,

최근 국민의당과 김종인, 손학규 전 대표 등이 반 전 총장과 거리를 두는 발언을 잇따라 내놓으면서 제3지대론의 동력이 약해지는게 아니냐는 관측이 나오고 있습니다.

정연우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독자 행보를 이어가던 반기문 전 유엔 사무총장이 설 이후 입당 여부에 가닥이 잡힐 것이라고 밝히자, 범 여권에선 영입 각축전이 시작됐습니다.

반면, 제3지대론을 띄우면서 반 전 총장과의 연대 가능성을 시사해왔던 야권 개헌 세력의 기류는 달라졌습니다.

김종인 전 민주당 대표는 연락이 없었다면서, 반 전 총장이 "국민에게 별 매력을 못 주는 것 같다"고 박한 평가를 내놨습니다.

국민의당이 제3지대의 플랫폼이라는 주장에 힘을 싣고 있는 박지원 국민의당 대표는 반 전 총장과 연대의 문을 닫았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라며 선을 긋는 모양새입니다.

<녹취> 박지원(국민의당 대표) : "실패한 정권의 사람들이 (반 전 총장의) 주위에 함께 하고 있는 것은 굉장히 실망스러웠다."

야권에서 개헌을 고리로 한 제3지대론에 가장 적극적인 손학규 전 민주당 대표조차 더 두고 봐야 한다며 거리를 뒀습니다.

<녹취> 손학규(전 민주당 대표/그제) : "(반 전 총장이)기존 수구 세력에 얹혀서 무엇을 하겠다 그러면 우리가 결코 같이 할 수가 없겠죠."

이런 분위기 속에서 여권의 비박계와 야권의 비문계가 일제히 결합하자는 제3지대 연대론이 삐걱거리는게 아니냐는 관측이 나오고 있습니다.

KBS 뉴스 정연우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기류 달라진 ‘제3지대론’
    • 입력 2017-01-19 07:39:28
    • 수정2017-01-19 08:32:26
    뉴스광장
<앵커 멘트>

개헌을 고리로 반기문 전 유엔 사무총장과 김종인, 손학규 민주당 전 대표, 국민의당 등이 결합하는 '제3지대론'이 주목을 받아 왔는데요,

최근 국민의당과 김종인, 손학규 전 대표 등이 반 전 총장과 거리를 두는 발언을 잇따라 내놓으면서 제3지대론의 동력이 약해지는게 아니냐는 관측이 나오고 있습니다.

정연우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독자 행보를 이어가던 반기문 전 유엔 사무총장이 설 이후 입당 여부에 가닥이 잡힐 것이라고 밝히자, 범 여권에선 영입 각축전이 시작됐습니다.

반면, 제3지대론을 띄우면서 반 전 총장과의 연대 가능성을 시사해왔던 야권 개헌 세력의 기류는 달라졌습니다.

김종인 전 민주당 대표는 연락이 없었다면서, 반 전 총장이 "국민에게 별 매력을 못 주는 것 같다"고 박한 평가를 내놨습니다.

국민의당이 제3지대의 플랫폼이라는 주장에 힘을 싣고 있는 박지원 국민의당 대표는 반 전 총장과 연대의 문을 닫았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라며 선을 긋는 모양새입니다.

<녹취> 박지원(국민의당 대표) : "실패한 정권의 사람들이 (반 전 총장의) 주위에 함께 하고 있는 것은 굉장히 실망스러웠다."

야권에서 개헌을 고리로 한 제3지대론에 가장 적극적인 손학규 전 민주당 대표조차 더 두고 봐야 한다며 거리를 뒀습니다.

<녹취> 손학규(전 민주당 대표/그제) : "(반 전 총장이)기존 수구 세력에 얹혀서 무엇을 하겠다 그러면 우리가 결코 같이 할 수가 없겠죠."

이런 분위기 속에서 여권의 비박계와 야권의 비문계가 일제히 결합하자는 제3지대 연대론이 삐걱거리는게 아니냐는 관측이 나오고 있습니다.

KBS 뉴스 정연우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