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심찬 출발에도…문 닫는 청년 점포

입력 2017.01.20 (21:36) 수정 2017.01.20 (22:0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청년창업과 전통시장 활성화, 두 마리 토끼를 잡기위해 추진되고 있는 청년 점포 사업이 곳곳에서 추진됐는데 기대에 크게 못 미치고 있습니다.

보다 철저한 분석과 준비가 요구됩니다.

홍정표 기자입니다.

<리포트>

시골의 한 전통시장.

다양한 업종과 새로운 시도를 한다며 차린 청년점포에는 찾는 손님이 거의 없습니다.

<인터뷰> 손찬옥(청년 점포 운영) : "열심히들 하는데 하는 만큼의 수입이 많이 안 나니까 그것 때문에 다들 힘들어요."

도심에 자리 잡은 청년 점포도 사정은 마찬가집니다.

개점한 지 1년도 채 안 됐지만, 10곳 가운데 정상영업을 하는 곳은 4곳 뿐입니다.

자치단체의 임대로 지원이 끝나는 오는 3월 이후에는 이처럼 폐업에 들어가는 점포들이 더 늘어날 것으로 예상됩니다.

침체된 상권과 대부분 처음 사업을 해보는 점주들의 경험 부족, 그리고 현실과 동떨어진 지원 정책 등이 주요 원인으로 꼽히고 있습니다.

<인터뷰> 배성훈(청년 점포 운영) : "아무것도 모르니까 요식업이라면 진짜 잘하는 요식업 업체를 붙여줘서 그 만의 레시피를 줘서 특화하도록 도와준다든지..."

정부와 자치단체는 이런 현실보다 창업 실적에 더 치중하고 있습니다.

<인터뷰> 최효철(대전대 경제학과 교수) : "생존율을 높일 수 있도록 사후 관리를 강화하는 쪽으로 정책 초점이 옮겨져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청년 창업과 전통시장을 활성화를 동시에 이루겠다는 전통시장 청년 창업 정책에 재검토가 불가피해 보입니다.

KBS 뉴스 홍정표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야심찬 출발에도…문 닫는 청년 점포
    • 입력 2017-01-20 21:38:09
    • 수정2017-01-20 22:09:58
    뉴스 9
<앵커 멘트>

청년창업과 전통시장 활성화, 두 마리 토끼를 잡기위해 추진되고 있는 청년 점포 사업이 곳곳에서 추진됐는데 기대에 크게 못 미치고 있습니다.

보다 철저한 분석과 준비가 요구됩니다.

홍정표 기자입니다.

<리포트>

시골의 한 전통시장.

다양한 업종과 새로운 시도를 한다며 차린 청년점포에는 찾는 손님이 거의 없습니다.

<인터뷰> 손찬옥(청년 점포 운영) : "열심히들 하는데 하는 만큼의 수입이 많이 안 나니까 그것 때문에 다들 힘들어요."

도심에 자리 잡은 청년 점포도 사정은 마찬가집니다.

개점한 지 1년도 채 안 됐지만, 10곳 가운데 정상영업을 하는 곳은 4곳 뿐입니다.

자치단체의 임대로 지원이 끝나는 오는 3월 이후에는 이처럼 폐업에 들어가는 점포들이 더 늘어날 것으로 예상됩니다.

침체된 상권과 대부분 처음 사업을 해보는 점주들의 경험 부족, 그리고 현실과 동떨어진 지원 정책 등이 주요 원인으로 꼽히고 있습니다.

<인터뷰> 배성훈(청년 점포 운영) : "아무것도 모르니까 요식업이라면 진짜 잘하는 요식업 업체를 붙여줘서 그 만의 레시피를 줘서 특화하도록 도와준다든지..."

정부와 자치단체는 이런 현실보다 창업 실적에 더 치중하고 있습니다.

<인터뷰> 최효철(대전대 경제학과 교수) : "생존율을 높일 수 있도록 사후 관리를 강화하는 쪽으로 정책 초점이 옮겨져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청년 창업과 전통시장을 활성화를 동시에 이루겠다는 전통시장 청년 창업 정책에 재검토가 불가피해 보입니다.

KBS 뉴스 홍정표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