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 손에 보따리…자식 보러 ‘역귀성’ 행렬
입력 2017.01.27 (21:09)
수정 2017.01.27 (21:1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요즘은 반대로 대처에 나가 사는 자식들을 찾아 부모님들이 도시로 이동하는 역귀성도 많아졌죠?
올해는 특히 AI의 영향으로 이런 역귀성 행렬이 늘어날 것이라고 하는데요,
홍진아 기자가 역귀성 풍경을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서울에 도착한 버스에서 승객들이 내립니다.
두 손 가득 짐을 들고 자식들을 보러 고향에서 찾아온 역귀성객 입니다.
대기실 한쪽에 짐을 내려놓고 마중 나올 자식들을 기다립니다.
<인터뷰> 김겸덕(경상남도 밀양시) : "(싸오신 거는 어떤 거예요?) 우리 아들 지금 온다고 떡 좀 해가지고.."
5남매를 키워 모두 서울로 보낸 노모는 역귀성을 택했습니다.
<인터뷰> 김광자(충청남도 금산군) : "아들이 여럿이라 시골서 혼자 살고 그러니까 내가 와야지 여러 식구가 오는 것보다 애들 고생 안 시키려고 올라와요."
이른 아침부터 5시간 가까이 버스를 타고 왔지만 힘든지 모르겠다고 합니다.
<인터뷰> 손선경(부산광역시 해운대구) : "(올라오면서 불편하시진 않으셨어요?) 아뇨 전혀. 애들 만난다는 생각에 기쁜 마음으로 왔어요."
열차가 도착하자 승강장에서 기다리던 아들이 어머니를 반갑게 맞이합니다.
노모는 반가운 아들의 팔짱을 꼭 낍니다.
<인터뷰> 박인효(서울 광진구) : "반갑고 기쁜 마음으로 한 6개월 만에 뵙는데 조금이라도 주름살이 안 늘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으로 기다리고 있었어요."
<인터뷰> 사공화(부산광역시 서구) : "반갑지요. 목소리만 들어도 반갑고 얼굴 보면 더 반갑고 그렇죠."
국토교통부는 올해는 AI 등의 영향으로 역귀성 행렬이 예년보다 늘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KBS 뉴스 홍진아입니다.
요즘은 반대로 대처에 나가 사는 자식들을 찾아 부모님들이 도시로 이동하는 역귀성도 많아졌죠?
올해는 특히 AI의 영향으로 이런 역귀성 행렬이 늘어날 것이라고 하는데요,
홍진아 기자가 역귀성 풍경을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서울에 도착한 버스에서 승객들이 내립니다.
두 손 가득 짐을 들고 자식들을 보러 고향에서 찾아온 역귀성객 입니다.
대기실 한쪽에 짐을 내려놓고 마중 나올 자식들을 기다립니다.
<인터뷰> 김겸덕(경상남도 밀양시) : "(싸오신 거는 어떤 거예요?) 우리 아들 지금 온다고 떡 좀 해가지고.."
5남매를 키워 모두 서울로 보낸 노모는 역귀성을 택했습니다.
<인터뷰> 김광자(충청남도 금산군) : "아들이 여럿이라 시골서 혼자 살고 그러니까 내가 와야지 여러 식구가 오는 것보다 애들 고생 안 시키려고 올라와요."
이른 아침부터 5시간 가까이 버스를 타고 왔지만 힘든지 모르겠다고 합니다.
<인터뷰> 손선경(부산광역시 해운대구) : "(올라오면서 불편하시진 않으셨어요?) 아뇨 전혀. 애들 만난다는 생각에 기쁜 마음으로 왔어요."
열차가 도착하자 승강장에서 기다리던 아들이 어머니를 반갑게 맞이합니다.
노모는 반가운 아들의 팔짱을 꼭 낍니다.
<인터뷰> 박인효(서울 광진구) : "반갑고 기쁜 마음으로 한 6개월 만에 뵙는데 조금이라도 주름살이 안 늘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으로 기다리고 있었어요."
<인터뷰> 사공화(부산광역시 서구) : "반갑지요. 목소리만 들어도 반갑고 얼굴 보면 더 반갑고 그렇죠."
국토교통부는 올해는 AI 등의 영향으로 역귀성 행렬이 예년보다 늘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KBS 뉴스 홍진아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두 손에 보따리…자식 보러 ‘역귀성’ 행렬
-
- 입력 2017-01-27 21:10:01
- 수정2017-01-27 21:16:19

<앵커 멘트>
요즘은 반대로 대처에 나가 사는 자식들을 찾아 부모님들이 도시로 이동하는 역귀성도 많아졌죠?
올해는 특히 AI의 영향으로 이런 역귀성 행렬이 늘어날 것이라고 하는데요,
홍진아 기자가 역귀성 풍경을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서울에 도착한 버스에서 승객들이 내립니다.
두 손 가득 짐을 들고 자식들을 보러 고향에서 찾아온 역귀성객 입니다.
대기실 한쪽에 짐을 내려놓고 마중 나올 자식들을 기다립니다.
<인터뷰> 김겸덕(경상남도 밀양시) : "(싸오신 거는 어떤 거예요?) 우리 아들 지금 온다고 떡 좀 해가지고.."
5남매를 키워 모두 서울로 보낸 노모는 역귀성을 택했습니다.
<인터뷰> 김광자(충청남도 금산군) : "아들이 여럿이라 시골서 혼자 살고 그러니까 내가 와야지 여러 식구가 오는 것보다 애들 고생 안 시키려고 올라와요."
이른 아침부터 5시간 가까이 버스를 타고 왔지만 힘든지 모르겠다고 합니다.
<인터뷰> 손선경(부산광역시 해운대구) : "(올라오면서 불편하시진 않으셨어요?) 아뇨 전혀. 애들 만난다는 생각에 기쁜 마음으로 왔어요."
열차가 도착하자 승강장에서 기다리던 아들이 어머니를 반갑게 맞이합니다.
노모는 반가운 아들의 팔짱을 꼭 낍니다.
<인터뷰> 박인효(서울 광진구) : "반갑고 기쁜 마음으로 한 6개월 만에 뵙는데 조금이라도 주름살이 안 늘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으로 기다리고 있었어요."
<인터뷰> 사공화(부산광역시 서구) : "반갑지요. 목소리만 들어도 반갑고 얼굴 보면 더 반갑고 그렇죠."
국토교통부는 올해는 AI 등의 영향으로 역귀성 행렬이 예년보다 늘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KBS 뉴스 홍진아입니다.
요즘은 반대로 대처에 나가 사는 자식들을 찾아 부모님들이 도시로 이동하는 역귀성도 많아졌죠?
올해는 특히 AI의 영향으로 이런 역귀성 행렬이 늘어날 것이라고 하는데요,
홍진아 기자가 역귀성 풍경을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서울에 도착한 버스에서 승객들이 내립니다.
두 손 가득 짐을 들고 자식들을 보러 고향에서 찾아온 역귀성객 입니다.
대기실 한쪽에 짐을 내려놓고 마중 나올 자식들을 기다립니다.
<인터뷰> 김겸덕(경상남도 밀양시) : "(싸오신 거는 어떤 거예요?) 우리 아들 지금 온다고 떡 좀 해가지고.."
5남매를 키워 모두 서울로 보낸 노모는 역귀성을 택했습니다.
<인터뷰> 김광자(충청남도 금산군) : "아들이 여럿이라 시골서 혼자 살고 그러니까 내가 와야지 여러 식구가 오는 것보다 애들 고생 안 시키려고 올라와요."
이른 아침부터 5시간 가까이 버스를 타고 왔지만 힘든지 모르겠다고 합니다.
<인터뷰> 손선경(부산광역시 해운대구) : "(올라오면서 불편하시진 않으셨어요?) 아뇨 전혀. 애들 만난다는 생각에 기쁜 마음으로 왔어요."
열차가 도착하자 승강장에서 기다리던 아들이 어머니를 반갑게 맞이합니다.
노모는 반가운 아들의 팔짱을 꼭 낍니다.
<인터뷰> 박인효(서울 광진구) : "반갑고 기쁜 마음으로 한 6개월 만에 뵙는데 조금이라도 주름살이 안 늘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으로 기다리고 있었어요."
<인터뷰> 사공화(부산광역시 서구) : "반갑지요. 목소리만 들어도 반갑고 얼굴 보면 더 반갑고 그렇죠."
국토교통부는 올해는 AI 등의 영향으로 역귀성 행렬이 예년보다 늘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KBS 뉴스 홍진아입니다.
-
-
홍진아 기자 gina@kbs.co.kr
홍진아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