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콘텐츠의 힘’…한한령에도 인기 여전
입력 2017.01.27 (21:14)
수정 2017.01.27 (22:03)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한류 금지령, 이른바 한한령 압박에도 중국에서 한국 드라마나 k팝 등 우리 문화콘텐츠의 인기는 여전합니다.
중국의 보복성 조치가 오히려 자국 내의 음성적인 문화콘텐츠 유통을 부추기고 있습니다.
상하이에서 김태욱 특파원이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중국 젊은여성들이 드라마에 푹 빠져 있습니다.
최근 중국에서도 열풍을 일으키고 있는 한국 드라마 도깨비입니다.
<인터뷰> 동즈줸 : "좋아하죠. 매회 나올 때마다 바로 봐요. 주변에 많은 친구들이 이 드라마에 빠져 있어요."
영화 부산행에도 출연한 배우 공유의 인기는 폭발적입니다.
현지 관영매체마저 '중국에는 왜 공유 같은 배우가 없느냐'는 칼럼을 내놓을 정도입니다.
중국 연예인들도 앞다퉈 팬임을 자처하고 있습니다.
<녹취> 차이이린(여가수/웨이보 생방송) : "공유, 정말 매력적인 것 같아요. 예전에 나왔을 때부터 봐왔어요."
K팝이나 한국 예능 프로들의 인기도 여전합니다.
한국 스타들의 공연과 방송출연 등이 금지되자 인터넷에선 해적판 동영상이 성행하고 있습니다.
<인터뷰> 총란 : "스마트폰이나 인터넷으로 볼 수 있으면 우리는 그만이죠. 정상적인 경로로 들어온 건지는 잘 모르겠어요."
중국 정부의 사드 보복성 강제 조치로도 문화의 힘을 억누르기는 어렵다는 뜻입니다.
오히려 이로 인한 중국 자국내 불법 콘텐츠 유통만 늘어난 꼴이 됐습니다.
상하이에서 KBS 뉴스 김태욱입니다.
한류 금지령, 이른바 한한령 압박에도 중국에서 한국 드라마나 k팝 등 우리 문화콘텐츠의 인기는 여전합니다.
중국의 보복성 조치가 오히려 자국 내의 음성적인 문화콘텐츠 유통을 부추기고 있습니다.
상하이에서 김태욱 특파원이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중국 젊은여성들이 드라마에 푹 빠져 있습니다.
최근 중국에서도 열풍을 일으키고 있는 한국 드라마 도깨비입니다.
<인터뷰> 동즈줸 : "좋아하죠. 매회 나올 때마다 바로 봐요. 주변에 많은 친구들이 이 드라마에 빠져 있어요."
영화 부산행에도 출연한 배우 공유의 인기는 폭발적입니다.
현지 관영매체마저 '중국에는 왜 공유 같은 배우가 없느냐'는 칼럼을 내놓을 정도입니다.
중국 연예인들도 앞다퉈 팬임을 자처하고 있습니다.
<녹취> 차이이린(여가수/웨이보 생방송) : "공유, 정말 매력적인 것 같아요. 예전에 나왔을 때부터 봐왔어요."
K팝이나 한국 예능 프로들의 인기도 여전합니다.
한국 스타들의 공연과 방송출연 등이 금지되자 인터넷에선 해적판 동영상이 성행하고 있습니다.
<인터뷰> 총란 : "스마트폰이나 인터넷으로 볼 수 있으면 우리는 그만이죠. 정상적인 경로로 들어온 건지는 잘 모르겠어요."
중국 정부의 사드 보복성 강제 조치로도 문화의 힘을 억누르기는 어렵다는 뜻입니다.
오히려 이로 인한 중국 자국내 불법 콘텐츠 유통만 늘어난 꼴이 됐습니다.
상하이에서 KBS 뉴스 김태욱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한국 콘텐츠의 힘’…한한령에도 인기 여전
-
- 입력 2017-01-27 21:15:26
- 수정2017-01-27 22:03:24

<앵커 멘트>
한류 금지령, 이른바 한한령 압박에도 중국에서 한국 드라마나 k팝 등 우리 문화콘텐츠의 인기는 여전합니다.
중국의 보복성 조치가 오히려 자국 내의 음성적인 문화콘텐츠 유통을 부추기고 있습니다.
상하이에서 김태욱 특파원이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중국 젊은여성들이 드라마에 푹 빠져 있습니다.
최근 중국에서도 열풍을 일으키고 있는 한국 드라마 도깨비입니다.
<인터뷰> 동즈줸 : "좋아하죠. 매회 나올 때마다 바로 봐요. 주변에 많은 친구들이 이 드라마에 빠져 있어요."
영화 부산행에도 출연한 배우 공유의 인기는 폭발적입니다.
현지 관영매체마저 '중국에는 왜 공유 같은 배우가 없느냐'는 칼럼을 내놓을 정도입니다.
중국 연예인들도 앞다퉈 팬임을 자처하고 있습니다.
<녹취> 차이이린(여가수/웨이보 생방송) : "공유, 정말 매력적인 것 같아요. 예전에 나왔을 때부터 봐왔어요."
K팝이나 한국 예능 프로들의 인기도 여전합니다.
한국 스타들의 공연과 방송출연 등이 금지되자 인터넷에선 해적판 동영상이 성행하고 있습니다.
<인터뷰> 총란 : "스마트폰이나 인터넷으로 볼 수 있으면 우리는 그만이죠. 정상적인 경로로 들어온 건지는 잘 모르겠어요."
중국 정부의 사드 보복성 강제 조치로도 문화의 힘을 억누르기는 어렵다는 뜻입니다.
오히려 이로 인한 중국 자국내 불법 콘텐츠 유통만 늘어난 꼴이 됐습니다.
상하이에서 KBS 뉴스 김태욱입니다.
한류 금지령, 이른바 한한령 압박에도 중국에서 한국 드라마나 k팝 등 우리 문화콘텐츠의 인기는 여전합니다.
중국의 보복성 조치가 오히려 자국 내의 음성적인 문화콘텐츠 유통을 부추기고 있습니다.
상하이에서 김태욱 특파원이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중국 젊은여성들이 드라마에 푹 빠져 있습니다.
최근 중국에서도 열풍을 일으키고 있는 한국 드라마 도깨비입니다.
<인터뷰> 동즈줸 : "좋아하죠. 매회 나올 때마다 바로 봐요. 주변에 많은 친구들이 이 드라마에 빠져 있어요."
영화 부산행에도 출연한 배우 공유의 인기는 폭발적입니다.
현지 관영매체마저 '중국에는 왜 공유 같은 배우가 없느냐'는 칼럼을 내놓을 정도입니다.
중국 연예인들도 앞다퉈 팬임을 자처하고 있습니다.
<녹취> 차이이린(여가수/웨이보 생방송) : "공유, 정말 매력적인 것 같아요. 예전에 나왔을 때부터 봐왔어요."
K팝이나 한국 예능 프로들의 인기도 여전합니다.
한국 스타들의 공연과 방송출연 등이 금지되자 인터넷에선 해적판 동영상이 성행하고 있습니다.
<인터뷰> 총란 : "스마트폰이나 인터넷으로 볼 수 있으면 우리는 그만이죠. 정상적인 경로로 들어온 건지는 잘 모르겠어요."
중국 정부의 사드 보복성 강제 조치로도 문화의 힘을 억누르기는 어렵다는 뜻입니다.
오히려 이로 인한 중국 자국내 불법 콘텐츠 유통만 늘어난 꼴이 됐습니다.
상하이에서 KBS 뉴스 김태욱입니다.
-
-
김태욱 기자 twkim@kbs.co.kr
김태욱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