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호등이 안 보여요”…위험한 등굣길
입력 2017.03.03 (12:34)
수정 2017.03.03 (12:3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Loading the player...
<앵커 멘트>
대부분의 초등학교가 오늘 개학했습니다.
아이들 등하교길 안전이 늘 걱정인데, KBS가 학교 주변 스쿨존 얼마나 안전한지 현장 실태를 취재했습니다.
조혜진 기자입니다.
<리포트>
신호등이 바뀌자 초등학교 3학년 아이가 횡단보도로 들어섭니다.
미처 속도를 줄이지 못한 차량이 아이를 덮칩니다.
아이는 끝내 숨졌습니다.
과속방지턱이라도 있었더라면 학부모는 한숨을 내쉽니다.
<녹취> 피해 학생 부모(음성변조) : "스쿨존은 아이들을 위한 법이잖아요. 그럼 당연히 그 건널목은 포함이 되어야 하는 거고..."
사고가 난지 석 달, 현장을 둘러봤습니다.
도로가에 주정차된 차량에 가려 아이들 눈높이에서는 신호등이 보이지 않습니다.
<녹취> "파란불 맞지? 맞겠지? 안 보여서 모르겠어."
지나가는 차량이 있는지 알 수도 없습니다.
통상 교문에서 300미터 이내 거리에 스쿨존이 지정되면 차량속도를 제한하고 과속방지턱도 설치합니다.
처음 스쿨존으로 지정된 1997년 이후 학교 주변 환경은 크게 바뀌었지만 스쿨존은 그대로입니다.
<녹취> "해제표시가 왜 여기 서있는 건지... 횡단보도가 있어야 합니다. 사고를 부추길 수 있는 위험 시설입니다."
지방자치단체는 예산 부족으로 돌립니다.
<녹취> 인천 서구청 관계자(음성변조) : "그 당시가 연말이다 보니깐 거의 예산 사업이 다 마무리된 단계였고..."
아이들의 동선을 고려하지 않은 스쿨존도 많습니다.
<녹취> "이 사이로 들어가요."
학교 인근의 좁은 골목길, 주차된 차량때문에 차량 한 대만 지나가도 위험하지만 스쿨존은 아닙니다.
아이들이 많이 다니는 길은 학교에서 300미터 떨어진 아파트 단지로 연결되는 길입니다.
하지만 실제 스쿨존은 학교 주변 30미터도 안 됩니다.
스쿨존이 도입된지 20년이 넘었지만 스쿨존 내 어린이 교통사고가 줄기는 커녕 되레 늘고 있는 이유입니다.
<인터뷰> 허억(가천대 국가안전관리대학원 교수) : "(현행법상 '할 수 있다'는) 임의조항이다보니깐 지자체마다 통일성 결여돼 있고, 어린이의 통학 동선을 고려치 않는 '무늬만 스쿨존'도 매우 많습니다."
전국 스쿨존은 만 5천여 곳.
지정 권고는 학교와 경찰이, 관리는 지방자치단체로 이원화 돼 운영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조혜진입니다.
대부분의 초등학교가 오늘 개학했습니다.
아이들 등하교길 안전이 늘 걱정인데, KBS가 학교 주변 스쿨존 얼마나 안전한지 현장 실태를 취재했습니다.
조혜진 기자입니다.
<리포트>
신호등이 바뀌자 초등학교 3학년 아이가 횡단보도로 들어섭니다.
미처 속도를 줄이지 못한 차량이 아이를 덮칩니다.
아이는 끝내 숨졌습니다.
과속방지턱이라도 있었더라면 학부모는 한숨을 내쉽니다.
<녹취> 피해 학생 부모(음성변조) : "스쿨존은 아이들을 위한 법이잖아요. 그럼 당연히 그 건널목은 포함이 되어야 하는 거고..."
사고가 난지 석 달, 현장을 둘러봤습니다.
도로가에 주정차된 차량에 가려 아이들 눈높이에서는 신호등이 보이지 않습니다.
<녹취> "파란불 맞지? 맞겠지? 안 보여서 모르겠어."
지나가는 차량이 있는지 알 수도 없습니다.
통상 교문에서 300미터 이내 거리에 스쿨존이 지정되면 차량속도를 제한하고 과속방지턱도 설치합니다.
처음 스쿨존으로 지정된 1997년 이후 학교 주변 환경은 크게 바뀌었지만 스쿨존은 그대로입니다.
<녹취> "해제표시가 왜 여기 서있는 건지... 횡단보도가 있어야 합니다. 사고를 부추길 수 있는 위험 시설입니다."
지방자치단체는 예산 부족으로 돌립니다.
<녹취> 인천 서구청 관계자(음성변조) : "그 당시가 연말이다 보니깐 거의 예산 사업이 다 마무리된 단계였고..."
아이들의 동선을 고려하지 않은 스쿨존도 많습니다.
<녹취> "이 사이로 들어가요."
학교 인근의 좁은 골목길, 주차된 차량때문에 차량 한 대만 지나가도 위험하지만 스쿨존은 아닙니다.
아이들이 많이 다니는 길은 학교에서 300미터 떨어진 아파트 단지로 연결되는 길입니다.
하지만 실제 스쿨존은 학교 주변 30미터도 안 됩니다.
스쿨존이 도입된지 20년이 넘었지만 스쿨존 내 어린이 교통사고가 줄기는 커녕 되레 늘고 있는 이유입니다.
<인터뷰> 허억(가천대 국가안전관리대학원 교수) : "(현행법상 '할 수 있다'는) 임의조항이다보니깐 지자체마다 통일성 결여돼 있고, 어린이의 통학 동선을 고려치 않는 '무늬만 스쿨존'도 매우 많습니다."
전국 스쿨존은 만 5천여 곳.
지정 권고는 학교와 경찰이, 관리는 지방자치단체로 이원화 돼 운영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조혜진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신호등이 안 보여요”…위험한 등굣길
-
- 입력 2017-03-03 12:36:43
- 수정2017-03-03 12:39:25

<앵커 멘트>
대부분의 초등학교가 오늘 개학했습니다.
아이들 등하교길 안전이 늘 걱정인데, KBS가 학교 주변 스쿨존 얼마나 안전한지 현장 실태를 취재했습니다.
조혜진 기자입니다.
<리포트>
신호등이 바뀌자 초등학교 3학년 아이가 횡단보도로 들어섭니다.
미처 속도를 줄이지 못한 차량이 아이를 덮칩니다.
아이는 끝내 숨졌습니다.
과속방지턱이라도 있었더라면 학부모는 한숨을 내쉽니다.
<녹취> 피해 학생 부모(음성변조) : "스쿨존은 아이들을 위한 법이잖아요. 그럼 당연히 그 건널목은 포함이 되어야 하는 거고..."
사고가 난지 석 달, 현장을 둘러봤습니다.
도로가에 주정차된 차량에 가려 아이들 눈높이에서는 신호등이 보이지 않습니다.
<녹취> "파란불 맞지? 맞겠지? 안 보여서 모르겠어."
지나가는 차량이 있는지 알 수도 없습니다.
통상 교문에서 300미터 이내 거리에 스쿨존이 지정되면 차량속도를 제한하고 과속방지턱도 설치합니다.
처음 스쿨존으로 지정된 1997년 이후 학교 주변 환경은 크게 바뀌었지만 스쿨존은 그대로입니다.
<녹취> "해제표시가 왜 여기 서있는 건지... 횡단보도가 있어야 합니다. 사고를 부추길 수 있는 위험 시설입니다."
지방자치단체는 예산 부족으로 돌립니다.
<녹취> 인천 서구청 관계자(음성변조) : "그 당시가 연말이다 보니깐 거의 예산 사업이 다 마무리된 단계였고..."
아이들의 동선을 고려하지 않은 스쿨존도 많습니다.
<녹취> "이 사이로 들어가요."
학교 인근의 좁은 골목길, 주차된 차량때문에 차량 한 대만 지나가도 위험하지만 스쿨존은 아닙니다.
아이들이 많이 다니는 길은 학교에서 300미터 떨어진 아파트 단지로 연결되는 길입니다.
하지만 실제 스쿨존은 학교 주변 30미터도 안 됩니다.
스쿨존이 도입된지 20년이 넘었지만 스쿨존 내 어린이 교통사고가 줄기는 커녕 되레 늘고 있는 이유입니다.
<인터뷰> 허억(가천대 국가안전관리대학원 교수) : "(현행법상 '할 수 있다'는) 임의조항이다보니깐 지자체마다 통일성 결여돼 있고, 어린이의 통학 동선을 고려치 않는 '무늬만 스쿨존'도 매우 많습니다."
전국 스쿨존은 만 5천여 곳.
지정 권고는 학교와 경찰이, 관리는 지방자치단체로 이원화 돼 운영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조혜진입니다.
대부분의 초등학교가 오늘 개학했습니다.
아이들 등하교길 안전이 늘 걱정인데, KBS가 학교 주변 스쿨존 얼마나 안전한지 현장 실태를 취재했습니다.
조혜진 기자입니다.
<리포트>
신호등이 바뀌자 초등학교 3학년 아이가 횡단보도로 들어섭니다.
미처 속도를 줄이지 못한 차량이 아이를 덮칩니다.
아이는 끝내 숨졌습니다.
과속방지턱이라도 있었더라면 학부모는 한숨을 내쉽니다.
<녹취> 피해 학생 부모(음성변조) : "스쿨존은 아이들을 위한 법이잖아요. 그럼 당연히 그 건널목은 포함이 되어야 하는 거고..."
사고가 난지 석 달, 현장을 둘러봤습니다.
도로가에 주정차된 차량에 가려 아이들 눈높이에서는 신호등이 보이지 않습니다.
<녹취> "파란불 맞지? 맞겠지? 안 보여서 모르겠어."
지나가는 차량이 있는지 알 수도 없습니다.
통상 교문에서 300미터 이내 거리에 스쿨존이 지정되면 차량속도를 제한하고 과속방지턱도 설치합니다.
처음 스쿨존으로 지정된 1997년 이후 학교 주변 환경은 크게 바뀌었지만 스쿨존은 그대로입니다.
<녹취> "해제표시가 왜 여기 서있는 건지... 횡단보도가 있어야 합니다. 사고를 부추길 수 있는 위험 시설입니다."
지방자치단체는 예산 부족으로 돌립니다.
<녹취> 인천 서구청 관계자(음성변조) : "그 당시가 연말이다 보니깐 거의 예산 사업이 다 마무리된 단계였고..."
아이들의 동선을 고려하지 않은 스쿨존도 많습니다.
<녹취> "이 사이로 들어가요."
학교 인근의 좁은 골목길, 주차된 차량때문에 차량 한 대만 지나가도 위험하지만 스쿨존은 아닙니다.
아이들이 많이 다니는 길은 학교에서 300미터 떨어진 아파트 단지로 연결되는 길입니다.
하지만 실제 스쿨존은 학교 주변 30미터도 안 됩니다.
스쿨존이 도입된지 20년이 넘었지만 스쿨존 내 어린이 교통사고가 줄기는 커녕 되레 늘고 있는 이유입니다.
<인터뷰> 허억(가천대 국가안전관리대학원 교수) : "(현행법상 '할 수 있다'는) 임의조항이다보니깐 지자체마다 통일성 결여돼 있고, 어린이의 통학 동선을 고려치 않는 '무늬만 스쿨존'도 매우 많습니다."
전국 스쿨존은 만 5천여 곳.
지정 권고는 학교와 경찰이, 관리는 지방자치단체로 이원화 돼 운영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조혜진입니다.
-
-
조혜진 기자 jin2@kbs.co.kr
조혜진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