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층리포트] ‘골재 대란’…환경 파괴 최소화 해법은?

입력 2017.03.03 (21:32) 수정 2017.03.03 (22:1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최근 남해 바닷모래 채취를 놓고 골재업계와 어민들이 첨예하게 대립하고 있습니다.

골재 대란을 우려하는 업계와 어장 파괴를 걱정하는 어민들의 갈등을 해결할 방법은 없는 건지, 류재현 기자가 살펴봤습니다.

<리포트>

바쁘게 움직여야 할 레미콘 공장이 멈춰 섰습니다.

원료로 쓰는 바닷모래가 부족했기 때문입니다.

부산과 경남에서 70여 곳이 나흘 동안 문을 닫았습니다.

남해 배타적 경제수역에서 모래를 채취할 수 있는 기간은 이미 끝난 상태.

하지만 골재 대란이 일어날 조짐을 보이자, 정부는 내년까지 추가로 650만㎥의 바닷모래 채취를 허가했습니다.

<인터뷰> 이병훈(국토교통부 건설인력기재과장) : "다른 대안이 없기 때문에 일단은 골재채취 진행해야 하고요. 1년 뒤에 나오는 (재조사) 결과에 따라서 다시 또 논의해야 할 상황입니다."

그렇다고 해서 정부가 바닷모래 채취를 마냥 연장할 수도 없습니다.

어장이 훼손되기 때문입니다.

경남 통영에서 배를 타고 3시간.

한때 남해안 최고 황금어장이었지만 요즘은 그물을 내리면 50㎏들이 상자 1/3밖에 차지 않습니다.

<인터뷰> 명홍재(어선 선장) : "아예 가봤자 그물만 상해버리지 고기는 아예 없습니다. 없어."

어군 탐지기로 바닷속 80m 아래 모습을 살펴봤더니 곳곳에 깊은 웅덩이가 파여 있습니다.

물고기 산란장이 온전할 리 없습니다.

<인터뷰> 김덕출(경남 통영수협 조합장) : "논이나 밭에 흙이 없으면 농사가 됩니까. 바다도 위에 모래가 있고 토사가 층층이 있어야 고기가 알을 낳고 서식을 하고 생태계가 형성됩니다."

건설업계가 바닷모래에 의존하게 된 것은 하천에서 나는 모래가 부족해졌기 때문.

지난 2010년, 4대강 공사가 끝난 뒤로 모래 채취가 전면 금지됐습니다.

해결책은 없을까?

골재업계는 4대강과 지류 합류 구간 모래를 활용하는 방안을 내놓습니다.

강바닥을 긁어내지 않고 수면 위로 올라온 부분만 골재로 쓰자는 겁니다.

<인터뷰> 성락창(한국골재협회 대경지부장) : "4대강 사업 끝난 지가 4~5년 되기 때문에 퇴적층도 있고. 하천 골재 허가를 내주면 골재수급에 도움이 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건설현장에서 나오는 암석이나 콘크리트를 재활용하는 '순환골재'도 대안으로 제시됩니다.

불순물을 거르는 추가 가공 비용이 들긴 하지만, 환경 파괴가 적다는 이점이 있습니다.

특히 전체 골재 공급량의 70%를 차지하는 산림과 육상골재 등의 생산 기반을 확충하는 방안도 필요합니다.

<인터뷰> 최영근(대한건설협회 부장) : "산림 모래 생산량 확대, 순환 골재 활용 등 골재 원을 다변화하고 모래 생산 기술을 지원하는 등 중장기적인 계획과 이행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입니다."

골재 대란을 막고 환경 훼손을 최소화할 수 있는 현실적인 지원책 마련과 사회적 공론화 등 복합적인 해법이 필요합니다.

KBS 뉴스 류재현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심층리포트] ‘골재 대란’…환경 파괴 최소화 해법은?
    • 입력 2017-03-03 21:33:09
    • 수정2017-03-03 22:15:46
    뉴스 9
<앵커 멘트>

최근 남해 바닷모래 채취를 놓고 골재업계와 어민들이 첨예하게 대립하고 있습니다.

골재 대란을 우려하는 업계와 어장 파괴를 걱정하는 어민들의 갈등을 해결할 방법은 없는 건지, 류재현 기자가 살펴봤습니다.

<리포트>

바쁘게 움직여야 할 레미콘 공장이 멈춰 섰습니다.

원료로 쓰는 바닷모래가 부족했기 때문입니다.

부산과 경남에서 70여 곳이 나흘 동안 문을 닫았습니다.

남해 배타적 경제수역에서 모래를 채취할 수 있는 기간은 이미 끝난 상태.

하지만 골재 대란이 일어날 조짐을 보이자, 정부는 내년까지 추가로 650만㎥의 바닷모래 채취를 허가했습니다.

<인터뷰> 이병훈(국토교통부 건설인력기재과장) : "다른 대안이 없기 때문에 일단은 골재채취 진행해야 하고요. 1년 뒤에 나오는 (재조사) 결과에 따라서 다시 또 논의해야 할 상황입니다."

그렇다고 해서 정부가 바닷모래 채취를 마냥 연장할 수도 없습니다.

어장이 훼손되기 때문입니다.

경남 통영에서 배를 타고 3시간.

한때 남해안 최고 황금어장이었지만 요즘은 그물을 내리면 50㎏들이 상자 1/3밖에 차지 않습니다.

<인터뷰> 명홍재(어선 선장) : "아예 가봤자 그물만 상해버리지 고기는 아예 없습니다. 없어."

어군 탐지기로 바닷속 80m 아래 모습을 살펴봤더니 곳곳에 깊은 웅덩이가 파여 있습니다.

물고기 산란장이 온전할 리 없습니다.

<인터뷰> 김덕출(경남 통영수협 조합장) : "논이나 밭에 흙이 없으면 농사가 됩니까. 바다도 위에 모래가 있고 토사가 층층이 있어야 고기가 알을 낳고 서식을 하고 생태계가 형성됩니다."

건설업계가 바닷모래에 의존하게 된 것은 하천에서 나는 모래가 부족해졌기 때문.

지난 2010년, 4대강 공사가 끝난 뒤로 모래 채취가 전면 금지됐습니다.

해결책은 없을까?

골재업계는 4대강과 지류 합류 구간 모래를 활용하는 방안을 내놓습니다.

강바닥을 긁어내지 않고 수면 위로 올라온 부분만 골재로 쓰자는 겁니다.

<인터뷰> 성락창(한국골재협회 대경지부장) : "4대강 사업 끝난 지가 4~5년 되기 때문에 퇴적층도 있고. 하천 골재 허가를 내주면 골재수급에 도움이 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건설현장에서 나오는 암석이나 콘크리트를 재활용하는 '순환골재'도 대안으로 제시됩니다.

불순물을 거르는 추가 가공 비용이 들긴 하지만, 환경 파괴가 적다는 이점이 있습니다.

특히 전체 골재 공급량의 70%를 차지하는 산림과 육상골재 등의 생산 기반을 확충하는 방안도 필요합니다.

<인터뷰> 최영근(대한건설협회 부장) : "산림 모래 생산량 확대, 순환 골재 활용 등 골재 원을 다변화하고 모래 생산 기술을 지원하는 등 중장기적인 계획과 이행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입니다."

골재 대란을 막고 환경 훼손을 최소화할 수 있는 현실적인 지원책 마련과 사회적 공론화 등 복합적인 해법이 필요합니다.

KBS 뉴스 류재현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