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말레이, 상대 국민 출국 금지 초강수

입력 2017.03.08 (07:10) 수정 2017.03.08 (08:03)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김정남 피살 사건 이후 악화일로인 북한과 말레이시아 간 관계가 단교의 수순을 밟아가는 모양새입니다.

어제는 상대국 국민을 서로 출국 금지하는, '인질극'과도 같은 강경 조치가 오갔습니다.

쿠알라룸푸르에서 김민철 특파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북한이 말레이시아 국민에 대한 출국 금지조치를 발표하자, 말레이시아 당국은 즉각 북한 대사관 앞에 경찰을 배치해 대사관 직원의 출입을 통제했습니다.

<녹취> 자히드 하미디(말레이시아 부총리) : "북한 대사관 직원들은 한 명도 출국을 못 하도록 한 조치를 즉각 시행시켰습니다."

몇 시간 뒤 말레이시아 총리는 성명을 발표했습니다.

북한의 말레이시아 국민 출국금지 조치는 혐오스런 행동이며, 말레이시아도 자국에 체류중인 모든 북한 주민들의 출국을 금지하겠다는 것이었습니다.

또, 오는 10일 내각 회의에서 북한과의 단교를 포함한 후속 조치를 논의할 예정이라고 현지 언론은 전했습니다.

1957년 말레이시아 독립 이래 상대국의 대사를 추방하거나, 체류민을 출국금지하는 강경 조치를 취한 것은 이번이 처음입니다.

한편,말레이시아 경찰은 김정남 살해 용의자들이 여전히 북한 대사관에 숨어있다며 신병확보를 재차 강조했습니다.

<녹취> 칼리드 아부바카(말레이시아 경찰청장) : "북한 대사관에 이미 공지를 했고,우리는 기다릴 것입니다. 5년이 걸린다 해도 밖에서 기다릴 것입니다."

초유의 강경조치들이 잇따르고 있는 가운데 외교관계 단절로 향한 양국의 행보가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

쿠알라룸푸르에서 KBS 뉴스 김민철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北·말레이, 상대 국민 출국 금지 초강수
    • 입력 2017-03-08 07:13:41
    • 수정2017-03-08 08:03:31
    뉴스광장
<앵커 멘트>

김정남 피살 사건 이후 악화일로인 북한과 말레이시아 간 관계가 단교의 수순을 밟아가는 모양새입니다.

어제는 상대국 국민을 서로 출국 금지하는, '인질극'과도 같은 강경 조치가 오갔습니다.

쿠알라룸푸르에서 김민철 특파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북한이 말레이시아 국민에 대한 출국 금지조치를 발표하자, 말레이시아 당국은 즉각 북한 대사관 앞에 경찰을 배치해 대사관 직원의 출입을 통제했습니다.

<녹취> 자히드 하미디(말레이시아 부총리) : "북한 대사관 직원들은 한 명도 출국을 못 하도록 한 조치를 즉각 시행시켰습니다."

몇 시간 뒤 말레이시아 총리는 성명을 발표했습니다.

북한의 말레이시아 국민 출국금지 조치는 혐오스런 행동이며, 말레이시아도 자국에 체류중인 모든 북한 주민들의 출국을 금지하겠다는 것이었습니다.

또, 오는 10일 내각 회의에서 북한과의 단교를 포함한 후속 조치를 논의할 예정이라고 현지 언론은 전했습니다.

1957년 말레이시아 독립 이래 상대국의 대사를 추방하거나, 체류민을 출국금지하는 강경 조치를 취한 것은 이번이 처음입니다.

한편,말레이시아 경찰은 김정남 살해 용의자들이 여전히 북한 대사관에 숨어있다며 신병확보를 재차 강조했습니다.

<녹취> 칼리드 아부바카(말레이시아 경찰청장) : "북한 대사관에 이미 공지를 했고,우리는 기다릴 것입니다. 5년이 걸린다 해도 밖에서 기다릴 것입니다."

초유의 강경조치들이 잇따르고 있는 가운데 외교관계 단절로 향한 양국의 행보가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

쿠알라룸푸르에서 KBS 뉴스 김민철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