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사 석 달 만에…가로등 지지대 부서져
입력 2017.03.30 (06:48)
수정 2017.03.30 (07:1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수억 원을 들여 설치한 국도변 가로등이 공사한 지 불과 석 달여 만에 부실징후를 보이고 있습니다.
가로등을 지지하는 콘크리트 기초가 떨어져 나가면서 일부는 재시공이 불가피합니다.
황정환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막 공사를 끝낸 국도변 가로등.
기둥을 지지하는 콘크리트 기초가 녹아내린 듯 허물어졌습니다.
손으로 만지면 자갈과 함께 힘없이 부서집니다.
다른 것도 마찬가지.
이 일대에 설치한 가로등 260여 개 가운데 여러 개가 비슷한 현상을 보이고 있습니다.
정상적인 기초와 비교하면 확연히 차이가 납니다.
가로등은 지난 연말 국도를 개통하면서 세운 것으로 시공한 지 3~4달밖에 안 된 것입니다.
기초가 부실하면 지지력이 약화돼 자칫 가로등이 쓰러질 수도 있습니다.
가로등 한 개당 공사비는 백만 원.
시공업체는 콘크리트가 제대로 굳지 않은 상태에서 일부 기초를 시공했다고 털어놨습니다.
<녹취> 시공업체 관계자 : "(제작) 이틀 만에 현장에 시공한 겁니다. (양생이 충분히 안 된 기초들이 들어간 거네요?) 예."
발주처인 대전지방국토관리청은 일부는 재시공이 불가피한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인터뷰> 노영수(대전지방국토관리청 도로계획과) : "미흡한 부분에 대해서는 재시공 등 보수.보강 방안을 마련해서 시공업체로 하여금 하자보수 할 수 있도록 조치할 예정입니다."
국토관리청은 다른 구간에는 피해가 없는지 실태조사에 착수했습니다.
KBS 뉴스 황정환입니다.
수억 원을 들여 설치한 국도변 가로등이 공사한 지 불과 석 달여 만에 부실징후를 보이고 있습니다.
가로등을 지지하는 콘크리트 기초가 떨어져 나가면서 일부는 재시공이 불가피합니다.
황정환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막 공사를 끝낸 국도변 가로등.
기둥을 지지하는 콘크리트 기초가 녹아내린 듯 허물어졌습니다.
손으로 만지면 자갈과 함께 힘없이 부서집니다.
다른 것도 마찬가지.
이 일대에 설치한 가로등 260여 개 가운데 여러 개가 비슷한 현상을 보이고 있습니다.
정상적인 기초와 비교하면 확연히 차이가 납니다.
가로등은 지난 연말 국도를 개통하면서 세운 것으로 시공한 지 3~4달밖에 안 된 것입니다.
기초가 부실하면 지지력이 약화돼 자칫 가로등이 쓰러질 수도 있습니다.
가로등 한 개당 공사비는 백만 원.
시공업체는 콘크리트가 제대로 굳지 않은 상태에서 일부 기초를 시공했다고 털어놨습니다.
<녹취> 시공업체 관계자 : "(제작) 이틀 만에 현장에 시공한 겁니다. (양생이 충분히 안 된 기초들이 들어간 거네요?) 예."
발주처인 대전지방국토관리청은 일부는 재시공이 불가피한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인터뷰> 노영수(대전지방국토관리청 도로계획과) : "미흡한 부분에 대해서는 재시공 등 보수.보강 방안을 마련해서 시공업체로 하여금 하자보수 할 수 있도록 조치할 예정입니다."
국토관리청은 다른 구간에는 피해가 없는지 실태조사에 착수했습니다.
KBS 뉴스 황정환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공사 석 달 만에…가로등 지지대 부서져
-
- 입력 2017-03-30 06:51:25
- 수정2017-03-30 07:15:35

<앵커 멘트>
수억 원을 들여 설치한 국도변 가로등이 공사한 지 불과 석 달여 만에 부실징후를 보이고 있습니다.
가로등을 지지하는 콘크리트 기초가 떨어져 나가면서 일부는 재시공이 불가피합니다.
황정환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막 공사를 끝낸 국도변 가로등.
기둥을 지지하는 콘크리트 기초가 녹아내린 듯 허물어졌습니다.
손으로 만지면 자갈과 함께 힘없이 부서집니다.
다른 것도 마찬가지.
이 일대에 설치한 가로등 260여 개 가운데 여러 개가 비슷한 현상을 보이고 있습니다.
정상적인 기초와 비교하면 확연히 차이가 납니다.
가로등은 지난 연말 국도를 개통하면서 세운 것으로 시공한 지 3~4달밖에 안 된 것입니다.
기초가 부실하면 지지력이 약화돼 자칫 가로등이 쓰러질 수도 있습니다.
가로등 한 개당 공사비는 백만 원.
시공업체는 콘크리트가 제대로 굳지 않은 상태에서 일부 기초를 시공했다고 털어놨습니다.
<녹취> 시공업체 관계자 : "(제작) 이틀 만에 현장에 시공한 겁니다. (양생이 충분히 안 된 기초들이 들어간 거네요?) 예."
발주처인 대전지방국토관리청은 일부는 재시공이 불가피한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인터뷰> 노영수(대전지방국토관리청 도로계획과) : "미흡한 부분에 대해서는 재시공 등 보수.보강 방안을 마련해서 시공업체로 하여금 하자보수 할 수 있도록 조치할 예정입니다."
국토관리청은 다른 구간에는 피해가 없는지 실태조사에 착수했습니다.
KBS 뉴스 황정환입니다.
수억 원을 들여 설치한 국도변 가로등이 공사한 지 불과 석 달여 만에 부실징후를 보이고 있습니다.
가로등을 지지하는 콘크리트 기초가 떨어져 나가면서 일부는 재시공이 불가피합니다.
황정환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막 공사를 끝낸 국도변 가로등.
기둥을 지지하는 콘크리트 기초가 녹아내린 듯 허물어졌습니다.
손으로 만지면 자갈과 함께 힘없이 부서집니다.
다른 것도 마찬가지.
이 일대에 설치한 가로등 260여 개 가운데 여러 개가 비슷한 현상을 보이고 있습니다.
정상적인 기초와 비교하면 확연히 차이가 납니다.
가로등은 지난 연말 국도를 개통하면서 세운 것으로 시공한 지 3~4달밖에 안 된 것입니다.
기초가 부실하면 지지력이 약화돼 자칫 가로등이 쓰러질 수도 있습니다.
가로등 한 개당 공사비는 백만 원.
시공업체는 콘크리트가 제대로 굳지 않은 상태에서 일부 기초를 시공했다고 털어놨습니다.
<녹취> 시공업체 관계자 : "(제작) 이틀 만에 현장에 시공한 겁니다. (양생이 충분히 안 된 기초들이 들어간 거네요?) 예."
발주처인 대전지방국토관리청은 일부는 재시공이 불가피한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인터뷰> 노영수(대전지방국토관리청 도로계획과) : "미흡한 부분에 대해서는 재시공 등 보수.보강 방안을 마련해서 시공업체로 하여금 하자보수 할 수 있도록 조치할 예정입니다."
국토관리청은 다른 구간에는 피해가 없는지 실태조사에 착수했습니다.
KBS 뉴스 황정환입니다.
-
-
황정환 기자 baram@kbs.co.kr
황정환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