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 농부 160만 명…집 안에 들어온 텃밭 ‘푸드닝族’

입력 2017.04.11 (21:42) 수정 2017.04.11 (22:1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오늘(11일)은 도시농업의 날입니다.

도시에 살면서 자투리 땅이나 집 안 공간을 활용해 채소를 기르는 도시 농부들이 크게 늘고 있는데요.

이른바 '푸드닝족'이란 신조어까지 나왔습니다.

이윤희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고층 아파트에 사는 박 씨의 하루는 베란다에서 시작됩니다.

방풍나물, 명월초, 부추까지 각종 나물을 직접 캐는 5년차 도시 농부입니다.

화분 속에선 인삼도 나옵니다.

수확한 채소로 차려낸 밥상, 봄나물 비빔밥과 부추전입니다.

<인터뷰> 박진호(도시농부 5년차) : "시중에서 사면 얼마 안 하지만 하나씩 달린거를 따먹는 재미는 비교할 수 없죠."

베란다 없는 좁은 집이지만 창문 앞 열린 채소가 스무 가지나 됩니다.

엄지 고추와 방울 토마토 꽃치마 적상추, 햇빛과 물만으로도 농사가 가능합니다.

<인터뷰> 한누리(도시농부 2년차) : "스펀지에 싹을 틔운 후 여기 집어넣고 걸쳐주면 뿌리가 밑으로 내려오면서..."

허브의 일종인 로젤은 청량감있는 음료가 됩니다.

<녹취> "껍질 자체에서 색소가 올라오는건데 차로 마실 수 있어요."

집 안에서 채소를 길러먹는 도시 농부가 늘면서 푸드닝이란 신조어도 나왔습니다.

페트병은 화분으로 커피는 비료로 일상 재료가 농사 밑천입니다.

식당 한 켠에 마련된 작은 텃밭입니다.

이렇게 직접 키운 채소를 손님들 식탁에 올리는 음식점도 속속 생겨나고 있습니다.

유럽에서 확산중인 이른바 '팜-투-테이블', 건강하고 여유있는 삶을 꿈꾸는 도시인들의 욕구가 반영돼 있습니다.

안전한 먹거리와 귀농에 대한 관심 등으로 전국의 도시 농부는 160만 명을 넘어섰습니다.

KBS 뉴스 이윤희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도시 농부 160만 명…집 안에 들어온 텃밭 ‘푸드닝族’
    • 입력 2017-04-11 21:43:14
    • 수정2017-04-11 22:19:45
    뉴스 9
<앵커 멘트>

오늘(11일)은 도시농업의 날입니다.

도시에 살면서 자투리 땅이나 집 안 공간을 활용해 채소를 기르는 도시 농부들이 크게 늘고 있는데요.

이른바 '푸드닝족'이란 신조어까지 나왔습니다.

이윤희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고층 아파트에 사는 박 씨의 하루는 베란다에서 시작됩니다.

방풍나물, 명월초, 부추까지 각종 나물을 직접 캐는 5년차 도시 농부입니다.

화분 속에선 인삼도 나옵니다.

수확한 채소로 차려낸 밥상, 봄나물 비빔밥과 부추전입니다.

<인터뷰> 박진호(도시농부 5년차) : "시중에서 사면 얼마 안 하지만 하나씩 달린거를 따먹는 재미는 비교할 수 없죠."

베란다 없는 좁은 집이지만 창문 앞 열린 채소가 스무 가지나 됩니다.

엄지 고추와 방울 토마토 꽃치마 적상추, 햇빛과 물만으로도 농사가 가능합니다.

<인터뷰> 한누리(도시농부 2년차) : "스펀지에 싹을 틔운 후 여기 집어넣고 걸쳐주면 뿌리가 밑으로 내려오면서..."

허브의 일종인 로젤은 청량감있는 음료가 됩니다.

<녹취> "껍질 자체에서 색소가 올라오는건데 차로 마실 수 있어요."

집 안에서 채소를 길러먹는 도시 농부가 늘면서 푸드닝이란 신조어도 나왔습니다.

페트병은 화분으로 커피는 비료로 일상 재료가 농사 밑천입니다.

식당 한 켠에 마련된 작은 텃밭입니다.

이렇게 직접 키운 채소를 손님들 식탁에 올리는 음식점도 속속 생겨나고 있습니다.

유럽에서 확산중인 이른바 '팜-투-테이블', 건강하고 여유있는 삶을 꿈꾸는 도시인들의 욕구가 반영돼 있습니다.

안전한 먹거리와 귀농에 대한 관심 등으로 전국의 도시 농부는 160만 명을 넘어섰습니다.

KBS 뉴스 이윤희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