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화하는 전화 사기…“이럴 땐 의심하세요!”

입력 2017.04.19 (06:46) 수정 2017.04.19 (07:2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수사기관을 사칭해 돈을 이체받던 전화사기가 점점 진화하고 있습니다.

현금을 직접 받아가는가 하면, 집에 침입해 훔쳐가는 등 피해는 더 늘고 있습니다.

어떤 경우 주의해야 하는지 차주하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리포트>

한 남성이 가방에 현금 뭉치를 담습니다.

적금을 해지해 모두 현금으로 찾은 건데 알고 보니 전화사기 피해자.

은행 직원의 신고로 간신히 피해를 막았습니다.

<인터뷰> 김지현(00농협 계장) : "(돈의) 목적에 대해서 말씀도 제대로 못 하시고 얼버무리면서 말씀하시더라고요. 수상하게 여겼죠. (적금을) 중도해지하고 당일에 다시 현금으로 찾는 것은…."

아파트에 침입했다 경찰에 잡힌 외국인 일당.

이들에게 속은 피해자가 집에 찾아다 둔 현금을 훔치려다 붙잡힌 겁니다.

지난 11년 동안 전화사기 피해액만 7천 2백억여 원.

계좌이체를 받던 것에서 진화해, 직접 돈을 받아가거나 집에 보관하게 한 뒤 훔쳐가는 경우가 크게 늘었습니다.

계좌에 이렇게 100만 원 이상 입금되면 30분 동안 돈을 인출할 수 없기 때문에 보이스피싱 피해자에게 직접 현금을 건네받는 겁니다.

계좌가 범죄에 노출됐다며 예금을 찾아 집에 숨기라든지 자기들에게 맡기라는 전화는 모두 사기, 보이스피싱입니다.

<인터뷰> 박보건(경남 진해경찰서 지능팀장) : "예금을 보호해주겠다고 금융기관이나 수사기관을 사칭해서 전화가 오는 경우에는 전화를 끊고 경찰이 올 때까지 기다리면 되겠습니다."

또 대출을 받게 해준다며 전화를 한 뒤 보증금 명목으로 돈만 받아 챙기는 사기도 늘고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KBS 뉴스 차주하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진화하는 전화 사기…“이럴 땐 의심하세요!”
    • 입력 2017-04-19 06:48:28
    • 수정2017-04-19 07:20:19
    뉴스광장 1부
<앵커 멘트>

수사기관을 사칭해 돈을 이체받던 전화사기가 점점 진화하고 있습니다.

현금을 직접 받아가는가 하면, 집에 침입해 훔쳐가는 등 피해는 더 늘고 있습니다.

어떤 경우 주의해야 하는지 차주하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리포트>

한 남성이 가방에 현금 뭉치를 담습니다.

적금을 해지해 모두 현금으로 찾은 건데 알고 보니 전화사기 피해자.

은행 직원의 신고로 간신히 피해를 막았습니다.

<인터뷰> 김지현(00농협 계장) : "(돈의) 목적에 대해서 말씀도 제대로 못 하시고 얼버무리면서 말씀하시더라고요. 수상하게 여겼죠. (적금을) 중도해지하고 당일에 다시 현금으로 찾는 것은…."

아파트에 침입했다 경찰에 잡힌 외국인 일당.

이들에게 속은 피해자가 집에 찾아다 둔 현금을 훔치려다 붙잡힌 겁니다.

지난 11년 동안 전화사기 피해액만 7천 2백억여 원.

계좌이체를 받던 것에서 진화해, 직접 돈을 받아가거나 집에 보관하게 한 뒤 훔쳐가는 경우가 크게 늘었습니다.

계좌에 이렇게 100만 원 이상 입금되면 30분 동안 돈을 인출할 수 없기 때문에 보이스피싱 피해자에게 직접 현금을 건네받는 겁니다.

계좌가 범죄에 노출됐다며 예금을 찾아 집에 숨기라든지 자기들에게 맡기라는 전화는 모두 사기, 보이스피싱입니다.

<인터뷰> 박보건(경남 진해경찰서 지능팀장) : "예금을 보호해주겠다고 금융기관이나 수사기관을 사칭해서 전화가 오는 경우에는 전화를 끊고 경찰이 올 때까지 기다리면 되겠습니다."

또 대출을 받게 해준다며 전화를 한 뒤 보증금 명목으로 돈만 받아 챙기는 사기도 늘고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KBS 뉴스 차주하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