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호우피해가 컸던 경기 남부지역 주민들도 복구작업에 구슬땀을 흘리면서 재기의 의지를 다졌습니다.
이충형 기자가 다녀왔습니다.
⊙기자: 비가 그친 지 이틀째, 수마가 할퀴고 간 곳마다 옷가지를 씻어내고 가재도구를 말리는 작업이 한창입니다.
흙탕물은 퍼내도퍼내도 끝이 없고 하루 세 끼를 찾아먹는 일조차 힘겹습니다.
가뜩이나 어려운 살림에 언제 복구를 끝내고 다시 예전처럼 살 수 있을지 걱정이 앞섭니다.
⊙주민: 잠은 여성회관에 가서 자고 그냥 여기저기에서 식구들끼리 흩어져서 지금 자고 있죠.
⊙기자: 하천에서는 침수된 차량을 끌어올리고 무너진 제방도 다시 쌓습니다.
하지만 벌써부터 곳곳에서 부실공사의 망령이 되살아납니다.
마대나 잡석이 없이 가는 모래로만 되메운 제방은 언제 또다시 무너질지 불안하기만 합니다.
⊙안종만(주민): 잡석이 섞인 모래를 넣어야지 저것은 하나마나 공사 눈가리고 아웅...
우리 세금 가져다가 공사하는 건데...
⊙기자: 강물이 덮친 과수원에는 나뭇가지를 치우는 작업이 한창입니다.
하지만 이미 올해의 포도농사는 헛일이 됐습니다.
⊙김만기(과수 농민): 포도는 이제 버린거고, 이제 나무를 살려야하는데, 벌써 병이 생겼어요.
⊙기자: 수해민들의 재기의 몸짓은 언제나 힘겹기만 하지만 시련을 딛고 일어서려는 의지가 다시 삶의 터전을 회복시키고 있습니다.
KBS뉴스 이충형입니다.
이충형 기자가 다녀왔습니다.
⊙기자: 비가 그친 지 이틀째, 수마가 할퀴고 간 곳마다 옷가지를 씻어내고 가재도구를 말리는 작업이 한창입니다.
흙탕물은 퍼내도퍼내도 끝이 없고 하루 세 끼를 찾아먹는 일조차 힘겹습니다.
가뜩이나 어려운 살림에 언제 복구를 끝내고 다시 예전처럼 살 수 있을지 걱정이 앞섭니다.
⊙주민: 잠은 여성회관에 가서 자고 그냥 여기저기에서 식구들끼리 흩어져서 지금 자고 있죠.
⊙기자: 하천에서는 침수된 차량을 끌어올리고 무너진 제방도 다시 쌓습니다.
하지만 벌써부터 곳곳에서 부실공사의 망령이 되살아납니다.
마대나 잡석이 없이 가는 모래로만 되메운 제방은 언제 또다시 무너질지 불안하기만 합니다.
⊙안종만(주민): 잡석이 섞인 모래를 넣어야지 저것은 하나마나 공사 눈가리고 아웅...
우리 세금 가져다가 공사하는 건데...
⊙기자: 강물이 덮친 과수원에는 나뭇가지를 치우는 작업이 한창입니다.
하지만 이미 올해의 포도농사는 헛일이 됐습니다.
⊙김만기(과수 농민): 포도는 이제 버린거고, 이제 나무를 살려야하는데, 벌써 병이 생겼어요.
⊙기자: 수해민들의 재기의 몸짓은 언제나 힘겹기만 하지만 시련을 딛고 일어서려는 의지가 다시 삶의 터전을 회복시키고 있습니다.
KBS뉴스 이충형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수해 현장 총력 복구
-
- 입력 2002-08-09 21:00:00
- 수정2018-08-29 15:00:00

⊙앵커: 호우피해가 컸던 경기 남부지역 주민들도 복구작업에 구슬땀을 흘리면서 재기의 의지를 다졌습니다.
이충형 기자가 다녀왔습니다.
⊙기자: 비가 그친 지 이틀째, 수마가 할퀴고 간 곳마다 옷가지를 씻어내고 가재도구를 말리는 작업이 한창입니다.
흙탕물은 퍼내도퍼내도 끝이 없고 하루 세 끼를 찾아먹는 일조차 힘겹습니다.
가뜩이나 어려운 살림에 언제 복구를 끝내고 다시 예전처럼 살 수 있을지 걱정이 앞섭니다.
⊙주민: 잠은 여성회관에 가서 자고 그냥 여기저기에서 식구들끼리 흩어져서 지금 자고 있죠.
⊙기자: 하천에서는 침수된 차량을 끌어올리고 무너진 제방도 다시 쌓습니다.
하지만 벌써부터 곳곳에서 부실공사의 망령이 되살아납니다.
마대나 잡석이 없이 가는 모래로만 되메운 제방은 언제 또다시 무너질지 불안하기만 합니다.
⊙안종만(주민): 잡석이 섞인 모래를 넣어야지 저것은 하나마나 공사 눈가리고 아웅...
우리 세금 가져다가 공사하는 건데...
⊙기자: 강물이 덮친 과수원에는 나뭇가지를 치우는 작업이 한창입니다.
하지만 이미 올해의 포도농사는 헛일이 됐습니다.
⊙김만기(과수 농민): 포도는 이제 버린거고, 이제 나무를 살려야하는데, 벌써 병이 생겼어요.
⊙기자: 수해민들의 재기의 몸짓은 언제나 힘겹기만 하지만 시련을 딛고 일어서려는 의지가 다시 삶의 터전을 회복시키고 있습니다.
KBS뉴스 이충형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