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구 장비, 일손 부족

입력 2002.08.09 (21:00) 수정 2018.08.29 (15:0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그런가 하면 장비와 인력이 부족해서 복구작업을 못 하고 있는 농민들은 애가 타고 있습니다.
농작물 복구는 때를 놓치면 피해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지만 손도 대지 못하고 있는 형편입니다.
조현진 기자입니다.
⊙기자: 150여 세대가 모여 사는 마을의 주변도로와 논밭이 계곡물에 휩쓸려 쑥대밭이 됐습니다.
면에서 지원받은 1대의 소형 굴삭기로는 토사를 걷어내는 데만도 일주일 이상이 걸릴 형편이어서 농경지와 도로복구는 엄두도 내지 못하고 있습니다.
⊙강동희(주민): 지원을 받아야 돼요, 지금.
이 상태로 가면 올 연말까지도 안 될 것 같아요.
⊙기자: 다리가 끊어져 차가 다니지 못하는 마을에서는 주민들이 필요한 물건을 짊어지고 강을 건너다니고 있습니다.
주민들의 이런 불편에도 불구하고 장비와 인력을 구할 수 없어 다리 복구작업은 사흘이 지나도록 시작도 되지 못하고 있습니다.
제방이 무너지면서 1700여 평의 논이 고스란히 흙에 묻힌 농민이 몇 포기의 벼라도 살려보려고 혼자서 복구작업에 나섰지만 역부족입니다.
⊙이용필(농민): 사람이 없으니까 어쩔 수가 없는 거예요, 하지도 못하고.
그냥 보고만 있는 거예요, 보고만 있는 거...
더 이상 어떻게 해요, 혼자서.
⊙기자: 당국은 동원 가능한 모든 인력과 장비를 투입하고 있지만 무너진 도로와 제방을 복구하기에도 벅차 농경지 복구에는 손을 쓰지 못하고 있습니다.
농민들은 쓰러지고 흙에 묻힌 농작물을 바라보며 지원의 손길만을 안타깝게 기다리고 있습니다.
KBS뉴스 조현진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복구 장비, 일손 부족
    • 입력 2002-08-09 21:00:00
    • 수정2018-08-29 15:00:00
    뉴스 9
⊙앵커: 그런가 하면 장비와 인력이 부족해서 복구작업을 못 하고 있는 농민들은 애가 타고 있습니다. 농작물 복구는 때를 놓치면 피해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지만 손도 대지 못하고 있는 형편입니다. 조현진 기자입니다. ⊙기자: 150여 세대가 모여 사는 마을의 주변도로와 논밭이 계곡물에 휩쓸려 쑥대밭이 됐습니다. 면에서 지원받은 1대의 소형 굴삭기로는 토사를 걷어내는 데만도 일주일 이상이 걸릴 형편이어서 농경지와 도로복구는 엄두도 내지 못하고 있습니다. ⊙강동희(주민): 지원을 받아야 돼요, 지금. 이 상태로 가면 올 연말까지도 안 될 것 같아요. ⊙기자: 다리가 끊어져 차가 다니지 못하는 마을에서는 주민들이 필요한 물건을 짊어지고 강을 건너다니고 있습니다. 주민들의 이런 불편에도 불구하고 장비와 인력을 구할 수 없어 다리 복구작업은 사흘이 지나도록 시작도 되지 못하고 있습니다. 제방이 무너지면서 1700여 평의 논이 고스란히 흙에 묻힌 농민이 몇 포기의 벼라도 살려보려고 혼자서 복구작업에 나섰지만 역부족입니다. ⊙이용필(농민): 사람이 없으니까 어쩔 수가 없는 거예요, 하지도 못하고. 그냥 보고만 있는 거예요, 보고만 있는 거... 더 이상 어떻게 해요, 혼자서. ⊙기자: 당국은 동원 가능한 모든 인력과 장비를 투입하고 있지만 무너진 도로와 제방을 복구하기에도 벅차 농경지 복구에는 손을 쓰지 못하고 있습니다. 농민들은 쓰러지고 흙에 묻힌 농작물을 바라보며 지원의 손길만을 안타깝게 기다리고 있습니다. KBS뉴스 조현진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