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졸중’ 로봇기술 개발…“정밀 진단 기대”
입력 2017.06.06 (19:18)
수정 2017.06.06 (19:4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우리나라에서 뇌졸중으로 진료를 받는 환자는 한 해 54만 명에 이릅니다.
뇌졸중이 발병하면 몸이 뻣뻣하게 굳어 재활치료를 받아야 하는데요,
얼마나 뻣뻣한 지를 진단해 수치화하는 로봇 기술이 개발됐습니다.
보도에 김민혁 기자입니다.
<리포트>
뇌졸중이 발병하면 팔과 손목 등이 뻣뻣하게 굳는 '경직' 증상이 나타납니다.
재활치료를 할 때도 몸이 얼마나 뻣뻣한 지를 알아야 하는데 그동안은 그저 만져보는 데 의존해왔습니다.
국내 연구팀이 로봇을 이용해 환자의 뻣뻣한 정도를 정밀하게 측정하는 기술을 개발했습니다.
로봇이 마사지 기계처럼 작은 진동을 주면 손목과 아래팔에 움직임이 생기는데, 이 저항값을 측정해 얼마나 뻣뻣한 지를 수치화하는 겁니다.
그동안은 주로 임상전문가들의 '손 감각'에 의존해 환자의 관절 등을 측정해 왔습니다.
이번 연구로 사람에 따라 측정값이 달라질 수 있는 한계를 어느 정도 극복할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연구팀은 이 기술을 환자맞춤형 로봇 재활치료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인터뷰> 강상훈(UNIST 기계항공 및 원자력공학부 조교수) : "기존에 정성적으로 측정됐던 뇌졸중 환자들의 관절의 저항값을 로봇을 이용해서 더 객관적이고 정량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연구를 진행했습니다."
이번 연구 성과는 국제전기전자공학회 신경시스템 및 재활공학 저널 최신호에 주목할 만한 논문으로 실렸습니다.
KBS 뉴스 김민혁입니다.
우리나라에서 뇌졸중으로 진료를 받는 환자는 한 해 54만 명에 이릅니다.
뇌졸중이 발병하면 몸이 뻣뻣하게 굳어 재활치료를 받아야 하는데요,
얼마나 뻣뻣한 지를 진단해 수치화하는 로봇 기술이 개발됐습니다.
보도에 김민혁 기자입니다.
<리포트>
뇌졸중이 발병하면 팔과 손목 등이 뻣뻣하게 굳는 '경직' 증상이 나타납니다.
재활치료를 할 때도 몸이 얼마나 뻣뻣한 지를 알아야 하는데 그동안은 그저 만져보는 데 의존해왔습니다.
국내 연구팀이 로봇을 이용해 환자의 뻣뻣한 정도를 정밀하게 측정하는 기술을 개발했습니다.
로봇이 마사지 기계처럼 작은 진동을 주면 손목과 아래팔에 움직임이 생기는데, 이 저항값을 측정해 얼마나 뻣뻣한 지를 수치화하는 겁니다.
그동안은 주로 임상전문가들의 '손 감각'에 의존해 환자의 관절 등을 측정해 왔습니다.
이번 연구로 사람에 따라 측정값이 달라질 수 있는 한계를 어느 정도 극복할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연구팀은 이 기술을 환자맞춤형 로봇 재활치료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인터뷰> 강상훈(UNIST 기계항공 및 원자력공학부 조교수) : "기존에 정성적으로 측정됐던 뇌졸중 환자들의 관절의 저항값을 로봇을 이용해서 더 객관적이고 정량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연구를 진행했습니다."
이번 연구 성과는 국제전기전자공학회 신경시스템 및 재활공학 저널 최신호에 주목할 만한 논문으로 실렸습니다.
KBS 뉴스 김민혁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뇌졸중’ 로봇기술 개발…“정밀 진단 기대”
-
- 입력 2017-06-06 19:20:12
- 수정2017-06-06 19:40:33

<앵커 멘트>
우리나라에서 뇌졸중으로 진료를 받는 환자는 한 해 54만 명에 이릅니다.
뇌졸중이 발병하면 몸이 뻣뻣하게 굳어 재활치료를 받아야 하는데요,
얼마나 뻣뻣한 지를 진단해 수치화하는 로봇 기술이 개발됐습니다.
보도에 김민혁 기자입니다.
<리포트>
뇌졸중이 발병하면 팔과 손목 등이 뻣뻣하게 굳는 '경직' 증상이 나타납니다.
재활치료를 할 때도 몸이 얼마나 뻣뻣한 지를 알아야 하는데 그동안은 그저 만져보는 데 의존해왔습니다.
국내 연구팀이 로봇을 이용해 환자의 뻣뻣한 정도를 정밀하게 측정하는 기술을 개발했습니다.
로봇이 마사지 기계처럼 작은 진동을 주면 손목과 아래팔에 움직임이 생기는데, 이 저항값을 측정해 얼마나 뻣뻣한 지를 수치화하는 겁니다.
그동안은 주로 임상전문가들의 '손 감각'에 의존해 환자의 관절 등을 측정해 왔습니다.
이번 연구로 사람에 따라 측정값이 달라질 수 있는 한계를 어느 정도 극복할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연구팀은 이 기술을 환자맞춤형 로봇 재활치료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인터뷰> 강상훈(UNIST 기계항공 및 원자력공학부 조교수) : "기존에 정성적으로 측정됐던 뇌졸중 환자들의 관절의 저항값을 로봇을 이용해서 더 객관적이고 정량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연구를 진행했습니다."
이번 연구 성과는 국제전기전자공학회 신경시스템 및 재활공학 저널 최신호에 주목할 만한 논문으로 실렸습니다.
KBS 뉴스 김민혁입니다.
우리나라에서 뇌졸중으로 진료를 받는 환자는 한 해 54만 명에 이릅니다.
뇌졸중이 발병하면 몸이 뻣뻣하게 굳어 재활치료를 받아야 하는데요,
얼마나 뻣뻣한 지를 진단해 수치화하는 로봇 기술이 개발됐습니다.
보도에 김민혁 기자입니다.
<리포트>
뇌졸중이 발병하면 팔과 손목 등이 뻣뻣하게 굳는 '경직' 증상이 나타납니다.
재활치료를 할 때도 몸이 얼마나 뻣뻣한 지를 알아야 하는데 그동안은 그저 만져보는 데 의존해왔습니다.
국내 연구팀이 로봇을 이용해 환자의 뻣뻣한 정도를 정밀하게 측정하는 기술을 개발했습니다.
로봇이 마사지 기계처럼 작은 진동을 주면 손목과 아래팔에 움직임이 생기는데, 이 저항값을 측정해 얼마나 뻣뻣한 지를 수치화하는 겁니다.
그동안은 주로 임상전문가들의 '손 감각'에 의존해 환자의 관절 등을 측정해 왔습니다.
이번 연구로 사람에 따라 측정값이 달라질 수 있는 한계를 어느 정도 극복할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연구팀은 이 기술을 환자맞춤형 로봇 재활치료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인터뷰> 강상훈(UNIST 기계항공 및 원자력공학부 조교수) : "기존에 정성적으로 측정됐던 뇌졸중 환자들의 관절의 저항값을 로봇을 이용해서 더 객관적이고 정량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연구를 진행했습니다."
이번 연구 성과는 국제전기전자공학회 신경시스템 및 재활공학 저널 최신호에 주목할 만한 논문으로 실렸습니다.
KBS 뉴스 김민혁입니다.
-
-
김민혁 기자 hyuk@kbs.co.kr
김민혁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