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24 이슈] 지구촌의 고민거리 ‘치매’

입력 2017.06.16 (20:38) 수정 2017.06.16 (20:5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지구촌 곳곳이 고령화 사회로 접어들면서 생긴 이런저런 고민들 가운데 하나가 바로 '치매' 문제일 겁니다.

최근 한국에서도 국가가 치매 환자를 어떻게 지원해야 하는지를 놓고 논의가 있죠.

오늘 글로벌 이슈에서는 치매를 둘러싼 각국의 고민과 대응을 이야기해봅니다.

<질문>
이재석 기자.

우리가 어느 나라부터 좀 볼까요.

<답변>
고령화 사회하면 일본을 빼놓을 수 없으니까 일본 얘기부터 해봐야겠는데요.

최근에 주목할 만한 통계가 하나 나왔더라구요.

일본에서도 해마다 실종 신고가 들어올 거 아니겠어요.

지난해 경찰에 접수된 게 8만 4천여 명이었다고 합니다.

물론 이게 신고 건수라서 대부분은 결국 찾긴 찾습니다.

그런데 치매가 사회적 문제가 되니까 일본 경찰청이 실종자 가운데 치매 환자가 얼마나 되는지 2012년부터 따로 추려봤어요.

그랬더니 지난해 만 5천 4백여 명이어서 전체 실종자의 18%였고, 전년도에 비해 그 수가 26%나 많아진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녹취> 치매 노인 : "아무것도 모르겠어요. 여기 처음 와보는 것 같아요."

물론 아까 말씀드린 대로 이 가운데 99%는 가족 품으로 돌아왔습니다.

하지만 1%, 191명은 통계 작성 시점에서 행방을 알 수 없는 상태입니다.

191명 자체도 적지 않은 수인데다가 특히 실종자 가운데 치매 노인들이 부쩍 많아졌다는 게 주목할 만한 부분인 거죠.

<질문>
그렇게 늘게 된 원인이 치매 환자가 늘어서라고 봐야 하나요?

<답변>
그런 측면도 있고, 또 실종 신고할 때 가족들이 실종자한테 치매 증세가 있다고 밝히는 경우가 늘어서라고 일본 당국은 보더라구요.

<질문>
사회적 인식이 높아지니까 쉬쉬하지 않고 밝히고 그러는 걸 텐데, 최근에 영국에선가요. 총선 때 치매 문제 때문에 큰 이슈가 되었잖아요.

<답변>
그렇습니다.

보수당이 이번 총선에서 사실상 패배했다, 이런 평가를 받고 있는데, 복합적 원인 가운데 하나가 이른바 '치매세'로 꼽히고 있거든요.

그러니까 저소득층 노인들을 대상으로 요양 비용을 국가가 일정 부분 지원해주는데 이번에 메이 총리랑 보수당이 그 지원 기준을 깐깐하게 높이려고 했다가 반발 여론을 맞은 거죠.

돈벌이가 없더라도 10만 파운드 넘는 집에 사는 노인이라면 정부 지원을 받을 수 없도록 하면서 노인 층이 거세게 반발한 겁니다.

치매 환자 상당수가 지원 대상에서 빠지게 되면서 이 정책이 일종의 '치매세'냐, 치매에도 세금 매기는 거냐, 이런 반발이었던 겁니다.

결국 보수당이 당초 안을 철회했지만 선거 패배의 요인이 됐다는 평가가 중론입니다.

<질문>
그만큼 치매 문제가 이슈가 되니까 그런 거라고 볼 수 있는 거잖아요.

복지국가로 유명한 나라들은 좀 상황이 어떤지도 궁금합니다.

<답변>
아무래도 노인 간병에 들어가는 공공기금 비중이 유럽 국가들이 좀 높은 편이죠.

특히 네덜란드가 주목을 받는 거 같습니다.

지금 보시는 건 네덜란드에 있는 이른바 '치매 마을'입니다.

치매 노인들이 전문 간호사, 간병인들과 함께 생활을 하는 마을이죠.

마트에서 장도 보고 서로 대화도 나누고 취미 활동도 공유하고, 그러니까 감시 대상이 아니라 마을을 구성하는 주민이 되는 겁니다.

<녹취> 아메론겐(치매 마을 설립자) : "병원에서는 치매 노인들이 집에 가고 싶다고 하지만 여기서는 집처럼 느끼고 있죠."

물론 비용이 많이 들기 때문에 누구나 이런 마을에 들어가는 게 아닌 건 분명하구요,

다만 치매에 대한 네덜란드 사회의 관심과 분위기랄까, 이런 걸 소개해드리고자 보여드렸습니다.

최근 치매 노인들을 위한 이런저런 대안들이 모색되고 있습니다.

로봇 기술을 이용해서 치매 환자들의 이동을 돕는다거나 말하자면 친구가 되어주는 그런 사례들도 나오고 있죠.

고령화 사회를 맞아서 인생 막바지를 어떻게 보내는가가 아주 중요해진 요즘, 치매 문제는 더 이상 외면할 수 없는 사회적 과제가 됐습니다.

글로벌 이슈였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글로벌24 이슈] 지구촌의 고민거리 ‘치매’
    • 입력 2017-06-16 20:35:27
    • 수정2017-06-16 20:55:35
    글로벌24
<앵커 멘트>

지구촌 곳곳이 고령화 사회로 접어들면서 생긴 이런저런 고민들 가운데 하나가 바로 '치매' 문제일 겁니다.

최근 한국에서도 국가가 치매 환자를 어떻게 지원해야 하는지를 놓고 논의가 있죠.

오늘 글로벌 이슈에서는 치매를 둘러싼 각국의 고민과 대응을 이야기해봅니다.

<질문>
이재석 기자.

우리가 어느 나라부터 좀 볼까요.

<답변>
고령화 사회하면 일본을 빼놓을 수 없으니까 일본 얘기부터 해봐야겠는데요.

최근에 주목할 만한 통계가 하나 나왔더라구요.

일본에서도 해마다 실종 신고가 들어올 거 아니겠어요.

지난해 경찰에 접수된 게 8만 4천여 명이었다고 합니다.

물론 이게 신고 건수라서 대부분은 결국 찾긴 찾습니다.

그런데 치매가 사회적 문제가 되니까 일본 경찰청이 실종자 가운데 치매 환자가 얼마나 되는지 2012년부터 따로 추려봤어요.

그랬더니 지난해 만 5천 4백여 명이어서 전체 실종자의 18%였고, 전년도에 비해 그 수가 26%나 많아진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녹취> 치매 노인 : "아무것도 모르겠어요. 여기 처음 와보는 것 같아요."

물론 아까 말씀드린 대로 이 가운데 99%는 가족 품으로 돌아왔습니다.

하지만 1%, 191명은 통계 작성 시점에서 행방을 알 수 없는 상태입니다.

191명 자체도 적지 않은 수인데다가 특히 실종자 가운데 치매 노인들이 부쩍 많아졌다는 게 주목할 만한 부분인 거죠.

<질문>
그렇게 늘게 된 원인이 치매 환자가 늘어서라고 봐야 하나요?

<답변>
그런 측면도 있고, 또 실종 신고할 때 가족들이 실종자한테 치매 증세가 있다고 밝히는 경우가 늘어서라고 일본 당국은 보더라구요.

<질문>
사회적 인식이 높아지니까 쉬쉬하지 않고 밝히고 그러는 걸 텐데, 최근에 영국에선가요. 총선 때 치매 문제 때문에 큰 이슈가 되었잖아요.

<답변>
그렇습니다.

보수당이 이번 총선에서 사실상 패배했다, 이런 평가를 받고 있는데, 복합적 원인 가운데 하나가 이른바 '치매세'로 꼽히고 있거든요.

그러니까 저소득층 노인들을 대상으로 요양 비용을 국가가 일정 부분 지원해주는데 이번에 메이 총리랑 보수당이 그 지원 기준을 깐깐하게 높이려고 했다가 반발 여론을 맞은 거죠.

돈벌이가 없더라도 10만 파운드 넘는 집에 사는 노인이라면 정부 지원을 받을 수 없도록 하면서 노인 층이 거세게 반발한 겁니다.

치매 환자 상당수가 지원 대상에서 빠지게 되면서 이 정책이 일종의 '치매세'냐, 치매에도 세금 매기는 거냐, 이런 반발이었던 겁니다.

결국 보수당이 당초 안을 철회했지만 선거 패배의 요인이 됐다는 평가가 중론입니다.

<질문>
그만큼 치매 문제가 이슈가 되니까 그런 거라고 볼 수 있는 거잖아요.

복지국가로 유명한 나라들은 좀 상황이 어떤지도 궁금합니다.

<답변>
아무래도 노인 간병에 들어가는 공공기금 비중이 유럽 국가들이 좀 높은 편이죠.

특히 네덜란드가 주목을 받는 거 같습니다.

지금 보시는 건 네덜란드에 있는 이른바 '치매 마을'입니다.

치매 노인들이 전문 간호사, 간병인들과 함께 생활을 하는 마을이죠.

마트에서 장도 보고 서로 대화도 나누고 취미 활동도 공유하고, 그러니까 감시 대상이 아니라 마을을 구성하는 주민이 되는 겁니다.

<녹취> 아메론겐(치매 마을 설립자) : "병원에서는 치매 노인들이 집에 가고 싶다고 하지만 여기서는 집처럼 느끼고 있죠."

물론 비용이 많이 들기 때문에 누구나 이런 마을에 들어가는 게 아닌 건 분명하구요,

다만 치매에 대한 네덜란드 사회의 관심과 분위기랄까, 이런 걸 소개해드리고자 보여드렸습니다.

최근 치매 노인들을 위한 이런저런 대안들이 모색되고 있습니다.

로봇 기술을 이용해서 치매 환자들의 이동을 돕는다거나 말하자면 친구가 되어주는 그런 사례들도 나오고 있죠.

고령화 사회를 맞아서 인생 막바지를 어떻게 보내는가가 아주 중요해진 요즘, 치매 문제는 더 이상 외면할 수 없는 사회적 과제가 됐습니다.

글로벌 이슈였습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