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부하고 고쳐 입고…헌 옷의 재발견

입력 2017.07.06 (08:47) 수정 2017.07.06 (09:03)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입다가 만 헌 옷들 어떻게 처리하시나요?

헌 옷을 고쳐 입거나 기부하는 사람들이 늘고 있는데요.

헌 옷의 재발견, 강나루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경기도의 의류폐기물 수거업쳅니다.

한 달에 처리하는 옷만 120톤! 티셔츠 백만 벌 분량입니다.

자세히 보면 멀쩡한 옷이 더 많습니다.

<인터뷰> 엄중섭(부장/의류폐기물 수거업체) : "충분히 좋고 아직까지 입을 수 있는 옷들이 많은데 그런 것들이 버려진다는 게 굉장히 안타깝고..."

이렇게 한 철 입고 버려지는 옷들이 점점 많아지면서, 이 의류폐기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노력들도 잇따르고 있습니다.

백화점 문을 열자마자 길게 줄을 선 사람들.

철 지난 옷, 아이가 성장해 더 이상 입지 못하는 옷을 자선 단체에 기부하기 위해서입니다.

일부는 하나둘 마네킹에 걸려 근사한 새 옷으로 변신합니다.

<인터뷰> 유은정(주부) : "이런 행사가 있으면 주게 되는데 그렇지 않으면 그냥 폐기물이나 의류보관함에 버리게 되는 경우가 많아요."

청바지로 만든 가방, 가죽 재킷으로 만든 지갑.

헌 옷에 완전히 새로운 가치를 부여하는 업사이클링도 각광받고 있습니다.

자원 재활용은 물론 상업적 가치까지 주목받고 있습니다.

<인터뷰> 신나리(아름다운가게 에코디자인팀장) : "요즘에는 소비자들한테 친근하게 다가가기 위해서 제품의 실용성, 소재의 다양함, 그리고 스토리를 전달할 수 있는 방식이나.."

하루에 발생하는 의류 폐기물은 전국적으로 250톤, 다시 입고, 고쳐 입으며 헌 옷의 가치를 재발견하려는 노력이 본격화되고 있습니다.

KBS 뉴스 강나루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기부하고 고쳐 입고…헌 옷의 재발견
    • 입력 2017-07-06 08:54:31
    • 수정2017-07-06 09:03:29
    아침뉴스타임
<앵커 멘트>

입다가 만 헌 옷들 어떻게 처리하시나요?

헌 옷을 고쳐 입거나 기부하는 사람들이 늘고 있는데요.

헌 옷의 재발견, 강나루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경기도의 의류폐기물 수거업쳅니다.

한 달에 처리하는 옷만 120톤! 티셔츠 백만 벌 분량입니다.

자세히 보면 멀쩡한 옷이 더 많습니다.

<인터뷰> 엄중섭(부장/의류폐기물 수거업체) : "충분히 좋고 아직까지 입을 수 있는 옷들이 많은데 그런 것들이 버려진다는 게 굉장히 안타깝고..."

이렇게 한 철 입고 버려지는 옷들이 점점 많아지면서, 이 의류폐기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노력들도 잇따르고 있습니다.

백화점 문을 열자마자 길게 줄을 선 사람들.

철 지난 옷, 아이가 성장해 더 이상 입지 못하는 옷을 자선 단체에 기부하기 위해서입니다.

일부는 하나둘 마네킹에 걸려 근사한 새 옷으로 변신합니다.

<인터뷰> 유은정(주부) : "이런 행사가 있으면 주게 되는데 그렇지 않으면 그냥 폐기물이나 의류보관함에 버리게 되는 경우가 많아요."

청바지로 만든 가방, 가죽 재킷으로 만든 지갑.

헌 옷에 완전히 새로운 가치를 부여하는 업사이클링도 각광받고 있습니다.

자원 재활용은 물론 상업적 가치까지 주목받고 있습니다.

<인터뷰> 신나리(아름다운가게 에코디자인팀장) : "요즘에는 소비자들한테 친근하게 다가가기 위해서 제품의 실용성, 소재의 다양함, 그리고 스토리를 전달할 수 있는 방식이나.."

하루에 발생하는 의류 폐기물은 전국적으로 250톤, 다시 입고, 고쳐 입으며 헌 옷의 가치를 재발견하려는 노력이 본격화되고 있습니다.

KBS 뉴스 강나루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