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캄필로박터균 식중독’ 증가…생닭 손질 주의

입력 2017.07.08 (06:48) 수정 2017.07.08 (08:2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날씨가 더워지면서 보양식으로 삼계탕 등 닭요리 찾는 분들이 많으실텐데요.

가금류에서 주로 나타나는 '캄필로박터' 식중독균 감염이 매년 증가하고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식약처가 소개한 닭고기 안전하게 먹는 법을 이슬기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리포트>

복날이 있는 7월과 8월은 한해 중 닭고기 소비량이 가장 많은 시기입니다.

하지만 더운 날씨 때문에 식중독균의 일종인 '캄필로박터균' 감염 위험도 커집니다.

실제로, 지난 5년간 캄필로박터균 감염의 43%가 7, 8월에 발생했습니다.

캄필로박터균은 닭과 오리 등의 장 속에 분포하는데, 열에 약해 가열하는 과정에서 금세 소멸됩니다.

그러나 생닭을 가열하기 전 손질 과정에서 오염이 발생하는 게 문제입니다.

오염을 막기 위해선 생닭을 씻는 물이 다른 식품이나 조리기구에 튀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생닭이 닿았던 조리기구는 반드시 씻고, 될 수 있으면 생닭 손질용 칼과 도마를 따로 쓰는 게 좋습니다.

생닭을 보관할 때는 핏물이 흘러나오지 않도록 밀폐용기에 넣어 냉장고 가장 아래 칸에 보관해야 안전합니다.

캄필로박터 식중독 환자 수는 지난 3년 간 세 배 넘게 급증한 상황.

식약처 관계자는 학교나 복지시설, 음식점 등 다중이용시설에서는 집단 감염을 막기 위해 위생에 더욱 주의를 기울여 달라고 당부했습니다.

KBS 뉴스 이슬기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캄필로박터균 식중독’ 증가…생닭 손질 주의
    • 입력 2017-07-08 06:52:36
    • 수정2017-07-08 08:26:53
    뉴스광장 1부
<앵커 멘트>

날씨가 더워지면서 보양식으로 삼계탕 등 닭요리 찾는 분들이 많으실텐데요.

가금류에서 주로 나타나는 '캄필로박터' 식중독균 감염이 매년 증가하고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식약처가 소개한 닭고기 안전하게 먹는 법을 이슬기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리포트>

복날이 있는 7월과 8월은 한해 중 닭고기 소비량이 가장 많은 시기입니다.

하지만 더운 날씨 때문에 식중독균의 일종인 '캄필로박터균' 감염 위험도 커집니다.

실제로, 지난 5년간 캄필로박터균 감염의 43%가 7, 8월에 발생했습니다.

캄필로박터균은 닭과 오리 등의 장 속에 분포하는데, 열에 약해 가열하는 과정에서 금세 소멸됩니다.

그러나 생닭을 가열하기 전 손질 과정에서 오염이 발생하는 게 문제입니다.

오염을 막기 위해선 생닭을 씻는 물이 다른 식품이나 조리기구에 튀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생닭이 닿았던 조리기구는 반드시 씻고, 될 수 있으면 생닭 손질용 칼과 도마를 따로 쓰는 게 좋습니다.

생닭을 보관할 때는 핏물이 흘러나오지 않도록 밀폐용기에 넣어 냉장고 가장 아래 칸에 보관해야 안전합니다.

캄필로박터 식중독 환자 수는 지난 3년 간 세 배 넘게 급증한 상황.

식약처 관계자는 학교나 복지시설, 음식점 등 다중이용시설에서는 집단 감염을 막기 위해 위생에 더욱 주의를 기울여 달라고 당부했습니다.

KBS 뉴스 이슬기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