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함도 징용자들, 매몰되고 갱목에 깔려 죽어갔다

입력 2017.07.31 (21:26) 수정 2017.07.31 (22:1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요즘 영화 군함도의 개봉을 계기로 당시 강제 징용 상황에 대한 관심이 뜨거운데요.

KBS가 당시 군함도에서 숨져간 이들의 사망 기록을 발굴했습니다.

매몰사와 질식사 등 처참하게 숨진 조선 징용자들의 상황이 그대로 담겨 있습니다.

도쿄에서 이승철 특파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하시마, 이른바 군함도에서 숨져간 이들의 화장 인허가서입니다.

임재봉이란 이름이 선명합니다.

<녹취> "이게 출신지입니다. (충북 청주)."

사망 원인은 매몰에 의한 질식사입니다.

전북 김제가 고향인 이완옥은 사망 원인이 익사로 돼 있습니다.

군함도에서 사람이 죽으면 바로 옆 섬으로 옮겨 화장을 했습니다.

죽어서야 섬을 나갈 수 있는 상황이었습니다.

1939년부터 45년까지 화장 기록이 남아 있는 조선 징용자는 모두 50명입니다.

15명은 매몰돼 사망한 것으로 돼 있고, 머리타박, 두개골 골절, 뇌척수 손상 등 무너진 갱목에 다쳐 숨진 당시 상황이 고스란히 기록돼 있습니다.

한 명은 폐에 물이 차, 또 다른 2명은 익사로 돼 있습니다.

군함도를 탈출하려다 물에 빠져 죽은 것으로 추정됩니다.

<인터뷰> 다케우치(강제징용 연구가) : "전쟁에 동원하는 것처럼 노동자들을 밀어넣고는 목숨을 걸고 강제로 일하게 한 겁니다. 죽음을 전제로 해서..."

해방이 되자 당시 군함도 등에 살아 남은 조선 징용자 1,299명의 명부가 작성됐지만, 숨지거나 탈출한 사람에 대한 공식 기록은 남기지 않았습니다.

도쿄에서 KBS 뉴스 이승철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군함도 징용자들, 매몰되고 갱목에 깔려 죽어갔다
    • 입력 2017-07-31 21:35:11
    • 수정2017-07-31 22:15:03
    뉴스 9
<앵커 멘트>

요즘 영화 군함도의 개봉을 계기로 당시 강제 징용 상황에 대한 관심이 뜨거운데요.

KBS가 당시 군함도에서 숨져간 이들의 사망 기록을 발굴했습니다.

매몰사와 질식사 등 처참하게 숨진 조선 징용자들의 상황이 그대로 담겨 있습니다.

도쿄에서 이승철 특파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하시마, 이른바 군함도에서 숨져간 이들의 화장 인허가서입니다.

임재봉이란 이름이 선명합니다.

<녹취> "이게 출신지입니다. (충북 청주)."

사망 원인은 매몰에 의한 질식사입니다.

전북 김제가 고향인 이완옥은 사망 원인이 익사로 돼 있습니다.

군함도에서 사람이 죽으면 바로 옆 섬으로 옮겨 화장을 했습니다.

죽어서야 섬을 나갈 수 있는 상황이었습니다.

1939년부터 45년까지 화장 기록이 남아 있는 조선 징용자는 모두 50명입니다.

15명은 매몰돼 사망한 것으로 돼 있고, 머리타박, 두개골 골절, 뇌척수 손상 등 무너진 갱목에 다쳐 숨진 당시 상황이 고스란히 기록돼 있습니다.

한 명은 폐에 물이 차, 또 다른 2명은 익사로 돼 있습니다.

군함도를 탈출하려다 물에 빠져 죽은 것으로 추정됩니다.

<인터뷰> 다케우치(강제징용 연구가) : "전쟁에 동원하는 것처럼 노동자들을 밀어넣고는 목숨을 걸고 강제로 일하게 한 겁니다. 죽음을 전제로 해서..."

해방이 되자 당시 군함도 등에 살아 남은 조선 징용자 1,299명의 명부가 작성됐지만, 숨지거나 탈출한 사람에 대한 공식 기록은 남기지 않았습니다.

도쿄에서 KBS 뉴스 이승철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