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안한 소비자…“질소 커피는 괜찮을까?”
입력 2017.08.04 (21:15)
수정 2017.08.09 (10:23)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최근엔 질소커피나 질소아이스크림 등도 인기리에 판매되고 있는데, 과연 괜찮은 걸까요?
김채린 기자가 질소첨가 식품들의 안전성을 자세히 따져봤습니다.
<리포트>
아이스크림 가게에 젊은 손님들이 북적입니다.
하얀 수증기를 내뿜는 '질소 아이스크림'입니다.
<녹취> "우와! 신기하다!"
맥주처럼 부드러운 거품을 지닌 '질소커피'도 인기입니다.
이 식품들은 안전할까?
액체 상태의 질소에 장미꽃을 잠깐 넣었다 빼니 꽁꽁 얼어붙어 산산조각납니다.
영하 196도에 달하는 이런 액화질소의 냉기가 동상을 일으켜 순식간에 위에 구멍을 낼 수 있습니다.
상온에선 바로 증발하지만, 과자를 여러번 담갔다빼자 물처럼 뚝뚝 떨어집니다.
<녹취> "저게 떨어지는 게 액체 질소예요."
이 때문에 음식을 액화질소에 얼린 뒤 급히 먹으면, 채 증발하지 않은 액화질소가 남아있을 수 있습니다.
<인터뷰> 이덕환(서강대학교 화학과 교수) : "떡 같이 이렇게 단단한 음식을 거기다 얼렸다가 섭취를 하게 되면 (잘 녹지 않아) 입 안에 문제가 생기거나 위에 문제가 생길 가능성이 농후합니다."
액화질소를 직접 부어 만든 칵테일도 안전하지 않습니다.
실제로 최근 영국과 인도에서는 질소가 들어간 칵테일을 마신 뒤 위에 구멍이 난 사례가 보고됐습니다.
그러나 기체 상태의 질소를 사용하는 커피나 액화질소를 분사해 바로 증발시키는 아이스크림은 안전하다는 게 전문가들의 의견입니다.
<녹취> 오재호(식품의약품안전처 첨가물기준과장) : "상온에서는 바로 기화되기 때문에 아이스크림이나 커피에 사용되는 경우에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액화질소를 다룰 경우엔 고글과 방수 장갑을 사용하고, 액체가 모두 증발했는지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
KBS 뉴스 김채린입니다.
최근엔 질소커피나 질소아이스크림 등도 인기리에 판매되고 있는데, 과연 괜찮은 걸까요?
김채린 기자가 질소첨가 식품들의 안전성을 자세히 따져봤습니다.
<리포트>
아이스크림 가게에 젊은 손님들이 북적입니다.
하얀 수증기를 내뿜는 '질소 아이스크림'입니다.
<녹취> "우와! 신기하다!"
맥주처럼 부드러운 거품을 지닌 '질소커피'도 인기입니다.
이 식품들은 안전할까?
액체 상태의 질소에 장미꽃을 잠깐 넣었다 빼니 꽁꽁 얼어붙어 산산조각납니다.
영하 196도에 달하는 이런 액화질소의 냉기가 동상을 일으켜 순식간에 위에 구멍을 낼 수 있습니다.
상온에선 바로 증발하지만, 과자를 여러번 담갔다빼자 물처럼 뚝뚝 떨어집니다.
<녹취> "저게 떨어지는 게 액체 질소예요."
이 때문에 음식을 액화질소에 얼린 뒤 급히 먹으면, 채 증발하지 않은 액화질소가 남아있을 수 있습니다.
<인터뷰> 이덕환(서강대학교 화학과 교수) : "떡 같이 이렇게 단단한 음식을 거기다 얼렸다가 섭취를 하게 되면 (잘 녹지 않아) 입 안에 문제가 생기거나 위에 문제가 생길 가능성이 농후합니다."
액화질소를 직접 부어 만든 칵테일도 안전하지 않습니다.
실제로 최근 영국과 인도에서는 질소가 들어간 칵테일을 마신 뒤 위에 구멍이 난 사례가 보고됐습니다.
그러나 기체 상태의 질소를 사용하는 커피나 액화질소를 분사해 바로 증발시키는 아이스크림은 안전하다는 게 전문가들의 의견입니다.
<녹취> 오재호(식품의약품안전처 첨가물기준과장) : "상온에서는 바로 기화되기 때문에 아이스크림이나 커피에 사용되는 경우에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액화질소를 다룰 경우엔 고글과 방수 장갑을 사용하고, 액체가 모두 증발했는지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
KBS 뉴스 김채린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불안한 소비자…“질소 커피는 괜찮을까?”
-
- 입력 2017-08-04 21:19:55
- 수정2017-08-09 10:23:32

<앵커 멘트>
최근엔 질소커피나 질소아이스크림 등도 인기리에 판매되고 있는데, 과연 괜찮은 걸까요?
김채린 기자가 질소첨가 식품들의 안전성을 자세히 따져봤습니다.
<리포트>
아이스크림 가게에 젊은 손님들이 북적입니다.
하얀 수증기를 내뿜는 '질소 아이스크림'입니다.
<녹취> "우와! 신기하다!"
맥주처럼 부드러운 거품을 지닌 '질소커피'도 인기입니다.
이 식품들은 안전할까?
액체 상태의 질소에 장미꽃을 잠깐 넣었다 빼니 꽁꽁 얼어붙어 산산조각납니다.
영하 196도에 달하는 이런 액화질소의 냉기가 동상을 일으켜 순식간에 위에 구멍을 낼 수 있습니다.
상온에선 바로 증발하지만, 과자를 여러번 담갔다빼자 물처럼 뚝뚝 떨어집니다.
<녹취> "저게 떨어지는 게 액체 질소예요."
이 때문에 음식을 액화질소에 얼린 뒤 급히 먹으면, 채 증발하지 않은 액화질소가 남아있을 수 있습니다.
<인터뷰> 이덕환(서강대학교 화학과 교수) : "떡 같이 이렇게 단단한 음식을 거기다 얼렸다가 섭취를 하게 되면 (잘 녹지 않아) 입 안에 문제가 생기거나 위에 문제가 생길 가능성이 농후합니다."
액화질소를 직접 부어 만든 칵테일도 안전하지 않습니다.
실제로 최근 영국과 인도에서는 질소가 들어간 칵테일을 마신 뒤 위에 구멍이 난 사례가 보고됐습니다.
그러나 기체 상태의 질소를 사용하는 커피나 액화질소를 분사해 바로 증발시키는 아이스크림은 안전하다는 게 전문가들의 의견입니다.
<녹취> 오재호(식품의약품안전처 첨가물기준과장) : "상온에서는 바로 기화되기 때문에 아이스크림이나 커피에 사용되는 경우에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액화질소를 다룰 경우엔 고글과 방수 장갑을 사용하고, 액체가 모두 증발했는지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
KBS 뉴스 김채린입니다.
-
-
김채린 기자 dig@kbs.co.kr
김채린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