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 없는 성장…해법은 ‘질 좋은 서비스업’

입력 2017.08.08 (21:23) 수정 2017.08.08 (21:5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문재인 정부의 최우선 과제가 일자리 창출이죠.

일자리 사정, 최근 경기 회복세 등에 힘입어 조금 좋아지는 모습입니다.

올해 1분기 취업자 수는 지난해보다 36만여 명이 늘었고 고용률도 꾸준히 올라가는 모습인데요.

하지만 늘어난 취업자 수를 연령별로 보면 60세 이상이 25만7천 명이고, 20~30대 청년층은 정체되거나 감소 추세입니다.

근로 시간도 일주일에 17시간도 일하지 않는 자리가 11만여 명이나 증가했습니다.

취업자 수는 늘었지만, 그 내용은 상당 부분 고령자거나 단시간 아르바이트로 채워진 겁니다.

이런 현상이 나타나는 구조적인 원인을 김병용 기자가 분석해 봤습니다.

▼무인화·자동화…고용 없는 성장▼

<기자 멘트>

지난 2분기 매출 60조, 영업이익 14조 원으로 역대 최대 실적을 이끌었던 삼성전자 반도체 공장입니다.

지난달부터는 세계 최대규모의 평택 공장까지 준공돼 실적을 견인하고 있습니다.

이 평택 공장 근무 직원은 몇 명일까요?

천5백여 명 수준입니다.

무인화, 자동화된 첨단 IT 제조업의 특성 탓입니다.

반도체와 화학업종 등이 수출 호황을 이끌고 있다는 뉴스가 지난해 말부터 계속되는데, 우리 피부에는 잘 와닿지 않는 이유가 바로 여기 있습니다.

국내총생산 10억원 당 취업자수를 나타내는 취업계수는 지난해 17.4명으로 우리나라는 10년 가까이 하락세입니다.

특히, 제조업의 일자리 창출 능력은 서비스업의 절반수준.

문제는 우리나라의 제조업 비중이 G20 국가 가운데 중국 다음으로 높고, 서비스업은 OECD 국가들에 비해 훨씬 낮다는 겁니다.

지난주 미국 전역을 들썩하게 했던 아마존의 구직 박람회 현장입니다.

채용인원 5만 명, 시간당 11에서 15달러의 임금을 내걸었는데 물류센터마다 수천여 명의 구직자들이 몰렸습니다.

IT기업의 대표주자인 마이크로소프트 역시 지난해 4만 8천여 명을 채용해 아마존과 함께 채용 쌍두마차로 불렸습니다.

우리 대기업들은 어떨까요?

매출 1조 원당 고용인원을 보면 서비스업종인 CJ 계열사들이 상대적으로 많은 반면, 삼성전자와 현대·기아차 등 제조업은 인원수가 급격히 줄어듭니다.

물론 제조업과 서비스업은 부가가치 생산이나 일자리의 질에 대한 차이가 있어 단순히 숫자만으로 비교할 순 없습니다.

한계에 직면한 우리나라 제조업 고용 절벽의 해법은 무엇인지 송형국 기자가 짚어봤습니다.

▼서비스업 활성화…일자리 열쇠▼

<리포트>

인터넷 쇼핑몰 관리시스템을 서비스하는 IT기업.

전자상거래 시장이 커짐에 따라 인력수요도 늘어, 3년 전 30여 명이던 직원 수가 90명으로 불었습니다.

<인터뷰> 김상혁('플레이오토' 대표) : "개발자가 항상 부족하고요, 그러다보니까 저희가 회사 자체 홍보와 함께 나서서 채용박람회라든지 어디든 찾아가서 (채용합니다)."

직원들의 자유를 보장하며 일자리 질을 높인 결과 올해는 해외 쇼핑몰로도 사업을 키우게 됐습니다.

이처럼 콘텐츠나 소프트웨어를 서비스하는 업체는 공간 제약 없이 온라인상에서 사업이 성장하기 때문에 해외에 진출하더라도 일자리는 국내에서 창출됩니다.

인공지능 수학교육 프로그램을 만드는 이 기업은 5년 전 5명이 창업해 직원이 10배로 늘었습니다.

미국 중·고교 200여 곳에 제품을 공급하는데, 직원들은 업무 만족도가 성공 비결이라고 말합니다.

<인터뷰> 김수연('노리' 신입사원) : "개개인에게 자율성을 많이 주기 때문에 그 부분에서 업무 효율성을 최대치로 끌어낼 수 있다는 것이..."

4차산업혁명과 고령화 시대를 맞아 유망한 서비스 업종으로는 교육과 소프트웨어, 의료·보건, 레저·관광 분야 등이 꼽힙니다.

현재는 빅데이터 활용이나 정보보호와 관련된 규제가 첨단 서비스업이 성장하는 데 걸림돌이란 지적입니다.

<인터뷰> 유병규(산업연구원장) : "(현재는) 제조업 중심의 규제시스템으로 돼 있기 때문에 새롭게 고쳐서 재설계하는, '규제의 재구축'이 (필요합니다)."

또 서비스업 활성화에 제조업과의 동반성장이 필수인 만큼 두 분야의 융합을 위한 연구개발 등 지원 노력도 절실합니다.

KBS 뉴스 송형국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고용 없는 성장…해법은 ‘질 좋은 서비스업’
    • 입력 2017-08-08 21:27:55
    • 수정2017-08-08 21:51:43
    뉴스 9
<앵커 멘트>

문재인 정부의 최우선 과제가 일자리 창출이죠.

일자리 사정, 최근 경기 회복세 등에 힘입어 조금 좋아지는 모습입니다.

올해 1분기 취업자 수는 지난해보다 36만여 명이 늘었고 고용률도 꾸준히 올라가는 모습인데요.

하지만 늘어난 취업자 수를 연령별로 보면 60세 이상이 25만7천 명이고, 20~30대 청년층은 정체되거나 감소 추세입니다.

근로 시간도 일주일에 17시간도 일하지 않는 자리가 11만여 명이나 증가했습니다.

취업자 수는 늘었지만, 그 내용은 상당 부분 고령자거나 단시간 아르바이트로 채워진 겁니다.

이런 현상이 나타나는 구조적인 원인을 김병용 기자가 분석해 봤습니다.

▼무인화·자동화…고용 없는 성장▼

<기자 멘트>

지난 2분기 매출 60조, 영업이익 14조 원으로 역대 최대 실적을 이끌었던 삼성전자 반도체 공장입니다.

지난달부터는 세계 최대규모의 평택 공장까지 준공돼 실적을 견인하고 있습니다.

이 평택 공장 근무 직원은 몇 명일까요?

천5백여 명 수준입니다.

무인화, 자동화된 첨단 IT 제조업의 특성 탓입니다.

반도체와 화학업종 등이 수출 호황을 이끌고 있다는 뉴스가 지난해 말부터 계속되는데, 우리 피부에는 잘 와닿지 않는 이유가 바로 여기 있습니다.

국내총생산 10억원 당 취업자수를 나타내는 취업계수는 지난해 17.4명으로 우리나라는 10년 가까이 하락세입니다.

특히, 제조업의 일자리 창출 능력은 서비스업의 절반수준.

문제는 우리나라의 제조업 비중이 G20 국가 가운데 중국 다음으로 높고, 서비스업은 OECD 국가들에 비해 훨씬 낮다는 겁니다.

지난주 미국 전역을 들썩하게 했던 아마존의 구직 박람회 현장입니다.

채용인원 5만 명, 시간당 11에서 15달러의 임금을 내걸었는데 물류센터마다 수천여 명의 구직자들이 몰렸습니다.

IT기업의 대표주자인 마이크로소프트 역시 지난해 4만 8천여 명을 채용해 아마존과 함께 채용 쌍두마차로 불렸습니다.

우리 대기업들은 어떨까요?

매출 1조 원당 고용인원을 보면 서비스업종인 CJ 계열사들이 상대적으로 많은 반면, 삼성전자와 현대·기아차 등 제조업은 인원수가 급격히 줄어듭니다.

물론 제조업과 서비스업은 부가가치 생산이나 일자리의 질에 대한 차이가 있어 단순히 숫자만으로 비교할 순 없습니다.

한계에 직면한 우리나라 제조업 고용 절벽의 해법은 무엇인지 송형국 기자가 짚어봤습니다.

▼서비스업 활성화…일자리 열쇠▼

<리포트>

인터넷 쇼핑몰 관리시스템을 서비스하는 IT기업.

전자상거래 시장이 커짐에 따라 인력수요도 늘어, 3년 전 30여 명이던 직원 수가 90명으로 불었습니다.

<인터뷰> 김상혁('플레이오토' 대표) : "개발자가 항상 부족하고요, 그러다보니까 저희가 회사 자체 홍보와 함께 나서서 채용박람회라든지 어디든 찾아가서 (채용합니다)."

직원들의 자유를 보장하며 일자리 질을 높인 결과 올해는 해외 쇼핑몰로도 사업을 키우게 됐습니다.

이처럼 콘텐츠나 소프트웨어를 서비스하는 업체는 공간 제약 없이 온라인상에서 사업이 성장하기 때문에 해외에 진출하더라도 일자리는 국내에서 창출됩니다.

인공지능 수학교육 프로그램을 만드는 이 기업은 5년 전 5명이 창업해 직원이 10배로 늘었습니다.

미국 중·고교 200여 곳에 제품을 공급하는데, 직원들은 업무 만족도가 성공 비결이라고 말합니다.

<인터뷰> 김수연('노리' 신입사원) : "개개인에게 자율성을 많이 주기 때문에 그 부분에서 업무 효율성을 최대치로 끌어낼 수 있다는 것이..."

4차산업혁명과 고령화 시대를 맞아 유망한 서비스 업종으로는 교육과 소프트웨어, 의료·보건, 레저·관광 분야 등이 꼽힙니다.

현재는 빅데이터 활용이나 정보보호와 관련된 규제가 첨단 서비스업이 성장하는 데 걸림돌이란 지적입니다.

<인터뷰> 유병규(산업연구원장) : "(현재는) 제조업 중심의 규제시스템으로 돼 있기 때문에 새롭게 고쳐서 재설계하는, '규제의 재구축'이 (필요합니다)."

또 서비스업 활성화에 제조업과의 동반성장이 필수인 만큼 두 분야의 융합을 위한 연구개발 등 지원 노력도 절실합니다.

KBS 뉴스 송형국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