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협 “‘살충제 달걀’ 안심할 수 없다”
입력 2017.08.22 (18:01)
수정 2017.08.22 (18:2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살충제 검출 달걀을 매일 먹어도 건강에는 아무 문제가 없다고 어제 정부가 발표했는데요.
여기에 의료계가 반발하고 나섰습니다.
장기적으로 복용하면 만성 독성 우려가 있단 건데요.
김현경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대한의사협회는 살충제 달걀이 식약처 발표대로 인체에 심각한 유해를 가할 정도로 독성을 가진 건 아니지만 그렇다고 무조건 안심하고 섭취해도 될 상황은 아니란 공식 입장을 내놨습니다.
장기 섭취 사례에 대한 연구논문 등이 확인되지 않은 시점에 하루 달걀 섭취량을 단정한 식약처의 발표는 섣부른 대응이었단 겁니다.
또 장기적으로 살충제 달걀을 섭취했을 때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만큼은 신중히 접근해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이에 대해 식약처는 평생 매일 먹는 경우에 대한 위해도까지 조사했다며 살충제 최대 검출량을 기준으로 하는 등 보수적으로 평가했다고 해명했습니다.
살충제 달걀 파문과 관련해 김영록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은 오늘 국회 농해수위에 출석해 닭 뿐 아니라 메추리와 오리 등 다른 가축도 점검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또 농산물품질관리원 직원들이 퇴직 후 일정 기간 동안 친환경인증 민간 기관에 재취업하지 못하게 하는 방안을 검토하겠다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김현경입니다.
살충제 검출 달걀을 매일 먹어도 건강에는 아무 문제가 없다고 어제 정부가 발표했는데요.
여기에 의료계가 반발하고 나섰습니다.
장기적으로 복용하면 만성 독성 우려가 있단 건데요.
김현경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대한의사협회는 살충제 달걀이 식약처 발표대로 인체에 심각한 유해를 가할 정도로 독성을 가진 건 아니지만 그렇다고 무조건 안심하고 섭취해도 될 상황은 아니란 공식 입장을 내놨습니다.
장기 섭취 사례에 대한 연구논문 등이 확인되지 않은 시점에 하루 달걀 섭취량을 단정한 식약처의 발표는 섣부른 대응이었단 겁니다.
또 장기적으로 살충제 달걀을 섭취했을 때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만큼은 신중히 접근해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이에 대해 식약처는 평생 매일 먹는 경우에 대한 위해도까지 조사했다며 살충제 최대 검출량을 기준으로 하는 등 보수적으로 평가했다고 해명했습니다.
살충제 달걀 파문과 관련해 김영록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은 오늘 국회 농해수위에 출석해 닭 뿐 아니라 메추리와 오리 등 다른 가축도 점검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또 농산물품질관리원 직원들이 퇴직 후 일정 기간 동안 친환경인증 민간 기관에 재취업하지 못하게 하는 방안을 검토하겠다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김현경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의협 “‘살충제 달걀’ 안심할 수 없다”
-
- 입력 2017-08-22 18:02:16
- 수정2017-08-22 18:28:04

<앵커 멘트>
살충제 검출 달걀을 매일 먹어도 건강에는 아무 문제가 없다고 어제 정부가 발표했는데요.
여기에 의료계가 반발하고 나섰습니다.
장기적으로 복용하면 만성 독성 우려가 있단 건데요.
김현경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대한의사협회는 살충제 달걀이 식약처 발표대로 인체에 심각한 유해를 가할 정도로 독성을 가진 건 아니지만 그렇다고 무조건 안심하고 섭취해도 될 상황은 아니란 공식 입장을 내놨습니다.
장기 섭취 사례에 대한 연구논문 등이 확인되지 않은 시점에 하루 달걀 섭취량을 단정한 식약처의 발표는 섣부른 대응이었단 겁니다.
또 장기적으로 살충제 달걀을 섭취했을 때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만큼은 신중히 접근해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이에 대해 식약처는 평생 매일 먹는 경우에 대한 위해도까지 조사했다며 살충제 최대 검출량을 기준으로 하는 등 보수적으로 평가했다고 해명했습니다.
살충제 달걀 파문과 관련해 김영록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은 오늘 국회 농해수위에 출석해 닭 뿐 아니라 메추리와 오리 등 다른 가축도 점검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또 농산물품질관리원 직원들이 퇴직 후 일정 기간 동안 친환경인증 민간 기관에 재취업하지 못하게 하는 방안을 검토하겠다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김현경입니다.
살충제 검출 달걀을 매일 먹어도 건강에는 아무 문제가 없다고 어제 정부가 발표했는데요.
여기에 의료계가 반발하고 나섰습니다.
장기적으로 복용하면 만성 독성 우려가 있단 건데요.
김현경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대한의사협회는 살충제 달걀이 식약처 발표대로 인체에 심각한 유해를 가할 정도로 독성을 가진 건 아니지만 그렇다고 무조건 안심하고 섭취해도 될 상황은 아니란 공식 입장을 내놨습니다.
장기 섭취 사례에 대한 연구논문 등이 확인되지 않은 시점에 하루 달걀 섭취량을 단정한 식약처의 발표는 섣부른 대응이었단 겁니다.
또 장기적으로 살충제 달걀을 섭취했을 때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만큼은 신중히 접근해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이에 대해 식약처는 평생 매일 먹는 경우에 대한 위해도까지 조사했다며 살충제 최대 검출량을 기준으로 하는 등 보수적으로 평가했다고 해명했습니다.
살충제 달걀 파문과 관련해 김영록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은 오늘 국회 농해수위에 출석해 닭 뿐 아니라 메추리와 오리 등 다른 가축도 점검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또 농산물품질관리원 직원들이 퇴직 후 일정 기간 동안 친환경인증 민간 기관에 재취업하지 못하게 하는 방안을 검토하겠다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김현경입니다.
-
-
김현경 기자 hkkim@kbs.co.kr
김현경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