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해안 피해 종합-섬지방, 해일 등
입력 2002.08.31 (21:00)
수정 2018.08.29 (15:0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서남해지방은 강풍에 전신주들이 쓰러져서 최악의 정전사태를 겪고 있습니다.
특히 섬지방은 여객선 운항이 중단된 가운데 전화마저 끊긴 곳이 많습니다.
박익원 기자입니다.
⊙기자: 지붕까지 날아가는 강풍에 전신주가 쓰러지면서 정전사태가 빚어진 마을입니다.
서남해지방에서는 이처럼 전신주 수백 개가 넘어지면서 신안과 무안, 완도 등 3만여 세대에서 전기가 끊겼습니다.
촛불로 밤을 지새는 섬주민들은 뱃길이 끊긴 가운데 전화마저 불통된 곳이 많아 최악의 하룻밤을 보내고 있습니다.
⊙신미정(신안군 압해면): 밥 하는데 컴컴해서 갑자기 나가니까 촛불도 준비 안 된 상태고 그러니까 참 너무너무 불편해요.
⊙기자: 정전시간이 길어지면서 어류 양식장들의 피해도 늘고 있습니다.
그러나 섬지역은 워낙 강한 바람에 복구는 엄두를 내지 못하고 있습니다.
⊙박용국(한전 신안지점): 바람이 강해지고 지반이 약해져 넘어진 전주를 세우기 힘듭니다.
⊙기자: 목포에서도 가로수가 뿌리째 뽑히고 시청 앞 창고 담장이 넘어져 차량 3대가 크게 파손됐습니다.
폭풍과 해일이 몰아친 가두리 양식장이 유실되고 소형어선 등 7척이 침몰되거나 바닷물에 잠겼습니다.
해안가에서는 추수기 벼 수천 헥타르가 쓰러져 농작물 피해도 늘고 있습니다.
KBS뉴스 박익원입니다.
특히 섬지방은 여객선 운항이 중단된 가운데 전화마저 끊긴 곳이 많습니다.
박익원 기자입니다.
⊙기자: 지붕까지 날아가는 강풍에 전신주가 쓰러지면서 정전사태가 빚어진 마을입니다.
서남해지방에서는 이처럼 전신주 수백 개가 넘어지면서 신안과 무안, 완도 등 3만여 세대에서 전기가 끊겼습니다.
촛불로 밤을 지새는 섬주민들은 뱃길이 끊긴 가운데 전화마저 불통된 곳이 많아 최악의 하룻밤을 보내고 있습니다.
⊙신미정(신안군 압해면): 밥 하는데 컴컴해서 갑자기 나가니까 촛불도 준비 안 된 상태고 그러니까 참 너무너무 불편해요.
⊙기자: 정전시간이 길어지면서 어류 양식장들의 피해도 늘고 있습니다.
그러나 섬지역은 워낙 강한 바람에 복구는 엄두를 내지 못하고 있습니다.
⊙박용국(한전 신안지점): 바람이 강해지고 지반이 약해져 넘어진 전주를 세우기 힘듭니다.
⊙기자: 목포에서도 가로수가 뿌리째 뽑히고 시청 앞 창고 담장이 넘어져 차량 3대가 크게 파손됐습니다.
폭풍과 해일이 몰아친 가두리 양식장이 유실되고 소형어선 등 7척이 침몰되거나 바닷물에 잠겼습니다.
해안가에서는 추수기 벼 수천 헥타르가 쓰러져 농작물 피해도 늘고 있습니다.
KBS뉴스 박익원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남해안 피해 종합-섬지방, 해일 등
-
- 입력 2002-08-31 21:00:00
- 수정2018-08-29 15:00:00

⊙앵커: 서남해지방은 강풍에 전신주들이 쓰러져서 최악의 정전사태를 겪고 있습니다.
특히 섬지방은 여객선 운항이 중단된 가운데 전화마저 끊긴 곳이 많습니다.
박익원 기자입니다.
⊙기자: 지붕까지 날아가는 강풍에 전신주가 쓰러지면서 정전사태가 빚어진 마을입니다.
서남해지방에서는 이처럼 전신주 수백 개가 넘어지면서 신안과 무안, 완도 등 3만여 세대에서 전기가 끊겼습니다.
촛불로 밤을 지새는 섬주민들은 뱃길이 끊긴 가운데 전화마저 불통된 곳이 많아 최악의 하룻밤을 보내고 있습니다.
⊙신미정(신안군 압해면): 밥 하는데 컴컴해서 갑자기 나가니까 촛불도 준비 안 된 상태고 그러니까 참 너무너무 불편해요.
⊙기자: 정전시간이 길어지면서 어류 양식장들의 피해도 늘고 있습니다.
그러나 섬지역은 워낙 강한 바람에 복구는 엄두를 내지 못하고 있습니다.
⊙박용국(한전 신안지점): 바람이 강해지고 지반이 약해져 넘어진 전주를 세우기 힘듭니다.
⊙기자: 목포에서도 가로수가 뿌리째 뽑히고 시청 앞 창고 담장이 넘어져 차량 3대가 크게 파손됐습니다.
폭풍과 해일이 몰아친 가두리 양식장이 유실되고 소형어선 등 7척이 침몰되거나 바닷물에 잠겼습니다.
해안가에서는 추수기 벼 수천 헥타르가 쓰러져 농작물 피해도 늘고 있습니다.
KBS뉴스 박익원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